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동향과 산업전망(IoT, 빅데이터, SNS를 중심으로)
- 등록일2015-04-30
- 조회수522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5-04-29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 헬스케어#빅데이터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이슈리포트 2015-4호-이슈3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동향과 산업전망(IoT, 빅데이터, SNS를 중심으로)
■ 목적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의 주요 기술동향과 산업에 대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IoT(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 SNS(Social Network Servis) 등과의 연관성과 향후 발전 전망에 대해 조망해 보고자 함
■ 주요현황
★구글, 애플, MS 등 주요 ICT 기업은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 적극 투자하여, 헬스케어 분야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음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는 IBM, 인텔, Verizon, Qualcomm 등과 같은 전통적인 ICT 기업은 물론, Bosch, 하니웰 등의 글로벌 기업도 적극 진출하는 등 미래의 성장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스마트 헬스케어는 통신 및 센서기술이 주도하던 초기단계를 넘어서, 데이터와 컨텐츠가 주도하는 성숙단계로 진입하고 있으며, 플랫폼 사업자간의 경쟁구도가 본격화 될 전망임
■ 시사점 및 정책제안
★IoT, 빅데이터, SNS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핵심 기술과 서비스 요소로 자리잡아갈 뿐만 아니라,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임
★고령화 사회를 앞둔 우리나라는 헬스케어 분야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미래의 성장산업으로써 스마트헬스케어를 적극 활용하여야 할 것임. 특히, 23억 인구가 모여있는 중국,동남아시아가
★우리나라에 이어 7~10년 후에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 도달하여, 스마트 헬스케어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것임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반 데이터와 컨텐츠를 확보하고, 스마트 헬스케어의 서비스 모델 발굴에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