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10 제약업 글로벌과 로컬 선택의시간!
- 등록일2009-12-01
- 조회수986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9-11-30
-
출처
대우증권
-
원문링크
-
키워드
#제약산업
- 첨부파일
2010 제약업 글로벌과 로컬 선택의시간!
대우증권 권재현, 이정욱
대형사 중심으로 글로벌과 로컬 제약사 세분화 전망
2010년에도 ‘신성장판’의 영향력은 보다 강화될 전망이다. 주요 제약사의 구체적인 글로벌 진출이 이어지고, 바이오산업에 대한 대기업의 진출도 보다 활발해 질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정부도 ‘체질개선’ 정책을 통해 과거의 영업관행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전망이다.
‘신성장판’의 영향력이 강화되면 기존 대형 제약사 내에서 글로벌과 로컬 제약사로 세분화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분명한 프리미엄 차별화가 분명해질 전망이다. 글로벌과 로컬 제약사로의 세분화는 중소형에서도 이어질 전망이며, 결국 제약산업 전반에 걸쳐 ① R&D 투자비용의 증가, ② 제약-제약, 제약-바이오 간에 보다 활발한 M&A, 공동연구, 라이센싱, ③ 해외 제약 및 바이오 업체와의 협력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제약업 투자의견 비중확대, Top Pick은 한미약품, SK케미칼
제약업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제시한다. 신종플루로 인한 의약품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정부의 단속강황에 따라 제약사 수익성 개선도 이어질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신성장판’과 ‘실적’ 모두를 고려한 투자전략을 제시하며, Top Pick은 한미약품(008930)과 SK케미칼(006120)을 제시한다. ① 국내 최고 수준의 바이오신약 및 합성신약 개발 기술 확보, ② 개량신약을 통한 해외 수출 확대, ③ 실적개선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I. Investment Summary........................................................................................... 3
1. 제약업 투자의견 비중확대...................................................................................3
2. 글로벌과 로컬 제약사! 분명한 구분이 시작된다!........................................................3
3. 투자전략: ‘신성장판’과 ‘실적’이면 충분하다! ............................................................3
II. Valuation ......................................................................................................... 4
한국 제약업 Valuation은 아시아 중위권 수준 ...............................................................4
III. 2009년 산업현황 ............................................................................................... 6
1. ‘신성장판’에 대한 관심 증대.................................................................................6
2. ‘원외처방’ 영향력 약화 .......................................................................................7
3. 대기업의 바이오산업 진출...................................................................................8
Ⅳ. 2010년 산업전망 .............................................................................................. 9
1. ‘신성장판’ 강화 속에 정부도 ‘체질개선’ 정책 구체화 전망 ...........................................9
2. 글로벌이냐 로컬이냐 이것이 문제로다! ................................................................. 10
Ⅴ. 이슈분석: 오바마의 의료 개혁..............................................................................11
21세기 전세계 제약/바이오 및 의료 산업의 변화를 불러올 진원 ..................................... 11
ⅤI. 이슈분석: 2010년 신종플루 전망..........................................................................12
공포 사라지지만, 환자는 꾸준히 발생할 전망............................................................. 12
국내/해외 제약회사 주가 추이..................................................................................13
한미약품 [008930]...............................................................................................15
SK케미칼 [006120]..............................................................................................17
녹십자 [006280] .................................................................................................19
종근당 [001630] .................................................................................................21
I. Investment Summary
‘신성장판’ 보유 제약사는 정책적 수혜와 신종플루 특수 동시에 기대
1. 제약업 투자의견 비중확대
2010년 제약업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제시한다. 2009년 확인된 국내 제약사의 글로벌 도약 가능성
이 2010년에는 구체적인 결과물로 확인되는 시기가 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정부의 정책적 리스
크 요인도 2009년 보다는 다소 높아지겠지만, 상위 제약사 특히 ‘신성장판’ 중심의 성장동력을 보유
한 제약사들은 정책적 수혜도 기대되고 있다. 신종플루의 위협은 진정될 전망이지만, 신종플루의 독
감화로 인해서 전체적인 의약품 수요는 증가할 전망이다.
2. 글로벌과 로컬 제약사! 분명한 구분이 시작된다!
‘신성장판’ 2010년 강화 지속
2009년 분명히 확인된 ‘신성장판’의 영향력은 2010년에도 강화될 전망이다. 이유는 ① 심화되는 국내
제약시장 영업경쟁의 돌파구가 되고, ② 정부의 약가인하 리스크 회피 수단이 되며, ③ 글로벌 진출에
효과적인 지름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2010년에는 주요 제약사의 의미 있는 신약 라이센싱이
기대되고 있어서 국내 제약업계의 한 단계 도약도 기대되고 있다.
대형 제약사 안에서도 글로벌과 로컬 제약사에 따른 프리미엄 차별화 전망
문제는 ‘신성장판’을 단기간에 확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신성장판’은 R&D를 바탕으로 수년간 투자
해온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성장판’에 의한 대형 제약사의 차별화가 보다 커질 것으로 판단
된다. 특히 한 두 업체의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 소식은 기존 대형 제약사 그룹의 개념을 글로벌과 로
컬 대형사로 세분화하고 이에 따른 분명한 프리미엄 차별화를 불러올 전망이다. 중소형 제약사도 속도
는 느리겠지만, ‘신성장판’의 보유여부에 따라 업체간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되며, 결국 ‘신성장
판’ 확보를 위한 ① R&D 투자비용의 증가, ② 제약-제약, 제약-바이오업체 간에 보다 활발한 M&A,
공동연구, 라이센싱, ③ 해외 제약 및 바이오 업체와의 협력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3. 투자전략: ‘신성장판’과 ‘실적’이면 충분하다!
Top Picks 한미약품(008930) -> 바이오신약 + 실적 -> SK케미칼(006120) -> 합성신약 + 실적
‘신성장판’과 함께 ‘실적’을 고려한 투자전략을 제시한다. 아직 글로벌 수준의 R&D를 인정받지 못하
는 상황에서 ‘실적’은 가장 확실한 투자지표이기 때문이다. 향후 ‘신성장판’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커
지게 되면, 글로벌 진출 비용에 대한 시장의 시각도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Top Picks로 한미약품
(008930)과 SK케미칼(006120)을 제시한다. 국내 최고 수준의 신약 및 바이오신약 개발 경쟁력과 함
께 실적 개선도 기대되기 때문이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