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일본, 웰빙 바람이 불러일으킨 생체정보 측정하는 신소재 실용화
- 등록일2015-08-10
- 조회수511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5-07-20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생체정보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일본, 웰빙 바람이 불러일으킨 생체정보 측정하는 신소재 실용화
- 건강 지향 트렌드에 기능성 소재와 IoT기술의 결합 -
-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신소재, 활용방안 무궁무진 -
□ 신 기능성 소재 개발 배경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활습관 검토 및 스포츠 등 취미에서 퍼포먼스 향상을 위해 생체정보를 상시 관리하고 싶어하는 니즈가 늘어나고 있음.
○ 기존 사업 영역에서 IoT 및 웨어러블, 빅데이터 등 기술영역을 확장해 다양한 신사업 개척을 위해 시야를 넓힘.
□ 도레이, 일본통신전화(NTT)와 신기능소재 ‘hitoe’ 개발
○ 입는 것만으로 심박수 및 심전파 등 생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
- 최첨단 섬유소재인 나노섬유에 고 도전성(導電性) 수지를 특수 코팅해 내구성이 뛰어나며 생체신호를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사양
- 이 소재를 사용한 생체정보 측정용 웨어를 착용하면 일상생활에서 심박수 및 심전파 등 생체정보를 쉽게 측정 가능
○ 도레이와 NTT는 ‘hitoe’를 활용한 생체정보 측정용 웨어의 상품화를 추진
- 일본 최대 통신사, NTT도코모는 ‘hitoe’를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용 웨어 및 스마트폰 등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
- 탄소섬유 글로벌 1위인 도레이는 나노 단위로 섬유 제조가 가능한 노하우를 활용. 금속소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금속 알레르기의 우려 없이 사용 가능
- 도레이, NTT는 건강 지향 니즈에 대응해 착의형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 생체 인터페이스용 기능소재 개발

자료원: 도레이 홈페이지
○ 스포츠 의류뿐만이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
- 위험이 따르는 작업자, 원격지의 작업자의 상황을 가시화하는 노무관리 툴, 의약?의료사업본부와 연계한 병원용 의료기기로서 시장 개척을 추진할 계획
- NTT 커뮤니케이션과 일본의 5대 건설회사인 오바야시구미는 클라우드와 기능성 소재 hitoe 의복을 활용해 작업원의 안전관리 시스템으로 활용하고자 함.
- 기온상승에 따르는 작업원의 열 스트레스 및 피로도 등을 가시화할 수 있어 작업원 당사자 및 관리자가 건강관리, 사고방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게 될 것
- 클라우드와 연대한 휴먼 센싱 시스템의 확장 개발 및 이용 확대에 주력할 계획

자료원: NTT 홈페이지
□ 테이진, 칸사이대학과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 하는 패브릭 개발
○ 탄소섬유 2위 기업 테이진과 칸사이대학 이공학부에서 공동으로 세계 최초로 압전 패브릭(?電 fabric)을 개발
- 접을 때 가해지는 압력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성질이 있는 바이오 플라스틱(폴리유산)을 소재로, 사람의 움직임을 데이터화
-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확대를 확신, 2~3년을 전망하고 사업화 목표
○ 원격의료, 전통 공예 등 전문기술의 가시화에도 도입 가능성
- 착용만으로 정교한 움직임을 재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인터넷 상에서 사물을 컨트롤하는 IoT 사회 진화에 공헌할 것
-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술 및 간호 등의 원격의료, 로봇 인터페이스, 스포츠 메디컬, 건강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 기대
압전 패브릭

자료원: 테이진
□ 시사점
○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확대될 것으로, 기능성 신소재의 다양성에 주목
- 제품화의 선두주자는 도레이로 NTT 그룹과 공동 개발한 ‘hitoe’를 채용한 스포츠 의류가 2014년 말에 출시, 해외 시장 판매를 염두에 둠.
- 테이진도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압전 패브릭’을 개발해 3년 내 실용화를 목표로 도레이의 뒤를 바짝 추격 중
○ IoT 기술을 도입하면 이 소재의 활용 범위는 크게 확장될 전망으로 다양한 업종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스포츠 의류뿐만 아니라 의료, 로봇, 건강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되며 가능성은 무궁무진함.
자료원: 닛케이산업신문, 섬유뉴스, 각사 홈페이지, KOTRA 도쿄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