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바이오·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금융지원 방안
- 등록일2012-05-21
- 조회수1189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2-05-21
-
출처
엄기현(책임연구원)/한국정책금융공사
-
원문링크
-
키워드
#제약산업 #희귀질환 치료제 #맞춤형 의약품
- 첨부파일
Bioin스페셜 WebZine 2012년 28호
바이오·제약산업 육성을 위한 금융지원 방안
엄기현 한국정책금융공사 책임연구원
차례
1. 국내외 제약산업 동향
글로벌 제약시장 트렌드 및 동향
정부의 산업정책 vs 보건정책
국내 제약산업의 해결과제
2. 차별화된 금융지원이 필요한 바이오·제약산업
신약개발 과정의 특성
신약개발 투자
선진국의 바이오·제약산업 성장 배경
미국과 유럽 벤처캐피탈의 차이
3.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분야
선택과 집중 : 희귀질환 치료제
선택과 집중 : 맞춤형 의약품
선택과 집중 : CRO
4. 결론 및 시사점
바이오·제약산업 지원의 어려움
글로벌신약 탄생을 위한 필요조건
내용 요약
□ 17개 신성장동력산업 중 하나로 선정된 바이오의약품 분야는 우수한 성장성·공공성과 함께 높은 리스크가 동반되는 특징이 있음
○ 우리나라는 바이오·제약산업에 대한 이해 및 성공사례 부족으로 전통제조업에 비해 투자가 미흡하였음
○ 특히 정부와 기업 모두 단기성과에 치우친 나머지 10년 이상 소요되는 바이오·제약 R&D에 대한 투자는 일부 기업에서만 이루어짐
○ 하지만 짧은 신약개발 역사에도 불구하고 국내 제약사는 2012년 현재까지 18개의 합성신약 개발에 성공하여 신약개발국으로서의 위상이 올라가고 있음
○ 산업 전반적으로 투자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아직까지 블록버스터 의약품(연매출 10억 달러 이상)이 탄생하지 못한 점은 문제로 지적됨
□ 바이오산업은 IT산업과 마찬가지로 High-Risk, High-Return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IT보다 개발주기가 길어 장기적인 로드맵 없이 투자하기 어려운 분야
○ 바이오·제약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소수 선진국(미국, 영국, 스위스, 독일, 일본)은 정부뿐 아니라 민간의 지원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남
○ 정부 R&D 주도하에 성장한 독일과 일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재무적투자자(LP)와 벤처캐피탈(VC)이 바이오·제약산업 성장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
○ 따라서 타 산업과 동일한 구조로 투자를 하기보다는 바이오·제약산업 고유의 특성을 고려한 바이오섹터 펀드 조성이 효과적일 전망
○ 우리나라는 희귀질환치료제, 맞춤형의약품, CRO(신약개발전문업체)에 집중하고 선진시장보다는 이머징마켓 등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이 적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