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프로테오믹스의 국내외 연구동향
- 등록일2002-10-23
- 조회수1202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02-10-23
-
출처
보건산업기술동향
- 원문링크
-
키워드
#프로테오믹스
- 첨부파일
프로테오믹스의 국내외 연구동향
백 융 기
연세대 생화학과
1. 서론
1) 인간 게놈프로젝트 이후의 방향
인간 게놈의 초안이 2001년 2월에 발표되고, 최종 마무리 작업이 한창인 요즈음 게놈프로젝트 이후의 글로벌 프로테옴프로젝트가 최대의 관건이 되고 있다. 실제로 게놈의 구조를 밝히고, 그것의 기능을 연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방향 전환이며, 이를 기능유전체학(functional genomics)이라 칭한다. 기능유전체학은 대략 4단계의 수준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 같다. 즉, 게놈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체학(Genomics), RNA 발현을 대상으로 하는 전사체학(Tranomics: 註: 이 분야는 유전체학에 포함시키는 것이 관례이다), 단백체를 대상으로 하는 단백체학(Proteomics) 및 대사물질을 대상으로 하는 대사체학(Metabolomics) 이다. 이들 네 분야는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독립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의미가 적고, 상호보완적으로 연구수단과 결과를 공유하여야 진정한 유전자의 기능을 연구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본 고에서는 일단 단백체학을 중심으로 세계인간프로테옴기구인 HUPO (Human Proteome Organization)가 추진하고 있는 5대 Human Proteome Initiatives 와 같은 글로벌 프로테옴프로젝트를 조명하여 최근의 연구동향을 소개하기로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천연물 의약
-
다음글
- 최근 세계 신약개발 동향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