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미국의 하이테크제품 수입 동향 및 우리에의 시사점
- 등록일2014-04-29
- 조회수6019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4-04-25
-
출처
국제무역연구원
- 원문링크
- 첨부파일
하이테크제품의 대미 수출, 미국 수입시장 내 5위 차지
- 정보통신, 전자제품 등 분야의 수출경쟁력 높아 - ?
미국의 하이테크제품 수입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對美 하이테크제품 수출경쟁력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분야에 대한 쏠림 현상은 여전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2013년 한국은 미국의 하이테크제품 수입시장에서 5위를 차지하며 전년에 비해 2단계 상승했다.
세부 분야별로 보면 하이테크제품 총 10개 분야 중 정보통신(3위), 전자제품(3위), 자동화시스템(4위) 등 7개 분야가 10위권 내에 진입하는 양호한 성적을 거뒀다. 특히 하드웨어 제조기술이 요구되는 정보통신, 전자제품 등 분야는 스마트폰과 메모리칩, 액정표시장치(LCD)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3위에 랭크되는 선전을 했다. 또 자동화시스템은 수입 비중이 2005년 2.9%에서 2013년 6.1%로 3.2%p 상승해 가장 큰 상승세를 나타냈다.
* 분야별 순위 :
정보통신(3위), 전자제품(3위), 자동화시스템(4위), 신소재(6위), 광학기기(6위), 핵기술(7위), 우주항공(10위), 무기류(11위), 생명과학(12위), 생명공학(13위)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하이테크제품의 수출경쟁력은 개선되고 있으나 일부 분야는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연구 축적이 필요하고 핵심기술 확보가 쉽지 않은 생명공학, 생명과학, 우주항공 등 분야는 미국 시장 점유율이 2% 미만에 그치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
?
?하지만 이들 생명공학, 생명과학, 정보통신, 우주항공 등 분야는 최근 미국의 수입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더욱 밀도 있는 경쟁력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우주항공 분야의 제조기술 확보, 생명공학·생명과학 분야의 기초투자 및 전문인력 확대 노력이 시급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