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中 내륙 최대 화장품 시장, 우한을 주목하라

  • 등록일2010-08-13
  • 조회수8453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中 내륙 최대 화장품 시장, 우한을 주목하라

 

- 기후의 영향으로 선크림 등 기능성 화장품 수요 증가 -

 

 

□ 중부 최대 우한 시장, 잠재력 커

 

 ○ 최근 중국 화장품 시장은 매년 빠른 성장세를 보이며, 중부 내륙지역의 경우 그 성장세가 연해 대

     도시를 넘어섦. 특히 중부 최대 우한 시장은 전년대비 18%의 성장률을 기록해 30억 위앤의 시장규

     모를 형성함.

 

 ○ 현재 해외 주요 브랜드인 L'oreal, Shiseido, Avene등이 우한에 진출한 상태이며, 2010년에는

     Shu Uemura, Armani, CoverMark등도 진출이 예상됨에 따라 브랜드 간 치열한 경쟁이 전망됨.

 

<우한시 대표 수입 브랜드>

No.

브랜드 명

소비자 인식

1

L'oreal

歐萊雅

· 우한 시장에서 가장 인기 높은 해외 브랜드임.

· 지속적인 광고와 적정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함.

2

Shiseido

資生堂

· 일본 고급브랜드로 성능 뛰어난 기능성 화장품임.

· 주 소비층은 25-35세 사이의 여성임.

3

Avene

雅?

· 천연원료 제품이 많아 트러블 개선 원하는 고객 많음.

· 중저가의 가격으로 젊은 여성고객이 많음.

  자료원: 인터넷 자료종합

 

 ○ 우한은 한커우, 우창, 한양이 3개 도시가 합쳐져 이루어진 도시로 현재 한커우와 우창에 화장품 시

     장 상권이 들어서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임.

  - 한커우: 주로 수입 브랜드, 고가 제품이 집중됨

  - 우창: 현지 유명 브랜드와 중저가 제품이 위주임.

 

<우한시 상권 구분>

구역

상권

대표매장

한커우

解放大道(해방대로)

우한광장, 세계무역광장, SOGO、우한국제광장

中山大道(중산대로)

來雅백화점、민중낙원、왕푸징

江漢路(강한로)

신세계 백화점, 패션광장, 명품점

建設大道(건설대로)

신세계 백화점

우창

司門口(사문구)

광동백화점, 상업청사

中南路(중남로)

중남광장

武珞路(우뤄로)

아시아무역광장

珞瑜路(뤄위로)

홍산광장, 루항쇼핑센터

靑山(청산)

청산광장

자료원: 인터넷 자료종합

 

 

□ 날씨에 영향을 받는 소비자

 

 ○ 우한은 중국의 ‘4대 화로’중 한곳으로 불리며, 여름철 고온다습한 기후 특성을 가짐. 우한의 화장품

     소비자는 이런 기후의 영향을 받아 보습제품 및 선크림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됨.

 

 ○ 또한, 최근 미용에 대한 관심 고조로 아이크림, 클렌징 제품 등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함.

 

<우한시 인기 브랜드 및 제품>

브랜드 명

상품명

이미지

가격

비고

Biotherm

碧歐泉

보습크림

50ml/400위앤

우한의 건조한 가을, 겨울

에는 보습크림의 수요가

증가.

Shiseido

資生堂

선크림

60ml/220위앤

여름철, 온도 높고 햇볕

강해 자외선 차단지수

높은 선크림 수요 증가.

EsteeLauder

雅詩蘭黛

아이크림

50ml/790위앤

소득의 증가로 비교적

고가인 아이크림에 대한

수요 증가.

LANEGE

蘭芝

수면

영양크림

80ml/190위앤

미용에 대한 관심 증가로

수면 영양크림에 대한 수요

증가.

 자료원: 인터넷 자료종합

 

 

□ 우한 기후 및 소비자 특징 파악해 시장진출 모색

 

 ○ 최근 우한 시민의 소득수준 증가에 따라, 소비자들의 수입 제품 선호도가 높아지는 추세이며, 특히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인식도 좋아지고 있음.

  - 단, 아직 소득수준이 연해 도시에 비해 낮은 편이므로 가격대가 높은 제품보다는 중가  화장품 시

     장을 겨냥한 적정한 가격책정이 필요함.

 

 ○ 우한의 고온 다습한 기후는 화장품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

     났으며, 트러블 개선 및 자외선 차단 제품 등 기능성 화장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남.

 

<우한시 한국 브랜드 진출 현황>

브랜드 명

주요 판매점

제품 가격

우한 진출 시기

고객 연령층

蘭芝

LANEGE

武漢?場 등

중고가

2006년

25~35세

?

DEBON

群光?場 등

중고가

2006년

30~50세

?

MAMONDE

大洋百貨 등

중고가

2009년

20~26세

TheFaceShop

大洋百貨 등

중저가

2009년

18~24세

嬋眞

Charmzone

民衆樂園 등

중고가

2006년

26~45세

Skin Food

民衆樂園 등

중저가

2009년

18~25세

愛麗

ETUDE

万達 등

중저가

2008년

18~22세

   자료원: 인터넷 자료종합

 

 

자료원: 인터넷 자료종합, 코트라 우한KBC 자체조사 등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