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미국의 기술이전 조류와 성공 사례

  • 등록일2008-06-12
  • 조회수561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미국의 기술이전 조류와 성공 사례

 
 
1. 서론
 
(1) 2008년 3월 21일에 대학의 국제적 산학협력 활동을 추진할 목적으로 문부과학성과 시즈오카대학(靜岡大學)의 주최로 ‘국제기술이전 심포지엄 : 글로벌한 지적재산 활용의 Key Player를 목표로 하며’가 개최되었다.
(2) '미국의 기술이전 동향과 성공 가능성이 있는 기술이전 활동'을 주제로 Ocean Tomo, LLC의 디릭터인 Dipanjan Nag 박사의 기조강연이 있었다.
 
2. 19,000건의 발명 중에서 62%의 출원
 
(1) Thomas L. Friedman씨의 저서에 의하면, 세계는 지금 빠르게 평탄해지고 있으나 지적재산의 관점에서는 세계는 지금 평탄하지 않다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1970년대에 기업 가치의 88%가 유형자산이었으나 2000년대에는 80.4%가 지적재산 등의 무형재산이며 기술이전 활동이 보다 활성화되고 있다.

(2) 또한 AUTM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대학의 연구비는 1990년대보다 단조롭게 증가하고 있으나 2006년도 산업계의 연구자금은 전체의 10% 미만인데, 연방정부로부터의 연구비는 65%이상이며 연방정부의 지원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비의 증가에 따라 미국 대학 전체의 발명 건수가 증가하여 2006년에는 19,000건의 발명 중에서 62%를 출원했다는 것이다.

(3) 미국 대학의 기술이전 성공 사례로는 스탠포드대학교의 유전자 조환기술(組換技術)과 Google, 플로리더대학교의 Gatorade, 윈스콘신대학교의 비타민D, 네브라스카대학교의 농업·식품 관계사업 등의 메가 히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스탠포드대학교의 유전자 조환기술은 지금까지 매상고 350억 달러, 2,442개의 신제품, 468개 회사의 라이선스 실적을 올리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이전 중에서 대학으로부터의 스핀오프 기업의 창출·육성 지원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때 벤처기업의 주식을 대학이 보유하고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일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스탠포드대학교는 Google의 7,574의 A급 주식과 165만여 B급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이하생략
 
 
 
내용바로가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