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의약물 개발 활발
- 등록일2000-11-09
- 조회수1328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0-11-09
-
출처
특허청
-
원문링크
-
키워드
#플라보노이드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의약물 개발 활발
인간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개개인의 건강에 관한 관심과 더불어 의약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의약분야에서는 천연에 존재하는 신물질을 이용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과일류에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물질을 이용한 의약은 우리나라에 풍부한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수입의약품과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천연물이란?
- 지구상의 생물 내에 존재하는 물질 및 세포배양 또는 조직 배양을 통해 생성되는 물질등 생물을 기원으로 하는 모든 물질을 의미함.
- 아편으로부터 몰핀을 분리(1806년)한 것이 대표적인 예임.
- 생체에서 생리활성을 가지는 천연물질은 고부가가치 의약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음.
◇ 플라보노이드란?
- 그리스어로 황색 을 의미하는 flavus 에서 유래된 단어임.
- 과일껍질, 씨앗, 꽃 등에 다량 분포하며, 색소의 성분으로 알려지면서 예로부터 염료및 식용색소로 이용되었음.
- 건조된 녹차잎의 경우 플라보노이드가 녹차잎 무게의 30% 정도 함유되어 있음.
- 식물에는 당과 결합된 형태의 물질(=배당체)이 많음.
◇ 플라보노이드 물질의 활용 및 출원동향
- 하루에 적포도주를 1-2잔 정도 마시면 심장병 및 뇌졸중의 위험이 낮아지고, 포도주스를 먹어도 같은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되었음.
- 보라색 포도에 쿼세틴(Quercetin)이라는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있어서 혈액 중에 해로운 물질(주로 산소라디칼)이 생성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졌음
-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질병의 원인이 되는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 물질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음.
- 1990년대 이전에는 은행잎 등 효능이 이미 알려져 온 추출물에 관한 기술이 주류이며, 1990년 이후에는 은행잎 뿐만 아니라, 녹차, 감잎, 솔잎, 녹두, 메밀 등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들의 추출물을 의약에 적극 활용하려는 기술들이 개발되었고 냄새제거, 피부화장료, 건강음료, 건강식품 등으로 활용분야가 확대되었음.
- 1990년대 중반부터는 식물추출물의 활용분야가 더욱 넓어졌고, 의약분야에서는 새로운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추출됨에 따라 치료대상 질환이 다양해져서 간질환, 당뇨병, 류마티스관절염, 각종 암, 진통, 바이러스성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동맥경화등 혈관계 질환, 심근 관련 질환, 스트레스, 우울증 등에 약리활성이 있음이 밝혀졌음.
- 연대별 특허출원 동향 및 주요출원은 표1에 예시된 바와 같고 1990년 이후 플라보노이드 관련 출원이 증가 일로에 있으며 최근 3-4년 동안은 출원 건이 급증하였음.
- 내국출원인의 비율이 75% 정도를 차지하며, 출원인의 분포는 제약, 화장료, 식품회사 등이 주류이며, 최근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등의 학계 및 개인출원인의 출원이 증가하는 추세임.
- 최근에는 우리나라에 풍부한 과일 또는 과일껍질에서 추출된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당뇨병, 간질환 , 동맥경화증 등 여러 가지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는 기술이 다수 출원되었음.
- 특히 생명공학연구소에서는 감귤껍질에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성분(나린진, 헤스페리딘 등)이 혈당 강하, 동맥경화증 및 간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고 이와 관련한 국내출원은 25건이며, 14건이 국제출원 되었음.
◇ 향후 전망
-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생체 내에서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은 인정된 사실이며, 해마다 새로운 플라보노이드 물질이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특정플라보노이드의 특정질환에 관한 약리활성을 검증하고 이를 실용화하는 것이 중요함.
-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전승되어 온 천연물에 관한 경험 및 지식이 풍부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풍부한 자원으로부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학문적 연구가 뒷받침되어 기술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높이는 일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고 더불어 의약등 산업상 성공을 위해서는 임상연구가 과학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
◇ 연도별 플라보노이드 관련 출원동향(출원일 기준 1978년 - 1999년 4월)
|
내외국별 출원 건 |
대표적인 발명의 명칭 |
|
내국 |
외국 |
||
1978-1980 |
1 |
1 |
은행엽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화합물을 추출정제하는 방법(80-1397) |
1981-1985 |
1 |
0 |
카르두스 마리아누스의 종자로부터 고농도의 실리빈함유 엑기스의 제조방법(85-4141) |
1986-1987 |
0 |
2 |
플라보노이드화합물의 추출, 정제방법(87-2530) |
1988-1989 |
6 |
2 |
신규한 은행나무의 추출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89-13530) |
1990 |
8 |
4 |
혈관순환장애에 유효한 활성물질의 추출, 정제방법(90-7390) 인산잎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추출방법(90-13966) |
1991 |
15 |
5 |
녹차 플라보노이드의 추출방법(91-11858) 화장료용 감초 플라보노이드 추출물의 안정화 방법(91-16249) |
1992 |
7 |
3 |
인동으로부터 얻는 바이후라보노이드의 항염증, 항알러지 및 항류마 티스 작용제(92-11752) |
1993 |
2 |
3 |
꾸지 쫑나무 모상근 배양에 의한 후라보노이드계 항암물질의 생산방 법(93-27270) |
1994 |
11 |
7 |
후라보노이드 화합물로 된 암 화학예방 요법제(94-587) 녹차추출물을 함유하는 생약 건강음료(94-35598) |
1995 |
7 |
4 |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95-21957) 녹두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 조성물(95-37612) |
1996 |
29 |
0 |
항스트레스성 조성물(96-8230) 홍화추출물 및 그를 함유한 혈액순환 개선제(96-39952) |
1997 |
63 |
12 |
항암효과를 가지는 삼백초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97-50021) 감귤류 과피추출액을 포함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97-59428) |
1998 |
65 |
20 |
헤스페린딘을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98-10888) 나린진 또는 나린제닌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예방치료용 조성물 (98-11450) |
1999 |
30 |
17 |
인동추출물을 함유한 천식치료제(99-2009) 인삼 및 감귤류 과피 유래물질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조성물(99- 20441) |
총계 (325건) |
245 (75%) |
80 (25%) |
(자료출처: http://www.kipo.go.kr/html/NewIndex.html)
-
이전글
- 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
-
다음글
- 콩 및 콩발효제품 암예방효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