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미생물 유전체 소재은행 오픈
- 등록일2003-08-04
- 조회수887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03-08-04
-
출처
BIOZINE
-
원문링크
-
키워드
#미생물 유전체
미생물 유전체 소재은행 오픈
미생물을 이용한 산업화 및 실용화 촉진 계기
인터넷에 기반한 유전체 정보 제공도 동시 실시
인터넷에 기반한 유전체 정보 제공도 동시 실시
□ 과기부 프론티어사업단인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은 미생물 소재은행과 유전체 정보기지 구축을 완료하여 2003년 8월 초부터 서비스 시작 □ 단편적인 미생물연구가 아닌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미생물연구를 통해 미생물산업 기술 강국으로의 발전 기대 |
1. 추진배경

□ 선진국을 중심으로 산업적 경제적 가치를 보유하고있는 미지의유용미생물자원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과학기술부의「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미생물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최근 김치의 비밀을 푸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유산균들의 유전체를 해독하는 등 가시적 성과가 나오고 있음.
2. 추진현황

□ 미생물 소재은행에는 해양, 특수환경, 배양이 어려운 미생물 등으로부터 저분자대사물질과 단백질을 체계적으로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으며, 필요한 과학자들에게 분양한다.
□ 현재 미생물에서 유래된 대사산물 1천여 개와 정밀화학 소재용 효소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염기서열이 규명된 100여종의 미생물 염색체를 보유하고 있다.
□ 한편 사업단은 인터넷을 통해 미생물 유전체 정보를 제공하는전보를 가공,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련 연구자들이 웹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이 사이트는 유전체 기능 연구와 산업화 등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맞춤 유전체 정보도 동시에 제공하므로 미생물 유전체 정보에 대한 원스톱 쇼핑이 가능하다.
3. 개발성과 및 향후계획
□ 미생물 유전체 소재은행 개설로 미생물 유전체와 그 산물을 종합적으로 분석·보관·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지금까지의 단편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총체적인 개념의 생물학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고, 인터넷 포탈인 GEM은 향후 국내 미생물을 이용한 산업화 및 실용화를 활성화 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042-860-8200)
미생물 소재은행 한국생명공학연구원 (042-860-4442)
미생물 유전체 정보기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042-860-4412)
-
이전글
- EU 제약산업동향
-
다음글
- 유전자치료의 핵심인 유전자전달체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