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세계 각지에서의 신규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개발 동향

  • 등록일2008-12-10
  • 조회수844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세계 각지에서의 신규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개발 동향

 
 
□ 개요

  - 플라스틱의 제조에서 에너지ㆍ자원의 석유의존도는 높아 원료가격의 급등에 따른 제조비용의 상승과 원료확보가 문제가 되고 있음. 플라스틱 제조의 탈 석유화가 주목되는 가운데 세계 각지에서 신규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본 보고서에서는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의 최근 개발 동향을 소개함.

 
□ 독일 BASF사

  - BASF사에서는 플랜트 바이오기술, 환경부하가 적은 화학제품의 바이오기술, 원료대체기술 등의 개발에 대규모 연구투자를 실시, 바이오 베이스 원료 및 플라스틱의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음.

  - 동 사가 전개하는 “Ecovio”는 석화원료 베이스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유산을 혼합한 복합재료로 포장재, 페이퍼코딩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 동 사에서는 이 밖에 바이오 베이스 원료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Lupranol"과 폴리아미드6.10 “Ultramid”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미국 Tells사

  - Tells사는 곡물 메이저의 ADM사와 Metabolix사의 합작회사로 미생물 산생 폴리에스테르 “Mirel”의 판매를 예정하고 있음.

  - “Mirel”은 옥수수 등의 원료를 미생물로 작용시켜 제조한 바이오 베이스 폴리에스테르로 사출성형, 캐스트시트, 페이퍼코딩 등을 중심으로 용도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열성형, 필름화, 섬유화 등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음.

 
□ 브라질 Braskem사

  - 브라질의 화학회사 Braskem사는 사탕수수를 원료로 한 바이오 베이스 폴리에틸렌의 개발에 성공하여 2009년부터 20만t규모의 생산을 계획하고 있음.

  - 사탕수수에서 바이오에탄올을 정제하고 탈수하여 에틸렌으로 변환하여 이를 중합하여 폴리에틸렌을 제조함.

 
□ 태국에서의 대처

  -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촉진을 위한 로드맵(Thailand’s Bioplastics Rordmap)에 기초하여 2007~2021년(15년간)을 내다본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 태국은 카사바를 비롯, 바이오매스 자원이 풍부한 편으로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기술 개발에 대해서는 원료에서 레진 제조까지의 각 프로세스에 대해 대학 및 국립연구소 등이 중심이 되어 연구를 추진하고 있음.

  - 2006년에는 EU와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촉진을 위한 태국 프로그램」을 체결하여 공동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음.

 

□ 중국 Tianan Biologic Material사

  -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의 개발은 중국에서도 추진되고 있음.

  - Tianan Biologic Materials사에서는 바이오 베이스 원료에서의 PHBV의 개발에 성공하여 연 생산 1000t능력의 공장을 건설하였음.

 
□ 일본

  - 경제산업성의 「기술전략 로드맵 2008」의 중요 과제의 하나로 「바이오 베이스의 합성섬유 개발」을 채택하고 있으며 산학관이 일체가 된 개발체제를 정비하고 기술력을 결집하여 당해 개발에 있어 세계를 선도해 나가려 하고 있음.
 

<목차>

1. 독일 BASF사

2. 미국 Tells사

3. 브라질 Braskem사

4. 태국에서의 대처

5. 중국 Tianan Biologic Material사
 
 
☞ 자세한 내용은 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