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노화방지 화장품의 출원 동향

  • 등록일2001-09-01
  • 조회수574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01-09-01
  • 출처
    biozine
  • 원문링크
  • 키워드
    #노화방지

노화방지 화장품의 출원 동향


2000년 7월 화장품법의 시행과 함께 기능성화장품의 명문화로 화장품의 연구 및 기술개발의 발전에 박차가 가해지고 있으 며, 특히 노화방지용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시대적 요구와 아울러 젊고 탄력있는 피부를 갈구하는 여성들의 욕구 증대가 맞물려 화장품업계의 초미의 관심분야가 되고 있다.

향후 노화방지 화장품 관련 출원은 계속 증가하리라 예상되며 새로운 노화기전이 밝혀질 때마다 그에 해당하는 다양한 활성 물 질의 개발 및 기존의 의약품개발에 이용되어 오던 생명공학등을 이용한 기술을 화장품과 접목시킨 기술개발이 출원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노화방지 화장품의 개요

 

- 21세기 화장품의 개발방향은 유효성과 안전성이 뛰어난 고기능성의 추구이다. 2000년 7월 화장품법의 시행과 함께 기능성 화장품의 명문화로 연구 및 기술개발의 발전에 박차가 가해지고 있으며 기능성화장품 시대를 선점하기 위한 초석으 로 기능성화장품의 특허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 기능성화장품중에서도 특히 주름개선 을 포함한 노화방지용 화장품의 개발은 의료기술의 진보에 따른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아울 러 젊고 탄력있는 피부를 갈구하는 여성들의 욕구의 증대가 맞물려 장업계의 초미의 관심분야가 되고 있다.

- 노화방지 기능성화장품의 국내시장규모 는 2000년 현재 약 1,000억원 수준이고, 미국의 경우 약 35천만불의 규모로 추정되는 매우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이다(화장품공업협회).

 

◎ 피부노화의 원인과 증상

- 피부노화에 관하여서는 아직까지 여러 이론이 제시되고 있으나, 크게 연령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노화와 자외선에 의 한 광노화로 나눌 수 있다.

- 원인과 증상을 표피와 진피로 나누어 살펴보면 표피의 경우 먼지와 오염물, 공해, 자외선, 바람, 기온의 변화, 화학물질 등에 의해 새 세포의 생성 수가 줄어들고 각질형성세포의 교체율이 감소되며, 피부표면의 최외층에 있는 각질세포가 잘 떨어져 나가지 않아서 각질이 많이 쌓이게 되고 두터워져서 건조하고 거칠어진다.

진피의 경우 진피에 존재하는 섬유인 콜라겐(膠原纖維-진피의 섬유상 고체를 말함)과 점액성의 뮤코-다당류가 물과 결합하는 능력 을 잃게 되는 것과 엘라스틴(탄력섬유)의 파괴 및 진피의 기질인 히아루론산이 감소되면서 탄력이 없어지고 단단해짐으로써 주름이 생 기고 피부가 늘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변화는 대개 활성산소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다.

이외에도 혈관 수가 감소하여 혈액순환 이 약화되고 땀샘의 기능이 떨어져 땀 분비도 줄어들게 되고, 기름샘의 기름분비 기능이 약화되 면서 피부 표면에 기름기가 부족해 건조하고 부드러운 감촉도 줄어든다.

 

◎ 노화기전에 따른 노화 방지제의 종류

- 피부의 노화를 억제하는 기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나 대표적으로 콜라겐 생성 촉진제, 엘라스틴 활성화제, 히아루론산 생 성 증가제, 자유라디칼 소거제, 세포 증식제, 광노화 억제제, 각질세포 증식억제제, 보습제, 유해 활성산소 생성방지제, 세 포 재생물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노화방지 화장품의 국내 특허 출원 동향

 

◎ 연도별 동향

- 노화방지 화장품의 특허 출원은 1986년부터 출원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2000년 6월까지 총 263건( 2001년 6월 현재 공개 자 료 기준)으로 나타났다(표1 참조).

[표1] <연도별 출원동향 : 1986- 2000.06>


- 86년부터 94년까지의 노화방지 화장품에 대한 특허 출원은 25건으로서 전체 특허 출원의 9% 정도에 불과했으나,

- 95년 이후 특허출원이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98년 이후부터 2000년 상반기까지 173건이 출원됨으로써 전체 대비 66%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화장품법 제정과 함께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법제화가 논의되면서 특허출원이 급증한 때문으로 보이며 그 증가비율은 향후에도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00년 상반기 출원은 46건으로서 1999년의 연간 출원(64건)의 50%를 이미 초과하고 있어 2000년 하반기에도 상당한 양의 출원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출원인별 동향 분석

- 내·외국인별 동향

내국인과 외국인으로 구분해보면 내국인 은 전체 특허 출원 건수 대비 103건으로 39%, 외국인은 160건으로 6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국인은 1995년 이전까지의 총 출원건에 비해 96년 이후 평균 매년 2-3배 이상 급격히 출원 이 늘어나고 있어서 국내 기업들이 노화 관련 기술개발 및 특허출원을 통한 권리 확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2, 표3 참조).

[표2] <내국인대 외국인의 출원 비율>


[표3] <내국인의 연도별 출원동향 >


- 각 출원인별 동향

각 출원인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프랑스 의 로레알사가 35건으로 전체대비 13%를 점유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코리아나(주)가 10%, 엘지 화학이 8%, 더 프록터 앤드 갬블사가 6%, 태평양(주)가 5%의 순으로 나타나 상위 5개 업체가 44%를 차지하 고 있어 아직까지 노화방지 화장품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들 업체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표4 참 조).

[표4] <출원인별 점유율 >


각 연도별,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로레알의 경우 1995년 이후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어 국내시장에 관심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 국내 업체의 경우 코리아나(주)가 1997년 이후부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표5 참 조).

[표5] <연도별, 출원인별 출원동향 >

출원인

1987

1988

1991

1992

1993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더 프록터 앤드 갬블

1

1

0

0

0

0

0

1

6

4

5

18

로레알

0

0

0

0

0

3

1

8

9

5

9

35

시세이도

0

0

0

1

0

0

0

1

1

0

1

4

엘지화학(주)

0

0

0

0

1

1

5

9

4

2

0

20

유니레버

0

0

0

0

1

1

0

1

2

6

2

13

제일제당(주)

0

0

0

0

0

1

1

1

1

1

0

5

죤슨 앤드 죤슨

0

0

0

0

2

0

0

1

3

0

5

11

칼라 액세스

0

0

0

0

0

0

0

0

0

2

3

5

코리아나(주)

0

0

0

0

0

0

0

4

5

18

0

27

태평양(주)

0

0

1

0

0

1

3

4

3

3

0

14


- 출원국가별 동향

한국이 109건으로 전체 출원의 41%를 차지해 가장 많은 특허출원이 이루어졌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 프랑스, 일본, 네덜란 드 순이었고, 11개국에서 출원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표6 참조).

[표6] <출원국가별 출원동향 >


KR

US

FR

JP

NL

DE

IT

CH

TH

DK

BE

건수

109

67

52

11

10

5

3

3

1

1

1


◎ 기술내용별 국내 특허 출원 동향

- 활성성분을 5가지로 분류해보면 아스코르빈산이나 알파 하이드록시산 등을 포함한 일반 화합물군이 62%, 식물추출물이 19%, 기존 레티노이드 유도체 관련 출원이 13%, 천연물과 화합물의 혼합물이 5%, 기능성 단백질 등의 기타가 1%로 나타났 다(표7 참조).

[표7] <활성성분의 종류에 따른 연도별 출원동향>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기타

0

0

0

0

0

0

0

0

0

0

1

2

0

0

0

3

천연물+화합물

0

0

0

1

0

0

0

0

0

2

1

3

2

1

3

13

레티노이드 유도체

0

1

1

0

2

1

0

3

0

2

0

5

8

9

1

33

식물추출물

0

0

0

1

0

1

0

1

2

0

2

8

15

14

7

51

일반화합물(레티노이드 제외)

1

1

2

1

1

1

1

2

1

10

7

22

38

40

35

163


- 활성성분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 코리아나를 비롯한 내국인의 경우 인삼, 목단피, 어성초, 빈랑자, 녹차, 상황버섯, 초 두구 등 식물추출물에 대한 특허 출원이 38건으로서 천연물을 이용한 노화방지 물질 개발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표8 참조).

[표8] 출원인별 천연추출물 특허 출원 현황

출원인

출원

국가

천연추출물의 종류

(주) 코리아나

한국

강낭콩, 빈랑자, 율피, 정향, 건칠, 초두구, 죽여, 인진호, 육계피, 가자, 울금, 소엽, 대황, 황백, 괴화, 금오구척, 우방자, 산 사자

(주) 태평양

한국

인삼, 치마버섯, 황백, 정향, 당근, 녹차, 상황버섯, 사과, 파파야, 파인애플,

엘지생활건강

한국

상륙, 토사자, 백강잠, 곽향, 첨호, 침향, 홍경천

(주) 바이오랜드

한국

누에고치, 표고버섯+동충하초

참존

한국

창이자

동양화장품

한국

목단피

제일제당

한국

에뮤(호주에서 서식하는 조류)지방추출물, 송이추출 물

라미화장품

한국

도토리

나드리

한국

한국형 유산균

소망화장품

한국

홍삼+상백피

유연실

한국

어성초

이시자(개인)

한국

유자씨

송영웅(개인)

한국

저족+녹각

김제상(개인)

한국

파인애플+코코넛

정찬복(개인)

한국

초두구

하병조(개인)

한국

오배자, 개자, 후박

암웨이

미국

아세로라 체리, 귀리

아도반스트

스킨 리서치

일본

차조기과 식물

라보라 뚜와레

프랑스

밤바라 넛, 오크라 종자

위차이(개인)

태국

콩과식물

미셀 디오(개인)

프랑스

Cicchorrium intybus L


- 그에 비해 외국업체들은 상대적으로 기존의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안정성과 효과를 증강시키는 출원이 많았고, 로레알의 경우 광 노화 방지제로서 디벤조일 메탄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실리콘 유도체 등에 관한 출원이 주내용을 이루고 있 다.

- 특히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 기능성 단백질인 표피세포 성장촉진제에 관한 출원(출원번호 10-1999-48)과 노화의 새로운 기전으로서 피부의 근신경중 염소채널과 관련된 수용체 작용 물질에 관한 출원(출원번호 10-1995-33147) 등이 있는데 이는 앞으로 유전공학 분야와 접목된 화장품의 개발 및 노화의 새로운 기전과 관련된 활성물질의 출현을 예고하는 것이라 기대된다.

 

◎ 피부노화의 작용기전에 따른 동향

- 작용기전에 따른 출원동향은 역시 자연노화에 대한 출원이 181건으로 69%로서 가장 많았으며, 광노화가 45건으로 20%, 광노화 와 자연노화를 동시에 방지하는 것이 37건인 11%로 출원되었음을 알 수 있다(표9 참조).

[표9] <피부노화기전에 따른 출원동향 >


자연노화

광노화

자연노화+광노화

건수

181

45

37

26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