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전북대 Cytokine은행

  • 등록일2004-01-28
  • 조회수1089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04-01-28
  • 출처
    한국과학재단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Cytokine
전북대 Cytokine은행
 
Cytokine은행(Bank for Cytokine Research, BCR; http//cytokine.chonbuk.ac.kr)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cytokine을 연구소재로 설정하고, cytokine 그 자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cytokine을 이용한 연구에 대
한 지원을 은행의 주된 기능으로 하고 있다.

Cytokine은 면역계, 조혈계 및 내분비계 등 생체의 여러 가지 고차 기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생리활성물질
로서, 주로 면역반응 및 관련 세포작용을 연구하는 기초학문 분야와 임상치료에 그 이용이 급증하고 있는
연구소재이다. 그러나, cytokine 관련연구재료는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 생산되는
양이 적고, 그 작용이 일시적이고 다양하다는 특성을 가지며, 다른 cytokine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그 효과
가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그 양과 활성의 측정이 어려운 연구재료이다.

Cytokine은 면역계, 조혈계 및 내분비계 등 생체의 여러 가지 고차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생리활성물
질로서, 주로 면역반응 및 관련 세포작용을 연구하는 기초학문 분야와 임상치료에 그 이용이 급증하고 있
는 연구소재이다. 그러나, cytokine 관련 연구재료는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 생산되
는 양이 적고, 그 작용이 일시적이고 다양하다는 특성을 가지며, 다른 cytokine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그 효
과가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그 양과 활성의 측정이 어려운 연구재료이다.

아울러 cytokine은 시간의 경과와 보관상태에 따라 변성이 아주 잘 일어나는 단백질로서 활성의 변화가 많
은 소재이기도 하며, 매우 고가라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종류의 다양성, 연구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
움 때문에 개별 연구실 수준에서 다양한 종류의 cytokine 관련 연구의 수행에는 많은 경제적·기술적 부담
을 갖는 연구소재이다. 더구나 cytokine 유전자나 세포주 등 국내 연구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관련 연구재
료 중 대부분이 외국의 연구자로부터 분양을 받은 것이어서 국내의 다른 연구자들이 이를 공유하기에는 어
려움이 많다.

Cytokine은행 은행장 장용석 교수는 1994년 전북대학교에 임용된 후 cytokine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연구비 부담이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관련연구를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의 필요성을 간절히 느꼈다고 한
다. 즉, 실험실에 다양한 cytokine의 정량과 활성 측정을 위한 기술이 확보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비싼
kit를 써야만 했고, 연구비 부담으로 인해 원하는 실험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없어 아쉬웠다고 한다. 때마
침 과학재단에서 지원하는 특수연구소재은행 사업을 알게 되었고, 1년 남짓 동안의 준비과정을 통해 1999년
에 특수연구소재은행으로 선정될 수 있었다.


연구뿐 아니라 치료를 위한 임상용으로도 사용

Cytokine은행은 현재 cytokine 유전자 제공, cytokine 정량 대행, cytokine 활성측정 대행, cytokine 유전
자 증폭 및 검색용 primer 제공, 재조합 cytokine 생산 및 제공,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연구정보와 기술의 제
공 등 6개의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하여 연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ytokine은행은 지속적인 의견수
렴을 통해 다양한 cytokine 관련 연구소재의 확보를 위한 작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은행이 보유하
고 있는 연구소재의 활용 촉진을 위해 보다 저렴한 서비스 제공이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cytokine 관련 연
구에 필수적인 cytokine 단백질을 중심으로 관련소재를 은행 연구진이 자체생산 및 대량생산을 시도하여 완
료되는 대로 분양을 시도하고 있으며, 점차 그 대상을 늘려가고 있다.

아울러, 자체 생산된 cytokine 단백질을 이용한 단클론항체의 생산을 통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한
ELISA system의 자체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6개 서비스 영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지
속적인 확대를 기본 목표로 하고, 2004년에 본 은행이 특수연구소재은행으로 다시 선정이 되면 재조합
cytokine 단백질과 이의 정량에 사용 가능한 단클론항체의 확보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 보다 다양하고, 저
렴한 연구지원 서비스를 확충할 계획이다.

Cytokine은행에서 관리하고 있는 연구소재인 cytokine은 기초 및 응용 생명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연구용으
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만성염증성 질환과 자가면역 질환 및 암을 비롯한 질병의 진단 및 면역학적
치료를 위한 임상적인 용도로도 이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cytokine을 이용한 연구와 치료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 및 임상에 cytokine 관련 연구소재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연구재료
가 갖는 고가의 특성 때문에 연구자들이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은행을 통해 최적의 cytokine 연구재료와 관련 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함으로써 국내의
cytokine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의 효율성과 수월성에 기여하며, 다양한 cytokine 연구관련 재료와 기술을
확보하고, 원하는 연구자에게 이와 관련된 각종 정보와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국내의 cytokine 관련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전체적으로 관련분야의 기초 및 응용학문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실제로 Cytokine은행의 분양 및 서비스 실적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수치상으로 보면 1차년도
에 21건, 2차년도에 430건, 3차년도에 775건, 그리고 4차년도에는 1,383건의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며, 수수
료 징수액도 2차년도에 450만원, 3차년도에 860만원, 그리고 4차년도에는 1,350만원을 징수하여 괄목할만
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은행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은 전국의 기관들을 살펴보면 한정
된 연구비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보다 저렴한 서비스를 원하는 대학들이 가장 많았고, 다양한
cytokine 관련 소재 개발이 용이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 절감을 위해 국내 연구소와 벤처 및 기업체에서
도 지속적으로 의뢰가 들어오고 있다.

이처럼 여러 유용단백질 중 cytokine의 생산과 관련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국내 연구소와 기업체
에 본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재료와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외 의존성을 낮추고 효율적인 제품
개발에 기여하여 외국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cytokine 관련 연구재료의 국산화에 기여하여 보다 수월하
게 cytokine 관련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 구축에 공헌을 하고 있다.

국내 Cytokine 관련연구 기반 구축에 '한몫'

특수은행 선정 평가 당시 심사위원들이 보유 소재의 빈약성을 지적했을 때 난감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
다는 장 교수는 지금은 그에 비해 수십 배에 달하는 소재를 확보하고 있어 가능성과 필요성을 고려한 재단
의 지원 결정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실감하고 있다고 말한다. 특수연구소재은행으로 선정
된 후에도 학교의 대응자금을 받는 과정에서 애로가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시행초기에 사무실 설치 및 매
년 상당액의 대응자금 확보 등 학교의 전폭적인 지원이 이루어져 사업 수행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Cytokine은행을 운영하면서 제공한 서비스에 대해 불만스러워 할 때 손해를 감수하면서 반복실험을 수행했
던 일이나, 계속적인 논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했던 일, 연구자의 형편에 따라 서비스 요금을 많이 할인해
준 경우에도 비용이 너무 비싸다고 할 때의 난감했던 일 등 많은 일들이 생각나지만, 무엇보다도 cytokine
유전자 무료 분양의 숫자를 제한하게 된 점은 지금도 안타깝게 생각된다고 장 교수는 말한다.

꼭 필요해서였을 수도 있지만 수십 개의 유전자를 한꺼번에 분양해 달라는 분이 몇 분 있어서 꼭 필요한
경우에 분양을 요청했으면 하는 의미에서 어쩔 수 없어 무료 분양의 숫자를 제한했지만, 무엇보다도 결과
에 만족하고, 비영리로 운영되는 은행의 사업취지를 이해하고 고맙다는 말씀을 하실 때가 가장 보람을 느낍
니다.


■ 문 의 : 전북대 Cytokine은행 장용석 소장
전 화 : 063-270-3343
E-mail : yongsuk@moak.chonbuk.ac.kr


(한국과학재단 웹진 1월호)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