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기능성 식품 기술동향
- 등록일2003-07-15
- 조회수1151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03-07-15
-
출처
보건산업기술이전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기능성 식품
- 첨부파일
기능성식품 기술동향
하 상 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기능성식품은 1984∼1986년 일본 문부성 특정연구사업의 하나인 「식품기능의 계통적 해석과 전개」에서 처음 거론되어, 1차 영양 기능과 식품의 기호성에 관여하는 2차적 감각기능에 식품의 다양한 생리활성조절의 3차기능을 강조하는 식품으로 용어가 정의되었다. 우리 나라에서의 기능성 식품이라는 용어는 법규나 규정상의 용어가 아니며, 기능성과 관련된 식품의 분류는 식품공전 제 4 식품별 기준 및 규격 중 “12. 특수영양식품”에 영아용 조제식 등 8종이 있으며 “13. 건강보조식품”에는 정제어유가공식품 등 24종의 식품이 있고, 인삼제품류와 다류, 기타식품류의 추출가공식품 등의 일부를 기능성식품으로 분류하고 있다. 일본이나 유럽 등 기능성 식품이 발달된 나라에 비해 우리 나라의 기능성식품은 미량의 영양성분을 강화한 영양강화식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유용성분을 강조한 가공식품의 등장이 두드러짐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특수성분 첨가로 효능을 얻고자 하는 기능성제품의 증가가 예상된다.
1. 국내 기술개발 동향
1) 연구개발 인력현황
2001년도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에 따르면 국내 식품산업 연구개발기관수는 총 117곳으로, 국내 식품제조 및 가공업체 수가 약 16,000곳인 점을 감안한다면, 국내 식품산업의 연구기관수준은 약 1%의 낮은 수준으로 대기업이 27.5%, 중소기업이 53.8%, 벤처기업이 18.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171개 연구개발기관의 평균 연구 인력수는 12.1명으로 이중 연구지원기능인력은 평균 3.3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소 인력의 평균 연령대는 30∼40세 사이의 남성인력이 전체의 50%선으로 가장 많은 인력을 차지하여 여성인력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으며, 연구인력의 학위 분포는 절반 가량이 학사학위를 소지하였으며, 40% 가량이 석사학위, 10% 미만이 박사학위를 소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원의 주요 전공은 생명공학이 45%선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농림학, 화학공학 전공자들이 식품산업체 연구개발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러시아의 의약품 산업현황
-
다음글
- 제약산업의 최근 동향 및 전망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