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새로운 결핵 백신 개발 지침 발표
- 등록일2000-08-02
- 조회수1336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0-08-02
-
출처
연구개발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결핵 백신#결핵
새로운 결핵 백신 개발 지침 발표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산하의 연구 기관 가운데 하나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 NIAID)의 과학자들이 효과적인 결핵
(tuberculosis) 백신 개발에 대한 청사진이 될 새로운 지침을 발표했다는 소식이다. 이번 발표 내용은 학술지 임상 전염병(Clinical Infectious Diseases), 최신호를 통해 소개되었다.
결핵 백신은 다른 치료 약물과 달리 결핵을 완전히 제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150만 명에서 300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결핵으로 인해 목숨을 잃고 있는 상황에서 결핵 백신 개발의 중요성이 그만큼 큰 셈이다.
결핵 백신 개발을 위한 청사진(Blueprint for TB Vaccine Development)이란 제목으로 발표된 이번 연구 보고서 내용에서는 결핵이 전 지구 규모의 보건 문제 가운데 우선적으로 해결해야만 할 질병이며 백신 개발을 위해 국제적인 협력 연구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번 연구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NIAID의 결핵 및 나병(leprosy) 프로그램 책임자인 앤 진스버그(Ann
Ginsberg) 박사에 따르면, 결핵 백신의 개발에는 많은 연구 기간이 필요하며 여러 나라의 정부간 협력을 비롯해 업계간, 학계간 협력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 보고서는 지난 1998년에 NIAID와 미국 국립백신프로그램부(National Vaccine Program Office)가 공동으로 개최한 결핵 워크샵에서 개발된 것으로 현재 DHHS(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가 소집한 특별 조사단이 이에 대한 검토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국립보건원을 대표해 이번 특별 조사단 활동에 참여하고 있기도 한 진스버그 박사는 이번에 발표된 연구 보고서의 내용이 결핵 백신 개발을 실질적으로 증진시키고 독려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는데 발표된 보고서의 주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결핵에 감염되는 사람들의 수는 전 세계적으로 5,400만 명에 이르고 있다. 현재 결핵 백신으로 사용되는 유일한 약물인 BCG(bacille Calmette-Guerin) 백신은 이미 그 효능을 크게 상실한 실정이며 오히려 결핵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인 피부 시험(skin tests)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 때문에 BCG 백신은 현재 미국에서 사용을 권장 받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다만 BCG 백신이 유아에게 발생한 결핵에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도 결핵이 만연한 지역의 유아들에게 BCG 백신의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이상적인 백신은 안전성(safety)이 확보되어야만 하고 효능이 오래 지속되며 무엇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 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BCG 백신에서 보이는 부작용인 피부 시험 저해도 없어야 하며 실제로 질병의 발병과 확산을 방지하는데 좋은 효능을 보여야만 한다.
이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결핵 백신의 개발은 간단하지가 않다. 먼저 결핵을 일으키는 세균(bacteria)이 매우 느린 속도로 복제를 하기 때문에 병원체 자체에 대한 연구가 쉽지 않다. 그리고 결핵의 전염력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자칫 연구자들에게 위험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핵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안전에 관한 표준을 마련해 이를 준수하고 연구에 사용하는 장비도 표준화 시켜야만 한다는 문제가 남아 있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 보고서에서는 현재 개발 중인 백신을 크게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생·약독 백신(live, attenuated vaccines)과 아단위 백신(subunit vaccines), DNA 나백신(naked DNA vaccines)이 그것으로, 생·약독 백신은 실험실에서 결핵 세균을 유전학적으로 조작해 병독성(virulence)을 약화시켜 이를 백신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아단위 백신은 결핵 세균의 구성물 가운데 일부를 사용해 인체에 면역 반응(immune response)을 유도하는 것이고 DNA 나백신은 결핵 세균으로부터 DNA를 추출해 이를 조작한 후 사용하는 것이다. 마지막 방법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백신 개발 기술로 알려져 있다.
(2000년 07월 06일)
(연구개발정보센터)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