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연구소탐방] 디지털지노믹스㈜
- 등록일2004-09-06
- 조회수1079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디지털지노믹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번지
Tel : 02-362-9762
Fax : 02-312-9473
E-mail : info@digital-genomics.co.kr
Homepage : www.digital-genomics.co.kr
디지탈지노믹스㈜는 게놈기능조절 창의연구단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0년 7월 지노믹스 전문 벤처기업으로 그 첫걸음을 내딛었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질병의 조기 정밀진단과 개인적인 유전적 특징에 따른 맞춤형 치료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탈지노믹스㈜는 이런 시대적 요구에 맞춰 지노믹스 연구를 중심으로 진단제 개발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연구개발 과정에서의 얻어지는 중간 성과물을 산업화하여 각종 지노믹스 관련 전문화된 서비스 제공함으로써 국내 연구 커뮤니티에 기여를 하고자 한다.
디지탈지노믹스㈜의 주요 사업분야는 DNA chip 분석 서비스로서, 2001년 7월에 인간 유전자 10,000개의 발현양상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cDNA chip(GenePlorer TwinChip Human-8K)을 개발하여 다수의 연구기관 및 대학 연구실 등에 분석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TwinChip의 포맷을 통해 한 장의 슬라이드에서 duplicate hybridization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실험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였다. 이렇듯 Human chip을 필두로 Mouse 7.4K, Rat 5K, Drosophila 6K 및 Cancer chip등을 발매하여 연구자들로부터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해 왔으며, 2004월 5월 Human Oligo 34K chip을 발매함으로써 cDNA chip뿐만 아니라,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Oligo chip에 대한 요구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카탈로그칩 서비스뿐 아니라 연구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맞춘 Custom chip의 제작 및 분석서비스에도 주력하여 cDNA library 혹은 ORF 제작부터 chip제작 및 full service 전반에 걸친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으며, 그동안 Yeast, E.coli, 돼지, 닭, 고추 등 다양한 chip을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특히 그 동안 DNA chip을 이용한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던 미생물관련 연구에도 보다 활발히 DNA chip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와관련된 기술을 도입하여 향후 다양한 미생물 칩에 대해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디지탈지노믹스㈜는 연구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발맞춘 서비스 제공을 기본으로, 국내 DNA chip 서비스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며 그간 약 300여개의 연구실에 각종DNA chip 서비스를 수행하여 왔다. 3명의 Ph.D와 2명의 Ph.D candidate를 비롯한 우수한 인력, 연간 1,000여회에 걸친 실험을 통한 축적된 노하우, 제조 및 분석 전반에 걸친 매 단계별 QC체계 확립, DNA chip 분석 기술의 핵심인 data processing 및 mining solution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실험디자인부터 데이타에 대한 다양한 분석까지 지속적인 컨설팅 등을 통해 연구원들로부터 신뢰를 쌓아가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지털지노믹스㈜는 실험샘플만 보내면 10일안에 원하시는 양질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다.
최근에는 지난 3년간 디지탈지노믹스㈜의 칩과 분석 서비스를 이용해 진행되었던 실험이 다수의 권위있는 국제학술지에 논문으로 발표되고 있어 그동안 일각에서 제기되던 국내회사의 칩에 대한 신뢰성등에 대해 국제적인 검증을 받게되었다고 할 수 있다 (논문제목 별첨).
이상과 같은 성공적인 분석 서비스 회사로서의 성장의 이면에는 200년 창사이래 지속해 온 연구개발이 디지탈지노믹스㈜의 칩 서비스의 기술적 원천으로써의 역할을 해 주고 있다. 현재 디지탈지노믹스㈜가 수행하고 있는 연구개발을 크게 다음의 세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1. 신약 표적 유전자발굴 및 치료용 항체 개발
디지털지노믹스㈜는 현대사회의 주요 사망 원인중의 하나인 암을 target으로 하여, DNA chip을 통하여 이들 질병 샘플의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약의 표적 유전자를 발굴하였다. 이렇게 발굴된 유전자는 세포주 및 실험 동물에서의 연구를 통하여 기능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와 병행하여 표적 단백질이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표적 유전자의 경우에는 치료용 항체를 개발하여 질병의 치료에 이용하고자 한다.
2. 진단 제품 개발
질병의 진단은 적절한 치료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정확한 진단에 의해 환자의 치료법이 결정되기 때문에, 디지털지노믹스㈜는 환자의 치료법을 결정할 수 있는 진단 제품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유전자 발현을 이용하여 환자를 진단할 경우, 기존의 진단법이 제공해주지 못했던 치료를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즉, A 유전자가 높게 발현되는 환자는 '갑'이라는 치료법으로 치료를 해야 하고, 반대의 경우는 '을'이라는 치료법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면, 이 진단법은 치료 방법 못지않게 중요한 임상적인 의미를 가진다. 디지털지노믹스㈜는 중요 질병에 대해 환자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함으로써 질병을 진단하고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며,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는 진단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3. 약물 반응성 관련유전자 발굴 및 예측
환자가 약물에 대해서 얼마나 잘 반응하는지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약물의 대사, 세포 안으로의 이동 여부, 약물이 작용하는 target의 양이나 활성, 약물 target의 downstream에 있는 단백질이나 신호 전달 체계의 활성 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요인들 중 상당 부분은 유전자 발현에 의해 조절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환자 개개인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함으로써 약물의 약효를 예측할 수 있다.
디지털지노믹스㈜에서는 세포주 시스템을 모델로 하여, 약물의 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표지 유전자들을 발굴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개인에서 약물의 효능을 예측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그 결과 몇몇 약물의 경우에는 유사한 기작을 통해 작용이 조절 받으며, 어떤 약물은 완전히 다른 기작으로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사함으로써 환자 개개인에서 약물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어느 정도의 독성을 나타내는지 예측할 수 있는 맞춤 의학으로 나아가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또한 세포주 모델과 더불어 SNP기법을 이용하여 약물대사과정에 중요한 몇몇 유전자들을 대상으로 유전자형을 분석하는 Genotyping kit 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국내의 대형 병원들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으며, 정신병, 암 등의 여러 질병과 장기이식시에 사용되는 여러 약물에 다른 반응을 보이는 유전자형을 분석할 수 있는 SNP kit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디지털지노믹스㈜는 이상과 같은 연구개발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축적되는 기술적 성과를 DNA chip 분석 서비스에 접목시켜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를 연구 커뮤니티에 제공하고 있으며, 기존의 서비스를 한단계 더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과정에 얻은 다양한 경험과 정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의 과정과 방향을 좀 더 최적화시킴으로써, 연구개발과 서비스사업부문이 서로 상호발전적인 관계속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디지털지노믹스㈜의 GenePlorer 를 이용한 실험 논문 리스트>
1. Yoon-Kyeong Oh, et al. Anti-oxidant adaptation in the AML cells supersensitive to hydrogen peroxide.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19 (2004)
2. Seok Ho Hong, et al.Global Analysis of estrogen-regulated genes in mouse uterus using cDNA microarray and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Journal of Endocrinology (2004)
3. Se-Jin Yoon, et al. A molecular basis for embryo apposition at the luminal epithelium. Molecular and Celluar Endocrinology (2004)
4. Nam Hoon Cho, et al. MMP expression profiling in recurred stage IB lung cancer. Oncogene 23,845-851 (2004)
5. Michael Lee, et al. cDNA Microarray Gene Expression Pro.ling of Hydroxyurea, Paclitaxel and p-Anisidine, Genotoxic compounds With Differing Tumorigenicity Results. Environmentaland Molecular Mutagenesis 42:91.97 (2003)
6. Tae Whan Kim, et al. Med16 and Med23 of Mediator are co-activators of LPS- and heat shock-induced tranional activators.
7. Park JM, et al. Signal-Induced Tranional Activation by Dif Requires the dTRAP80 Mediator Module. Mol Cell Biol. 2003. 23:1358-1367.
8. Se-Jin Yoon, et al. Analysis of the Gene Expression by 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III) -Microarray Analysis of the Gene Expression at the Mouse Uterine Luminal Epithelium of the Implantation Sites during Apposition Period. Korean Journal of Fertility and Sterility. 2002. 29: 323-335.
9. Gu JY, et al.Novel Mediator proteins of the small Mediator complex in Drosophila SL2 cells. J Biol Chem. 2002. 277: 27154-27161.
10. Jin Mo Park, et al. Drosophila Mediator Complex is broadly utilized by diverse gene-sepcific tranion factors at different types of core promoters. Mol. Cell. Biol. 2001. 21:2312-2323
11. Byung Soo Gim, et al. Drosophila Med6 is required for elevated expression of large but distinct set of developmentally regulated genes. Mol. Cell. Biol.2001. 21, 5242-5255
12. Se Nyun Kim, et al. Age-dependent s of gene expression in the Drosophila head. Neurobiology of Aging: MS# 3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