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생물 다양성

  • 등록일2000-03-01
  • 조회수299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0-03-01
  • 출처
    biozine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

 

협약 인류는 다양한 생물종으로부터 식량, 약품, 산업생산물 등 인간의 생계, 건강, 번영을 위한 많은 자원을 추출하고 있다. 인간의 생물종 이용 증가는 유전자원, 생물 개체군 또는 일부개체 등의 생물적 구성요 소를 훼손하고 있으며, 크게는 지구의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1,000만~3,000만의 생물종이 연평균 0.5%씩 감소하여 향후 20~30년내 지구 전체 생물종의 20~30%가 멸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생물종의 감소는 인류의 생명과 존속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므로 생물다양성의 보전이 지구의 기능을 지속시키고 인간의 존속을 위한 유일한 전략임을 전세계 국가들이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의 경제적 불균형에도 불구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통하여 건강 한 인류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협약들이 1970년대부터 체결되었다. 특히 1992년 6월의 리우정상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에서는 한국을 포함한 156개국의 지도자와 과학자들이 모여 최초로 인구, 환경 및 개발을 총괄적으로 다루면서 지속성 있는 인간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리우환경선언(The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을 발표하였다.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목표는 의제 21에서 도출된 바와 같이 일치 하고 있으나,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추구하는 방법에 대한 각국의 반응은 사회적·역사적·경제적 배경에 따라 다르다. 선진국은 개도국 또는 후진국과 대립되고 있으며, 특히 생물자원 부국은 생물자원 빈 국과 대립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은 자국의 이익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국제사회의 의견을 유도하고 있다.

 

각국에 존재하는 생물종을 자원화 할 수 있는 터주권(Farmer's Right)과 생물종의 개 발에 따른 지적소유권을 이용하여 자국의 이익을 보호하려는 생물종의 자원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년도 협 약 명 칭 우리나라
1992 생물다양성협약 가 입
1979 이동성 야생동물종 보전에 관한 협약 미 가 입
1973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협약 가 입
1971 람사(Ramsar) 협약 (습지 보호) 가 입
1972 세계문화 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 미 가 입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