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종근당 종합 연구소
- 등록일2001-01-01
- 조회수571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1-01-01
-
출처
biozine
-
원문링크
-
키워드
#종근당
종근당 종합 연구소
연구소장 : 洪 淸 一
종근당은 30년 이상 항생물질을 위시한 치료제 중심의 원료 및 완제 의약품을 생산하는 전문 의약품 생산 업체로 1970년대 국내 최초로 항생의약품 원료를 미국에 수출한 이래, 유럽, 일본, 동남아 등으로 수출을 확대하여 1999년에는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수출 7천만불 탑을 수상하였다.
특히, 장기이식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면역억제제 cyclosporin A는 5년간에 걸친 연구 끝에 원료의약품 발효에서 완제품 제제화까지 자체개발에 성공함으로서, 1995년 5월 23일에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산기협)로 부터 국산 신기술인정마크 (KT 마크)를 획득하였고 1995년 9월 28일에는 우리 나라의 산업기술개발을 촉진 시키고자 한국장기신용 은행이 설립한 장은기술상에서 산업자원부 장관으로부터 대상을 받았으며, 1998년에는 산업기술 대전 기술혁신상 및 우수수출상품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세계 두 번째로 개발한 Lovastatin은 1998년 산업자원부 장관으로부터 공업기반기술 개발 사업 우수기술 상품화 부문 은상을 수상하였으며, 1999년 4월 산기협으로부터 KT 마크를 획득하였다. 원개발사인 스웨덴 아스트라사와의 특허 분쟁에서 승소해 독자적인 기술을 인정받은 Omeprazole 제제 (OMP정)는 1998년 한국 약제학회에서 제제 기술상을 수상하였으며, 1999년 2월에는 이런 연구개발 성과가 인정되어 산기협 창립 20주년 기념 우수 연구소 대상을 수상하였다.
최근에는 국내외적인 환경변화에 근본적으로 대처하고 21세기 국내 제약업계를 이끌어 갈 선두 그룹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충남 천안의 대지 4만 5천평 부지에 1만 2천평 규모의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KGMP)은 물론 미국 FDA 규정에도 적합한 국내 최대 완제품 공장을 건립하였고 제제 및 신약 개발 부문을 중심으로 첨단 시설의 연구소를 신축 이전하였으며, 사업별 경쟁력 우위 전략, 세계화 제질 강화 전략 및 고객 중심의 미래 경영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21세기가 시작되는 2000년도는 우리 종근당에 있어서도 의미있는 한해로 새롭게 마음의 자세를 가다듬고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경제력을 갖춘 기술을 확보해 나가야 하는 중요한 한해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우리 나라의 많은 제약회사가 갖고 있는 생산위주의 관념을 탈피하고 Technology Base로 서서히 전환시켜 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국내 및 세계시장의 필요에 따라 Target을 선정하고 우리의 강점과 약점 및 우리의 한계를 인식하여 우리가 할 수 있는 독특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물론 우리가 할 수 없는 부분은 Out Sourcing을 통한 용역 또는 공동연구를 이루어 나갈 것이며, 잡다하게 많은 연구과제보다는 성공 가능성이 있는 소수의 Project를 대상으로 깊게 한 우물을 파며, 마치 미식축구의 All The Way 정신과 마음 가짐으로 Goal Line에 이르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연구수행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보수집과 연구원들의 끊임없는 교육이라고 보며 이 부분에도 중점을 둘 계획이다.
종근당의 신제품 개발부분에 있어 핵심역량은 원료의약품 합성과 발효에 의한 생리활성 물질 및 항생제 생산분야라고 볼 수 있으므로, 그 동안 국내외적으로 뛰어난 기술과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이 분야에 더욱 많은 연구비와 인력을 투입하여 월등한 품질과 저렴한 가격의 경쟁력을 갖춘 제품개발에 계속 주력하고자 한다.
최근에는 유전공학적 방법에 의한 Human Recombinant Insulin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 현재 발효, 정제 등 의 제조공정을 확립하였으며 공정의 최적화 연구를 완료하였고 Pilot 설비에 의한 대량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이밖에 Biocatalyst를 이용한 입체 특이성 중간체 합성공정 개발, 효소공법에 의한 Cephalosporin C에 서 7-ACA 생산, Cephalosporin계 항생제 중간체 및 완제품 개발 등 발효와 합성의 접목기술 축적에 연구력을 집중시키고 있다.
또한 국내 제약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신약개발에 주력함으로써 많은 신약 후보물질인 Pipeline을 확보하는 데 있다고 보고 종근당을 이 부분에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종근당의 신약개발 연구는 현재 과기부, 복지부, 산업자원부 등 정부 출연 연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과제를 주축으로 국내외 관련 대학 및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 걸쳐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데, 현재는 Topoisomerase I 저해제인 Camptothecin계 항암제 CKD-602 개발과 최근 항암 작용의 새로운 기전으로 부각되고 있는 신생혈관 (Angiogenesis) 억제작용의 Fumagillin 유도체, Nucleoside 항암제와 인지질의 복합체로서 Prodrug과 Combination Chemotherapy에 쓰여질 Pharmacosome 항암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효과가 탁월한 항바이러스제, 토양 미생물 유래의 신규 당질 분해 효소 저해제, 장기이식과 자가면역질환에 사용될 신규 면역 억제제 개발에 연구력을 집중시키고 있다.
또한 High-throughput Screening System을 이용하여 천연자원의 하나인 토양미생물 대사물질로부터 유용한 신규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고 이로부터 보다 약효가 탁월한 신물질 의약품 창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CKD-602는 Taxol과 함께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Camptothecin계 항암제의 하나로 항암작용이 뛰어나고 독성이 낮아 신약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크게 기대되고 있으며 1999년 현재 임상 I상을 완료하고 2000년 초에는 임상 II상을 계획하고 있다.
이상의 몇 가지 열거한 신약개발 뿐만 아니라 향후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노령층이 증가될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건강을 유지시켜줄 신약과 새로운 제제도 중점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즉 호흡기질환 치료제, 항암제, 당뇨병치료제, 심장질환 치료제, 내분비계통 약품이 그 중에 속한다고 보겠다.
신약개발은 다양한 기술분야가 총체적으로 사용되어야 하고 꾸준한 노력과 막대한 연구비의 투자로서만 가능하므로 결과를 얻는 것이 결코 용이하지 않지만, 내부의 핵심 역량 부분을 더욱 극대화하고 부족한 부분을 외부와 Collaboration하여 종근당만의 독특한 신약을 개발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자 한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