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UAE, 바이오연료산업 성장세
- 등록일2015-06-16
- 조회수467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5-06-10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 바이오연료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UAE, 바이오연료산업 성장세
- 푸자이라에 8억 달러 규모의 바이오 연료 정유공장 건설 추진-
- 두바이는 시청 차량 공식 연료로 바이오디젤 연료 선정 ?
- 마스다르 연구소는 상업용 바이오 연료 개발 중-
□ UAE 에너지 산업 비전과 신재생 에너지인 바이오 연료
○ UAE는 세계 4번째의 원유 수출국이지만, 포스트 석유시대 대비 및 연료효율 증진을 위해 ‘비전 2021’과 ‘두바이 에너지 통합 전략(Dubai Integrated Energy Strategy 2030)을 추진 중에 있음.
- 두바이 에너지 통합 전략은 30년 내로 두바이를 지속 가능한 도시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공기 질 2배 향상, 폐기물 처리 비중 2배 확대, 재생가능 에너지 사용량 0%에서 24%로 확대,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 증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음.
○ 화석 에너지의 대체에너지로 신재생 에너지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태양광, 풍력산업과 더불어 바이오연료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
- 바이오 연료는 곡물이나 식물, 나무, 해조류, 축산 폐기물 등을 열분해 또는 발효시켜 만든 연료로 화석연료보다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해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음.
○ UAE 지역에서 에너지 믹스를 다양화하고 장기 자원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바이오 연료 관련 다양한 프로젝트 및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이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함.
- 중동 프로젝트 전문지인 MEED에 따르면, 전 세계 바이오 연료 생산은 2000년 이래로 꾸준히 증가하며, 2013년 생산량은 약 6500만 톤 수준, 향후 바이오 연료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두바이 정부는 폐식용유를 이용하는 바이오연료산업 지원
○ 두바이 정부는 바이오디젤 생산업체인 ‘뉴트럴 퓨얼(Neutral Fuels LLC)’와 2015년 2월 초 협정을 맺고 폐식용유만으로 만든 바이오디젤연료를 시청 차량용 공식 연료로 채택함.
- 뉴트럴 퓨얼사는 연간 400만ℓ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올해 600만ℓ로 용량을 확장하기 위한 추가 장비를 준비할 예정임.
□ 푸자이라에 8억 달러 규모의 바이오 연료 정유공장이 건설 추진 중
○ 두바이의 석유·가스 투자회사인 페트릭소(Petrixo)는 약 8억 달러 규모의 바이오연료 정유소 건설 계획을 발표함.
- 이번 프로젝트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푸자이라 지역 통치자인 쉐이크 하마드 빈 무함마드 알 샤르끼(Sheikh Hamad Bin Mohamed Al Sharqi)의 지시로 추진되는 것이며 전 세계 및 걸프 시장을 위한 바이오디젤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바이오 연료 정유공장은 푸자이라 프리존과 푸자이라 항구 근처에 설립되며, 바이오디젤, 그린디젤, 바이오젯, 바이오나프타, 바이오LPG 등 연간 100만 메트릭톤의 바이오 연료제품을 생산을 목표로 함,
- 페트릭소는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조사, 기본 설계 등의 준비가 최근 마무리됐으며 플랜트 건설에 적용될 기술도 결정한 상황이며 현재 EPC 입찰단계 중에 있음.
프로젝트명 |
발주처 |
규모 |
일정 |
Fujairah BioFuel Refinery |
Petrixo Biofuel |
8억1000만 달러 |
- 2014년 1분기, 프로젝트 발표 - 2014년 7월, Honeywell UOP사 technology provider로 선정 - 2015년 상반기, EPC - Tendering & Bidding - 2015년 하반기, ITB 발송 |
자료원: Zawya
□ 마스다르사는 여러 해외 연구기관과 협력해 바이오 연료 생산에 노력
○ UAE는 2020년까지 바이오 연료용 조류를 생산하는 세계적인 리더가 될 계획으로 아부다비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인 마스다르 연구소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를 진행 중. 이 연구소는 여러 해외 연구소 및 기업들과 협력해 대규모의 조류를 키울 수 있는 시설을 짓기 위해 걸프 지역의 비거주 사막지역의 사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음.
- 아랍에미리트 국영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은 마스다르 연구소, 보잉, 토탈, GE 등과 협업을 통해 2014년 1월 생산된 바이오 연료를 사용해 보잉기를 시범 운영함.
□ 시사점
○ UAE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대비하기 위해 푸자이라에 바이오 연료 공장 설립, 외국 연구소와 공동으로 바이오 연료 연구 등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바이오 산업에 대한 투자 및 지원을 하고 있음.
- 현재는 두바이 정부만 자체적으로 바이오디젤을 차량용 공식 연료로 채택했지만, 이와 같은 움직임은 다른 토후국으로 이어질 전망임.
○ 바이오 연료의 사용 범위는 UAE 비전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및 의지 아래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되며, 이와 같은 정부의 투자는 UAE가 중동 지역에서 바이오연료산업에 경쟁력을 키워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UAE는 대표적인 산유국으로 아직까지 바이오 산업 관련 기초과학 및 제조업의 발달이 미미해 해외 기업 및 연구소와 협력해 바이오 산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 국내 관련 기업 및 연구소는 R &D 및 기술 이전 등으로 투자 방향을 맞춰 UAE 바이오연료산업 진출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MEED, Zawya, BMI, Gulf News,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