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암조직 선택성 백금착물 항암물질 개발
- 등록일2003-01-17
- 조회수1189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3-01-17
-
출처
과학기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항암물질#항암 물질
암조직 선택성 백금착물 항암물질 개발 위암세포에 탁월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고분자 형 신물질
? 이화여자대학교 나노과학부/화학전공 손연수 교수팀은 과학기술부 중점과 제로 추진중인 생리활성화학물질개발사업중 약제내성을 극복한 종양치료 화학물질 개발과제의 연구수행결과 나노크기의 새로운 비 유기계 포스파젠계 의약전달체에 백금착물을 결합시켜 암조직에 선택성을 갖는 새로운 고분자형 항암제 신 물질을 개발하였 음. 1. 개발배경
현재 임상에서 쓰고 있는 대부분의 항암제는 암세포 또는 암조직에 대한 선택성이 없어 정상세포도 같이 죽이기 때문에 심한 독성과 부작용을 나타낸다. ? 뿐만 아니라 항암제는 내성이 쉽게 발현되므로 항암제 치료가 매우 어렵 게 된다. ? 따라서 암세포 또는 암조직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함 으로써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차 세대 항암제를 개발 하려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2. 개발내용 ? 포스파젠이라는 새로운 비 유기계 고분자에 백금착물을 결합시켜 나노크기의 고분자형 항암물질을 세계최초로 합성 하였 다. ? 이 고분자형 항암제는 수용성이고 생분해성이며 동물시험(KIST) 결과 선 택적 투과·보유효과 때문에 정상 세포조직보다 암조직에 약 6-7배 정도 더 많이 축적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누드마우스를 이용한 동물시험(연세대 암전이센터, 화학연)결과 이 항암 제는 종래 항암제로 치료가 잘 안되는 위암세포(YCC-3) 및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 내었다. ? 특히 우리나라에서 발병률이 높고 화학요법제로 치료가 어려운 위암세포에 대하여 항암제 투여후 60일 시험기간중 암세포 성장률이 10% 미만일 정도로 항암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관찰 되었다. 3. 개발기술의 수준정도 및 개발의미 ? 본 항암제 합성에 사용된 포스파젠계 의약전달체 는 본 연구실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본 신물질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계속 발전시키고 있는 독보적인 연구 분야이다. ? 본 신물질은 고도의 합성기술을 요하는 최 정상급 신기술로 국내외 특허출원 준비 중이며 관련 포스파 젠 전구체에 대해서는 이미 국내외 특허를 획득하였고 최고의 국제학술지에 논 문을 다수 게재 하였다. 4. 개발성과 ? 본 신물질은 나노크기의 포스파젠 의약전달체에 백금착물을 결합시킨 새로운 형태의 항암제로써 기존 항암제로 치료가 잘 안되는 위암 및 폐암세포에 특 효를 나타내므로 상품화에 성공 할 경우 세계시장 진출이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신물질 관련기술은 순수한 그리고 세계적으로 도 독보적인 국산 기술로써 이미 여러건의 미국특허등 국제특허를 획득하였고 정상급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계재하여 본 제품이 상품화에 성공 할 경우 국위선양은 물론 국내외에 막대한 학술 및 기술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5. 향후 활용계획 ? 본 신물질 연구는 현재 과기부가 추진중인 생리활성화학물질 개발 사업 의 일환으로 추진중이며 동성제약(주)이 참여기업으로 지원하고 있다. ? 본 신물질이 임상시험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앞으로 적어도 2년간의 본격 적인 독성 및 대사시험등 전임상 시험을 거쳐야 한다. ? 따라서 전임상 시험 진행 중 임상후보물질이 확정되면 동성제약(주)과 라 이센싱 계약을 체결하고 상품화 연구에 진입할 것이다. ? 임상 제1상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하고 성공적일 경우 외국 전문 대형 제약업체와 공동으로 세계적인 제품화 연구를 수행 할 예정이다 1. 나노 포스파젠 고분자
2. 암조직 선택성 투과·보유 효과 (EPR Effect)
? 포스파젠(phosphazene) 계 의약전달체 : 탄소-탄소 결합( -C-C-C-C- )이 주 골격을 이루는 유기계 고분자와는 전혀 다른 질소-인 결합(-N=P-N=P-)이 주 골격을 이루는 비유기계 물질을 포스파젠이라 칭하며 이 물질은 극한소재로 이미 상용화 되어 있으나 의약전달체로는 본 연구팀이 세계최초로 개 발하였음. ? 선택적 투과 ·보유효과(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ffect) : 신체내의 정상조직은 정상세포들의 규칙적인 배열로 인하여 매우 치밀하지만 암조직은 매우 빠른 세포분열을 통해서 생긴 조직이므로 치밀하지 못하여 적당한 크기(나노)의 고 분자가 많이 축적되는 현상을 말한다. ? 위암세포 YCC-3 : 한국인 위암 환자에서 채취되어 표준화된 위암세포 ? 폐암세포 A549 :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전체 폐암환자의 80%)비소세포폐암 세포 (http://www.most.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