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본격적인 생물농약시대 멀지 않아

  • 등록일2003-10-01
  • 조회수1137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환경
  • 자료발간일
    2003-10-01
  • 출처
    특허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물 농약
  • 첨부파일
본격적인 생물농약시대 멀지 않아
 
▶ 환경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노력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친화적인 생물농약개발이 활발해지고 이에 따른 특허출원도 급증하고 있다.
 
▶ 생물농약이란 동물, 식물, 미생물 및 천연물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하여 병해충을 방제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러한 생물농약은 생태계 파괴 없이 특정 해충만을 골라서 방제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화학농약에 비해 효과가 늦게 나타나고 유해생물 종류별로 각각 다른 농약을 개발해야 되는 단점도 있다.
 
▶ 1992년 리우 세계환경회의에서 농약사용량의 20%를 생물농약으로 대체하도록 결의함에 따라 각국은 정부차원에서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제한하고 생물농약 개발을 촉진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화학농약의 사용을 줄이고 생물농약의 사용을 증대시키는 것은 세계 농약산업의 새로운 추세가 되고 있다.
 
▶ 생물농약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수확기에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호응은 물론 농민들의 선호도가 매우 높은 상태로서, 농작물 재배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전체 농약사용량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물농약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 생물농약의 시장규모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데, 현재는 세계 농약시장규모(350억불)의 3%에 불과하나 2010년에는 전체 450억불의 1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며, 국내에서도 현재는 전체 농약시장의 1% 내외 수준이나 2010년에는 10%(1,220억원)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국내 특허출원 현황을 살펴보면, 2000년 이후 생물농약의 출원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90년대 초반엔 34건으로 전체 농약특허출원의 8.9% 정도에 불과하였으나, 90년대 후반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대 접어들면 서 106건으로 전체 농약특허출원의 18.0%를 차지하고 있다.
- 출원인별로는 내국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되어, 1990년대 초반에는 17.6%에 불과하였으나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87.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기술내용별로는 세균, 곰팡이 등 미생물을 이용한 농약이 4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페로몬(곤충유인 성호르몬)과 천적을 이용한 특허출원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한약재나 유전자변형기술을 이용한 생물농약이 출원되고 있어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생물농약은 원제에서부터 제품까지 독자적인 개발이 가능하고 개별 마케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이나 벤처형 기업에 매우 유리하며, 화학농약에 비해 개발비용, 성공가능성, 투자효과 등 여러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앞으로 생물농약에 대한 연구개발과 특허출원이 더욱 활발히 촉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연도

'93∼'94

'95∼'96

'97∼'98

'99∼'00

'01∼'02

생물농약 출원

34

40

83

70

106

농약 출원

383

416

625

507

588

생물농약 출원비율(%)

8.9

9.6

13.3

13.8

18.0

[별첨1] 연도별 전체 농약중 생물농약 출원비율 (단위 : 건)

연도

'93∼'94

'95∼'96

'97∼'98

'99∼'00

'01∼'02

내국인 출원

6

9

39

56

93

생물농약 출원

34

40

83

70

106

내국인 출원비율(%)

17.6

22.5

47.0

80.0

87.7

[별첨2] 생물농약 특허출원에 대한 내국인 출원 비율 (단위 : 건)

[별첨3] 주요 특허출원현황

구분

특허출원번호

발명의 명칭

주요 기술내용

출원인

1

10-2002 -0322240

페니실리움 속(Penicillium sp.)F70614(KCTC 8918P)와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
신균주 페니실리움 속(Penicillium sp.) F70614(KCTC 8918P)와 α-글루코시다제 저해작용을 갖는 디케토피페라진 유도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

10-2002 -0356993

비티 함유 미생물 살충제 조성물
배추좀나방, 파밤나방, 배추흰나비 등과 같은 나비목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토양 유래 미생물인 바실러스 튜린지엔시스를 함유하는 미생물 살충제

동부한농화학(주)

3

10-2001 -0316146

병해충에 길항작용을 갖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농약조성물
고추역병이나 오이노균병 등과 같이 특정의 농작물에 병해를 유발하는 병해충에 길항작용을 갖는 길항미생물을 사용 및 취급이 간편한 농약조성물

동부한농화학(주)

4

10-2002 -0332357

등얼룩풍뎅이 유충 방제용 바실러스 파필리애 및 그를 이용한 등얼룩풍뎅이 유충방제방법
등얼룩풍뎅이의 유충방제에 효과가 뛰어난 바실러스 파필리애 (Eve-976)균주를 처리하여 등얼룩풍뎅이 유충을 방제하는 방법

삼성에버랜드(주)

5

10-2001 -0313671

항균활성을 갖는 크리프토카르야 아로마티카 추출물
세균, 효모 및 균류 등 다양한 미생물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크리프토카르야 아로마티카 추출물

롯데제과 (주)

6

10-2002 -0350391

식물에서 추출한 살비성 조성물
트랜스 시남알데하이드(trans-cinnamaldehyde), 시나밀 알코올(cinamyl alcohol) 및 살리시알데하이드(salicylaldehyde)의 살비성 화합물을 혼합하였을 때 살비능에 대해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식물에서 추출한 살비성 조성물

(주)내츄로바이오텍

7

10-2001 -0294023

작물의 병해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및 그 용도
곰팡이에 의한 작물의 병해, 이를테면 잿빛곰팡이병, 잘록병, 입고병, 시들음병 및 브라운 패취, 라지패취 등의 주요 원인 미생물들에 대해 생육저지 효과와 과채류 수확후 선도유지 효과를 갖는 상기 균주를 함유한 미생물제제

(주)그린바이오텍

8

10-2001 -0299768

잿빛곰팡이병균의 중복기생균인 신규 아크레모니움 스트릭툼균주 및 이를 이용한 잿빛곰팡이병의 생물학적 방제방법
작물 재배시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잿빛곰팡이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하는 방법

한국화학연구소

9

10-2002 -0317666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슨스 바이오바 1 PFB111 및 이를 이용한 더뎅이병 방지용 분의처리제
감자더뎅이의 원인균인 방선균(스트렙토마이세스 속)에 대한 항균물질을 분비하는 슈도모나스 플로레슨스 바이오바

강원도

10

10-2001 -0312330

키티나아제 생산성 길항균주 세라티아 프로테아마쿠란스 3095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법
고온 및 광범위한 pH 영역에서 안정하고 난분해성 키틴도 단시간내에 분해하는 강한 키티나아제를 생산하는 뛰어난 길항효과가 있는 길항균주 세라티아 프로테아마쿠란스

영남대학교

(www.kipo.go.kr)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