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극한환경 미생물의 탐색과 이용
- 등록일2004-03-23
- 조회수798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극한환경 미생물은 환경정화와 환경수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구상 미생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살
아 있으나 배양되지 않는 미생물”(VBNCM: viable but not culturable microorganism)의 분리배양법의 개발
과 그 유전자원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DeLong 등(1999)은 분자생물학과 유전학적 방법으로 유전정보에서 미생물의 생리 기능을 추구하여 생산물질
을 역으로 발현시키는 연구를 하고 있다. Stetter 등은 미발견 미생물의 검출방법으로 광(光) 핀셋을 이용
한 razer manipulation system을 개발하여 지구 미생물의 검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처럼 선진 연구기관에서는 극한환경 미생물을 탐색하여 이미 수십 종의 게놈을 확인하였고, 그 균주에서
추출한 내고열성 효소는 유전자실험용, 식용, 산업용에 이용되는 단계에 들어섰다. 이러한 연구 추세는 앞
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KISTI)
관련정보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2025-02-04
- BioINpro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바코드 미생물 2024-06-26
- BioINwatch 장내 미생물은 보호하면서도 병원성 세균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항생물질 발굴 2024-06-13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