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그리고 인간은 신종 플루를 만들었다
- 등록일2009-11-09
- 조회수735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9-11-06
-
출처
한겨레21 표지이야기 제784호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종플루
그리고 인간은 신종 플루를 만들었다
공생관계 바이러스와 사이를 틀어버린 인간 문명…
돼지 밀집 사육과 새 서식지 소실로 ‘독종들’이 탄생했네
돼지 밀집 사육과 새 서식지 소실로 ‘독종들’이 탄생했네
신종 플루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10월30일 현재 국내 사망자가 35명으로 늘었다. 백신의 안정성, 타미플루의 효력에 대한 논란도 일고 있다. 신종 플루 바이러스의 ‘역사와 과학’을 이해한다면 지나친 공포를 막을 수 있다. 신종 플루 백신만큼 절실한 것이 ‘자본주의 산업화’에 대한 백신이라는 점도 깨달을 수 있다. 신종 플루는 지난 한 세기에 걸쳐 우리 안에서 자라났다. 편집자
얼굴에 푸르죽죽한 암갈색의 기운이 번진다. 기침에 피가 섞여 나온다. 발은 검은색으로 변한다. 미친 듯이 숨을 몰아쉰다. 피 섞인 침이 입에서 부글부글 새어나온다. 허파에는 핏빛 액체가 가득 차 있다. 숨을 쉴 수가 없다. 그러다 마침내 죽는다. 발병에서 사망까지 일주일이 걸리지 않는다.
2천만~1억 명이 죽은 스페인 독감
1918년 전세계를 휩쓴 이 유행병은 적어도 2천만 명, 많게는 1억 명을 죽였다. 사망자 수가 정확하지 않은 것은 당시 집계가 허술했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였던 조선 반도에서도 10만 명 이상이 죽었다. 사람들은 이를 ‘스페인 독감’이라 부른다. 스페인에서 발병한 것은 아니다. 당시 1차 세계대전에 참여한 대다수 나라들은 언론을 통제하고 있었다. 유행병에 대한 보도 자체를 틀어막았다. 1차 대전의 사망자(1500만 명)보다 이 병에 걸려 죽는 사람이 더 많았다. 중립국이던 스페인의 언론만 이를 보도했다. 그래서 ‘스페인 독감’이다. 정직의 대가치고는 고약했다. 20세기 후반 들어, 과학자들은 스페인 독감의 정체를 알아냈다. 호흡기에 치명적 질병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이었다. 바이러스의 종류도 알아냈다. ‘H1N1’ 바이러스였다.
지난 4월15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또 하나의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공식 확인했다. 바이러스의 정체도 밝혀냈다. 과학자들이 처음 붙인 이름은 ‘돼지 인플루엔자 A(H1N1)’, 바로 신종 플루다. 스페인 독감 역시 H1N1 유형이었다. 과학자들 가운데는 스페인 독감이 돼지로부터 최초 전염됐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이들도 있다. 돼지에서 비롯한 H1N1 바이러스가 90년 만에 다시 찾아온 것일까? 그때만큼 많은 사람들이 또 죽어나가는 것일까? 10월18일 현재, 전세계 41만4945명이 감염됐고, 4999명이 사망했다.
이재열 경북대 교수(생명공학부)는 “1918년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와 이번의 신종 플루 바이러스가 ‘같은 계통’이긴 하지만, ‘같은 바이러스’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학자들 사이에 일치된 견해다. 1918년의 H1N1은 인간에게 치명적이었지만, 2009년의 H1N1은 그렇지 않다. 비유하자면 그때는 살모사였고 지금은 그저 구렁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경각심을 가질 이유는 충분하다. 이번에는 괜찮지만, 다음에는 어떨지 알 수 없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화 또는 변이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지금 그들은 인간에게 화가 단단히 나 있다.
바이러스라는 존재가 처음 발견된 것은 1935년이다. 전자현미경이 발명될 때까지 인간은 바이러스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했다. 바이러스의 크기는 수십~수백 나노미터(nm)다. 1nm는 1mm의 100만분의 1이다. 보통 분자의 크기가 1nm다. 바이러스는 분자보다 조금 더 크다. 그 작디작은 것은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쯤에 있다. 생물이 갖춰야 할 여러 조건 가운데 오직 한 가지만 충족한다. 제 후손을 만들어내는 일이다. 형태로 보아 생물 탄생의 직전 단계다. 오직 생물의 세포를 숙주로 삼아야만 증식할 수 있다. 일부 학자는 이를 진화론적 미스터리로 본다. 생명체가 없으면 증식할 수 없는 바이러스는 생명체 탄생 전부터 존재했을까, 그 이후에 등장했을까? 비록 ‘소수설’이긴 하지만, 바이러스가 ‘에일리언’이라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혜성에서 지구로 떨어진 외계 생명체라는 것이다. 그런 주장에 귀가 솔깃할 정도로 바이러스는 특별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조류독감 (H5N1) 백신 임상시험 승인
-
다음글
- 전염병이 개인의 질병인가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