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우크라이나 의료 공공조달시장 진출의 한계와 가능성
- 등록일2015-08-31
- 조회수496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5-08-27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우크라이나 의료 공공조달시장 진출의 한계와 가능성
- 우크라이나 경제 위기로 인한 정부 예산 감소 -
- UN 등 국제기구를 통한 입찰 참여 가능성 열려 -
□ 우크라이나 의료 시스템
○ 정부 주도의 의료 지원 서비스 제공
- 기본적으로 우크라이나 국립 병원은 환자 진료 및 의약품을 무료로 제공
· 정부의 예산 부족으로 의약품의 경우 실제로는 환자가 비용을 부담하고 있음.
○ 의료분야 공공조달 역시 정부 주도 하에 실시
- 병원 의약품 및 관련 제품 조달은 우크라이나 보건부 주도로 실시
- 최근 우크라이나 경기 침체, 환율 폭락 등으로 인해 대외 부채 급상승, 공공조달분야 예산이 상당 부분 삭감됨.
- 예산 부족으로 가격이 높은 의료기기보다 의약품 조달이 더 활성화돼 있음.
우크라이나 공공조달시장 예산 추이
(단위: 백만 흐리브냐, %)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증감률 |
공공조달 관련 정부 편성 예산 |
571,583 |
274,183 |
179,036 |
-35 |
해당 연도 공공조달 정부 승인 예산 |
464,533 |
119,745 |
125,496 |
5 |
해당 연도 공공조달 계약액 |
428,063 |
959,81 |
113,791 |
19 |
해당 연도 실제 공공조달 지출금액 |
202,398 |
79,743 |
49,630 |
-38 |
전년도 계약에 따른 해당 연도 공공조달 지출금액 |
56,791 |
45,534 |
29,028 |
-36 |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
□ 우크라이나 의료분야 공공조달체계
○ 정부 주도 공공조달과 개별 병원의 수요에 따른 공공조달 2가지 방식으로 나뉨.
- 정부 프로그램 우크라이나 보건부에서 계획에서 입찰조건 관리까지 모두 관리(정부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당뇨, AIDS 치료제 주로 조달)
- 개별 병원: 개별 병원의 수요에 따라 우크라이나 보건부에서 공공조달 예산 책정에서 가격 조건까지 모두 관리
우크라이나 의료분야 공공조달 체계도

자료원: KOTRA 키예프 무역관
○ 실제 공공조달 프로그램 실행까지 절차가 복잡해 상당 시간 소요
1) 병원별 환자 진료 기록 DB를 통해 필요 의약품 확인
2) 병원 진료 기록(혹은 병원 희망 물품) → 우크라이나 지방 보건부처로 전달
3) 각 지방 부서에서 모인 DB를 우크라이나 중앙 보건부로 전달
4) 공공조달 품목 확정 후 우크라이나 총리실 보고 및 공공조달 프로그램 재가
5) 우크라이나 내각 승인을 통한 공공조달 예산 승인
6) 실제 공공조달 프로그램 집행
□ 우크라이나 공공조달 시장의 한계점
○ 실제 공공 조달 프로그램 승인되고 집행되기까지 절차가 매우 복잡
- 단계별 승인 절차가 필요해 최종 승인까지 오랜 시간 소요
○ 의약품 입찰 완료 시점에서 실제 환자의 의약품 수요가 변동될 가능성 다대
- 실제 병원 및 환자의 수요에 맞는 의약품 공급이 어려움.
○ 만연한 부정부패로 인해 집행 과정이 불합리하고 불투명함.
- 공무원의 낮은 급여로 입찰과정에서 뇌물 요구가 빈번
□ UN 등 국제기구를 통한 의료분야 공공조달 시장 개방 가능성 확대
○ 8월 초, 우크라이나 보건부는 UN 및 Crown Agents를 통해 의료분야 공공조달에 나설 것이라고 밝힘(에이즈, 당뇨, 종양 치료제 등). 구체적인 공공조달 프로그램 및 향후 일정 등은 미정
○ 국제기구 참여로 안정적인 재원 조달 및 의약품 질 향상 기대
- 조달 프로그램의 신뢰성 확보를 통해 다양한 국제 제약회사들 입찰 참여 가능
○ 그러나 공공조달 시장에 만연한 부정부패를 척결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않을 것이며, 수입산 의약품 공급 시 의약품 가격 상승으로 인한 환자들의 구매력 하락이 우려됨.
자료원: KOTRA 키예프 무역관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