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탁월한 차세대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성공

  • 등록일2004-06-28
  • 조회수1207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4-06-28
  • 출처
    과기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 후보물질#골다공증
  • 첨부파일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탁월한 차세대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성공

 

□ 파골세포의 형성 및 활성 억제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ㅇ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일환인 생체기능 조절물질개발사업(사업단
    장  유성은)의 연구과제를 수행중인 (주)오스코텍(연구책임자 김정근)과 한국화학연구원
    생물유기연구팀이 2년 반 동안의 협력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골다공증 치료제의 단점을 극
    복한 차세대골다공증 치료제 후보물질 (OAAS-1)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ㅇ (주)오스코텍 연구팀은 파골세포(osteoclast)의 형성과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골다공증을
    치료할 수 있는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화합물 라이브러리(library)를 탐색하여
    유효물질을 찾아낸 후 다양한 유도체를 합성하면서 그 약효를 검증하였고 약동력학·대사·
    독성 등을조기에 검색하여 효능과 생체이용률 측면에서 우수한 후보물질을 확보하였다.


□ 골다공증이란?

ㅇ 골다공증은 조골세포에 의한 뼈의 생성량보다 파골세포에 의한 뼈의 파괴량이 증가하여
    골밀도가 감소하는 질환으로, 통증이나 별다른 증상이 없이 진행되다 작은 충격에도 갑자
    기 손목?대퇴골 또는 척추 뼈가 부러지면 비로소 골다공증이 있음을 알게 되는 질병이다.

ㅇ 골다공증은 전 세계적으로 심혈관계 질환 다음으로 유병률이 높으며 폐경기 이후 여성에
    서 두드러지게 발생되어 65세 이상의 여성 2명중 1명, 남성의 경우 5명중 1명에서 골다공
    증에 의한 골절이 발생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노년층의 사망원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ㅇ 골절이 발생하면 통증이 매우 심하고,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흔하며 엉덩이 관절이나 척추
    골절의 경우 오랜 기간 동안 누워 지내야 하며, 골절 후 일정 기간내의 사망률이 증가하므
    로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 및 환자와 가족이 겪는 고통이 대단히 커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
    고 있다.


□ 골다공증 치료제 현황 및 문제점

ㅇ 현재 골다공증 치료제로 호르몬 대체요법,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및 칼시토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약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호르몬 대체요법의 경우 유방암 또는 자궁암의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고,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경우 투여방법이
    매우 까다롭고 심각한 소화계통의 이상반응을 유발하는 등 약물 투여 시 겪는 부작용이 매
    우 심각하여 차세대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ㅇ 세계적인 제약회사들이 여러 종류의 약물들에 대한 임상실험을 진행하였거나 진행 중에
    있지만 아직 탁월한 차세대의 신약이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 골다공증 신약 후보물질 개발의 의의 및 기대효과


ㅇ 이번에 개발에 성공한 OAAS-1은 세포수준에서 뼈를 파괴하는 주된 세포인 파골세포의 생
    성과 활성을 강력히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폐경이후 여성의 뼈 대사와 가장 유사
    한 난소를 절제하여 골다공증을 유발한 흰쥐 질환모델에서 기존의 약물에 비해 골밀도 감
    소를 탁월하게 차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ㅇ 또한 기존 약물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간편하게 먹을 수 있고 안전하며 약효가 뛰어난 획기
    적인 골다공증 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ㅇ 이 후보화합물(OAAS-1)은 특허출원중이며 (주)오스코텍이 특허전용실시권에 대한 계약
    을체결한 후 앞으로 임상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며,

ㅇ 앞으로 신약개발의 전과정을 통과하여 신약으로 최종 개발되면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를
    통한 삶의 질 개선에 획기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연간 80 억불 이상의 세계시장
    을 석권할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 문의 : 오스코텍(주) 김정근 사장 (041-555-7666)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단장 유성은 (042-860-7742)

            과학기술부 생명환경기술과 임성영 (02-504-2366)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