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국내 신종인플루엔자 치료제 내성 현황
- 등록일2010-05-27
- 조회수1133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0-05-21
-
출처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 질병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종인플루엔자 #influenza A# influenza A(H1N1)
- 첨부파일
국내 신종인플루엔자 치료제 내성 현황
Antiviral resistance of pandemic influenza A(H1N1) in Korea since 2009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
2009년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신종인플루엔자 A(H1N1) 인체감염에 대한 예방 및 대유행에 대비하여 항바이러스제 비축 및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를 중심으로 한 각국에서는 인플루엔자 치료제에 대한 내성 양상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신종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대한 타미플루(Tamiflu) 내성은 전 세계적으로 총 289건이 WHO에 보고 되었는데(WHO, 2010.5.12), 지역적으로는 서태평양 지역에서 111건, 유럽지역에서 98건, 미주지역에서 79건, 동지중해 지역에서 1건이 발생하였다. 이들은 대부분이 면역저하자이거나(25%), 타미플루를 투여받은 환자로부터 검출되었으며(30%), 이외에 치료제 사용과 무관한 사람(8%)에서도 내성주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Figure 1). 타미플루 내성주는 다른 치료제인 릴렌자에는 감수성, 아만타딘(Amantadine)에는 내성인 것으로 나타났고, 감수성 바이러스와 비교 시 뉴라미니다아제(neuraminidase ; NA) 유전자의 275번째 아미노산이 히스티딘(Histidine ; H)에서 타이로신(Tyrosine; Y)으로 치환되었으며, 성장특성이나 병원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