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생명공학산업의 직업연구
- 등록일2009-09-21
- 조회수1188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8-10-30
-
출처
최동선/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명공학산업 #생명공학산업 직업연구#직업연구
- 첨부파일
Bioin스페셜 WebZine 2009년 12호
생명공학산업의 직업연구
이 연구는 차세대 성장동력의 하나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되는 생명공학산업에 대한 직업연구를 통하여 생명공학산업에서의 직업세계에 관한 심층적인 직업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생명공학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관련 자격체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공학산업의 산업분류 및 직업분류를 분석하고 생명공학산업을 구성하는 직업구조를 밝힌
다.
둘째, 생명공학산업의 주요 직업에 대한 직무분석 및 직무분석 결과를 활용한 요구분석을 통하여 인
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및 자격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셋째, 생명공학산업의 산업별 직업연구를 통하여 생명공학산업을 구성하는 직종의 특성 및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다.
넷째, 생명공학산업에 대한 직업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훈련, 자격, 관련 제도적 개선 등의 정책
대안을 도출한다.
[목 차]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제2절 연구·사업의 내용 및 방법·5
1. 연구·사업의 내용 · 5
2. 연구·사업의 방법 · 7
1. 연구·사업의 내용 · 5
2. 연구·사업의 방법 · 7
제2장 산업동향 및 직업분류
제1절 생명공학산업의 개념 및 동향·13
1. 생명공학산업의 개념 및 유형 · 13
2. 생명공학산업의 현황 및 동향 · 35
1. 생명공학산업의 개념 및 유형 · 13
2. 생명공학산업의 현황 및 동향 · 35
제2절 생명공학산업의 직업분류·50
1.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직업에 관한 선행연구 · 50
2.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의 개념 · 59
3.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의 분류 및 선정 · 62
1.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직업에 관한 선행연구 · 50
2.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의 개념 · 59
3.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의 분류 및 선정 · 62
제3장 주요 직업별 특성
제1절 연구·개발 직종·67
1. 생명공학연구원 · 67
2. 생물정보분석학자 및 생물정보엔지니어 · 77
3. 비임상연구원 · 83
4. 임상연구요원 · 94
5. 인허가 및 관련 규제업무 관리자 · 109
2. 생물정보분석학자 및 생물정보엔지니어 · 77
3. 비임상연구원 · 83
4. 임상연구요원 · 94
5. 인허가 및 관련 규제업무 관리자 · 109
제2절 공정개발 및 제조 직종·120
1. 생물공정개발엔지니어 · 120
2. 바이오제품제조엔지니어 · 130
3. 연구 및 제조·생산·계측장비관리자 · 139
1. 생물공정개발엔지니어 · 120
2. 바이오제품제조엔지니어 · 130
3. 연구 및 제조·생산·계측장비관리자 · 139
제3절 품질관리 및 품질보증 직종·156
1. 품질관리기술자 · 156
2. 품질보증검증기술자 · 171
1. 품질관리기술자 · 156
2. 품질보증검증기술자 · 171
제4절 사업 및 마케팅 직종·181
1. 신규사업 개발기획 전문가 · 181
2. 지적재산권전문가 · 188
1. 신규사업 개발기획 전문가 · 181
2. 지적재산권전문가 · 188
제4장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제1절 생명공학산업과 직무수행능력·203
제2절 인력양성 및 교육훈련 요구도·216
1. 인력의 수요 및 공급 · 216
2.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 및 사례 · 222
1. 인력의 수요 및 공급 · 216
2.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 및 사례 · 222
제3절 현직 교육훈련 및 요구도·228
1. 재직 중 현직교육 참여 현황 · 229
2. 현직교육과 관련한 최근의 동향 및 사례 · 236
1. 재직 중 현직교육 참여 현황 · 229
2. 현직교육과 관련한 최근의 동향 및 사례 · 236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239
제2절 제언·242
1. 연구 중심과 생산 중심의 차별화된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 243
2. 산업현장의 요구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생명공학산업 분야 KSS(Korean Skill Standard) 개발 ·
제1절 결론·239
제2절 제언·242
1. 연구 중심과 생산 중심의 차별화된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 243
2. 산업현장의 요구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생명공학산업 분야 KSS(Korean Skill Standard) 개발 ·
243
3. KSS를 토대로 생명공학분야로의 진출을 위한 단기 교육과정 개설 · 운영 · 245
4. 산업체와 연계한 ‘생명공학전문교육원(가칭)’ 설립 · 246
5. 생명공학산업 분야에서의 산학연 연계 강화 · 247
6. 현장 기반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 보급 · 249
7. 생명공학산업 종사자를 위한 재직교육 강화 · 249
8. 생명공학 연구·사업 개발 기획관련 Bio-HRD 강사 전문인력 확보 및 지역거점 교육체계 구축 · 250
9. 생명공학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인력 양성을 위한 신규자격 신설 · 252
10.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통계 시스템 개선 · 255
11. 생명공학인력의 국가 기여지수 및 산업 내 개별 기여지수 개발 · 255
3. KSS를 토대로 생명공학분야로의 진출을 위한 단기 교육과정 개설 · 운영 · 245
4. 산업체와 연계한 ‘생명공학전문교육원(가칭)’ 설립 · 246
5. 생명공학산업 분야에서의 산학연 연계 강화 · 247
6. 현장 기반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 보급 · 249
7. 생명공학산업 종사자를 위한 재직교육 강화 · 249
8. 생명공학 연구·사업 개발 기획관련 Bio-HRD 강사 전문인력 확보 및 지역거점 교육체계 구축 · 250
9. 생명공학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인력 양성을 위한 신규자격 신설 · 252
10. 생명공학산업 분야의 통계 시스템 개선 · 255
11. 생명공학인력의 국가 기여지수 및 산업 내 개별 기여지수 개발 · 255
SUMMARY·257
<부록 1> 생명공학산업의 핵심직업 발굴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지·267
<부록 2> 생명공학산업 직업의 분류 및 직업개요·275
<부록 3>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연구를 위한 심층인터뷰지(생명공학연구원)·285
<부록 4> 생명공학산업 분야 주요 직업의 현황 및 교육훈련 요구조사 설문지·291
<부록 5> 현직자 대상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표·299
<부록 1> 생명공학산업의 핵심직업 발굴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지·267
<부록 2> 생명공학산업 직업의 분류 및 직업개요·275
<부록 3> 생명공학산업 분야 직업연구를 위한 심층인터뷰지(생명공학연구원)·285
<부록 4> 생명공학산업 분야 주요 직업의 현황 및 교육훈련 요구조사 설문지·291
<부록 5> 현직자 대상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표·299
【요약】
1.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생명공학산업(또는 바이오산업)은 DNA, 단백질, 세포 등의 생명체 관련 기술인 생명공학기술(Biotechnology)을 직접 활용하여 인류에게 필요한 유용물질과 서비스로 재가공·생산하는 기술 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생명공학산업은 정보통신기술(IT)에 이어 국가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핵심 분야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생명공학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문에서의 개선 노력이 전개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 생명공학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우수한 전문 인력을 양성·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록 대학교육을 통한 생명공학분야의 인력 배출이 양적인 측면에서는 부족하지 않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며, 특히 석·박사급 연구인력이나 생산인력도 양적·질적으로 상당히 확충되고 있지만, 생명공학산업 분야에서도 이른바 교육훈련과 직업세계 사이의 괴리, 즉 대학교육을 통해 양성되는 인력이 산업체의 요구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한다는 질적인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생명공학산업에 대한 국가사회적인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직업적인 접근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양적인 측면에서의 인력 양성 및 활용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구체적이며 질적인 관점에서 어떠한 업무를 수행할 어떠한 수준의 인력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양성되어야 하며, 양성된 인력은 자신의 지식·기술(skill)을 활용하여 어떠한 경로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지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것이다.
이러한 인식에 따라 이 연구는 차세대 성장동력의 하나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되는 생명공학산업에 대한 직업연구를 통하여 생명공학산업에서의 직업세계에 관한 심층적인 직업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생명공학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관련 자격체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12개 직종에 종사하는 현직자를 대상으로 직업분석을 위한 심층인터뷰(직종별 5명 이상) 및 설문조사(직종별 20명이상), 전문가협의회 및 자문 등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 보고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발간된 보고서로서 저자의 동의하에 게시된 자료입니다.
-
이전글
- 스위스 생명공학산업
-
다음글
- 개발 중 신종 플루 백신 현황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