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재조합 DNA백신을 이용한 B형 간염 예방

  • 등록일1993-01-01
  • 조회수1166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1993-01-01
  • 출처
    biozine
  • 원문링크
  • 키워드
    #재조합 DNA백신 #B형 간염

재조합 DNA백신을 이용한 B형 간염 예방

 

 

B형 간염은 매년 세계적으로 200만명이나 사망케하는 심각한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사망자의 50%는 급 성 혹은 만성간염으로,그 나머지는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죽는다. 또한 세계적으로 약 3,00鷗雅이 만성 B형간염 보균자로서 혈액속에 간염 바 이러스를 보균하고 있다. 간염은 혈액과 체액으로 감염된다.

 

B형 간염에 대한 첫번째 백신은 보균자의 혈액으로부터 추출된 HBsAg(B형 간염 표면항체)을 정제하여 만 들었다. HBsAg는 체내 면역력을 제공하여 B형 감염을 막아준다. 그과정은 항원이 환자로부터 추출되었기 때문에 다른 감염인자로부터 감 염의 위험이 있어 항원의 불활성화 단계가 필요하는 등 복잡하다.


그러나 유전공학적인 방법은 B형 간염백신을 더욱 쉽고 안전하게 생산하며 또한 상업적 규모의 대량생산 이 가능하다.


즉 HBsAg유전자를 보통의 빵효소(Saccharomyces Cer-evisiae)에 삽입하여 HBsAg를 대량생산하는 유전공 학은 아래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많은 장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유전자재조합 B형 간염백신은 1989년에 Smithkline Beecham社, 1990년에 Merck Sharp &Dohme社가 각각 상품화 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동신제약이 smit-hkline社로부터, 동 아제약이 Merck社로 부터 도입 시판하고 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