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미생물 유전체 소재은행 오픈

  • 등록일2003-08-04
  • 조회수887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03-08-04
  • 출처
    BIOZINE
  • 원문링크
  • 키워드
    #미생물 유전체

미생물 유전체 소재은행  오픈

 
 
미생물을 이용한 산업화 및 실용화 촉진 계기
인터넷에 기반한 유전체 정보 제공도 동시 실시
 
과기부 프론티어사업단인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은 미생물 소재은행과 유전체 정보기지 구축을 완료하여 2003년 8월 초부터 서비스 시작
□ 단편적인 미생물연구가 아닌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미생물연구를 통해 미생물산업 기술 강국으로의 발전 기대


1. 추진배경

□  미생물은 고부가가치 자원으로서 생명공학산업의 핵심소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확인한 미생물은 전체 미생물 종의 1% 미만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등 무궁한 발전가능성을 내포한 미지의 영역임.
 
□  선진국을 중심으로 산업적 경제적 가치를 보유하고있는 미지의유용미생물자원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과학기술부의「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 개발사업」을 통해 미생물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최근 김치의 비밀을 푸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유산균들의 유전체를 해독하는 등 가시적 성과가 나오고 있음. 


 2. 추진현황
 
□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을 수행중인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단장 오태광(吳太廣)박사)』은 「미생물소재은행」(www.microbank.re.kr) 구축을 완료하고, 2003년 8월 초부터 미생물 연구에 필요한 소재분양과 정보제공 서비스를 시작
 
□  미생물 소재은행에는 해양, 특수환경, 배양이 어려운 미생물 등으로부터 저분자대사물질과 단백질을 체계적으로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으며, 필요한 과학자들에게 분양한다.
 
□  현재 미생물에서 유래된  대사산물 1천여 개와 정밀화학 소재용 효소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염기서열이 규명된 100여종의 미생물 염색체를 보유하고 있다.
 
□  한편 사업단은 인터넷을 통해 미생물 유전체 정보를 제공하는전보를 가공,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련 연구자들이 웹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이 사이트는 유전체 기능 연구와 산업화 등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맞춤 유전체 정보도 동시에 제공하므로 미생물 유전체 정보에 대한 원스톱 쇼핑이 가능하다.
 
3. 개발성과 및 향후계획
 
□  미생물 유전체 소재은행 개설로 미생물 유전체와 그 산물을 종합적으로 분석·보관·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지금까지의 단편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총체적인 개념의 생물학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고, 인터넷 포탈인 GEM은 향후 국내 미생물을 이용한 산업화 및 실용화를 활성화 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 (042-860-8200)
         미생물 소재은행 한국생명공학연구원 (042-860-4442)    
         미생물 유전체 정보기지 한국생명공학연구원(042-860-4412)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