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쿠웨이트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16-06-22
- 조회수895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6-06-20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치과용 의료기기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쿠웨이트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현황 및 전망
- 의료분야 재정지출 증가에 따른 치과용 의료기기 수요 증가 -
- 12살 이하 어린이 3/4가 충치 환자 -
□ 쿠웨이트 치아보건 현황
○ 쿠웨이트 내 치과의사 2427명
- 쿠웨이트 보건부가 2014년 발간한 통계에 따르면, 국립병원 치과의사 수가 1636명, 민간병원 치과의사 수는 791명임. 또한 국립치과병원은 77개, 민간치과병원은 50개 정도임.
- 치과의사 1인당 국민 1546명을 돌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 쿠웨이트 어린이 중 73.6% 충치질환
- 2016년 기준, 쿠웨이트의 12살 이하 어린이 73.6%가 충치를 앓고 있음.
- 쿠웨이트는 세계에서 1인당 당류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임.
- 전문가들은 취침 전 TV를 시청 시 또는 흡연 중에 당류를 섭취하는 생활습관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함.
○ 전반적으로 쿠웨이트인들은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
- 앙케이트 조사에 따르면, 쿠웨이트인 51.5%가 치과에 방문한 지 1년이 안 됐다고 응답했으며, 2년 이상 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20.6%, 방문 경험이 없다고 대답한 비율은 6%임.
쿠웨이트인들의 치과 방문 빈도 현황
(단위: %)

자료원: Medical Principles and Practice(2012.11.)
- 또한, 하루 두 번 이상 양치를 하는 쿠웨이트인들의 비율은 66.6%, 한 번 이상 양치를 한다고 대답한 비율은 27.8%, 한 번도 양치를 하지 않는 비율은 5.7%였음.
쿠웨이트인들의 하루 양치 횟수
(단위: %)

자료원: Medical Principles and Practice(2012.11.)
○ 치료 현황
- 쿠웨이트의 치과는 정부에서 운영하는 국립 치과병원과 민간 치과병원으로 구분됨.
- 국립병원에서는 교정, 크라운-브릿지, 양악 시술을 제외한 기본적인 치과치료를 제공함.
- 이러한 공공의료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인들은 신경치료, 치주치료와 같은 기본적인 치료 시에도 민간 치과병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쿠웨이트인들의 치과치료 유형
(단위: %)

자료원: Kuwait Annual Health Report 2013
- 국립치과를 이용할 경우, 무료로 치료를 받을 수 있지만 대기시간이 오래 소요되기 때문에 쿠웨이트인들은 비싼 비용을 감수하고 민간 치과병원을 택하는 경우가 많음.
□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현황
○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연평균 4.8% 성장
- 쿠웨이트 내 치과용품 제조업체가 전무해 치과용 의료기기를 전량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전문가들에 따르면, 2016년 쿠웨이트의 치과용 의료기기(Dental Application Systems; HS Code 901841, 901849, 902213에 속하는 제품 기준) 시장규모는 3200만 달러지만, 2019년까지 점진적으로 성장해 37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 2014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저유가로 시장이 위축됐으나, 2018년에는 저유가 이전의 시장규모를 회복할 것으로 보임.
쿠웨이트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BMI(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 쿠웨이트 치과용 의료기기 수입현황
○ 쿠웨이트 치과용 의료기기 총 수입규모 회복세
- 2015년 기준 치과용 소모품 수입이 1800만 달러로 가장 큰 규모
- 치과용 X-Ray 수입은 2014년 수입이 급감했으나 2015년 다시 증가하는 추세임.
쿠웨이트 치과용 의료기기 수입품목 및 현황
(단위: 천 달러, %)
순위 |
품목(HS Code) |
2013년 |
2014년 |
2015년 |
14/15 증감률 |
0 |
합계 |
25,538 |
18,164 |
22,086 |
21.59 |
1 |
치과용 소모품(901849) |
15,445 |
14,338 |
18,529 |
29.23 |
2 |
치과용 X-Ray(902213) |
9,157 |
1,961 |
2,000 |
1.99 |
3 |
치과용 드릴엔진과 부품(901841) |
936 |
1,865 |
1,557 |
△16.51 |
자료원: Trade Map(2016.6.12.)
① 쿠웨이트 치과용 소모품 수입 증가
- 쿠웨이트 치과용 소모품 수입은 2014년에 감소했다가 2015년 1800만 달러로 22.6% 증가
- 저유가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입은 증가함.
- 2015년 미국, 호주, 한국으로부터의 소모품 수입은 급증함.
쿠웨이트 치과용 소모품 수입현황(HS Code 901849)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명 |
2013년 |
2014년 |
2015년 |
14/15 증감률 |
|
합계 |
15,445 |
14,338 |
18,529 |
22.6 |
1 |
독일 |
5,097 |
5,370 |
6,318 |
17.7 |
2 |
미국 |
2,732 |
2,057 |
5,224 |
154 |
3 |
스위스 |
3,085 |
3,093 |
2,323 |
△24.9 |
4 |
이탈리아 |
1,591 |
913 |
829 |
△9.2 |
5 |
일본 |
393 |
737 |
813 |
10.3 |
6 |
호주 |
151 |
177 |
738 |
317 |
7 |
중국 |
242 |
292 |
534 |
82.9 |
8 |
프랑스 |
554 |
466 |
504 |
8.2 |
9 |
한국 |
147 |
146 |
221 |
51.4 |
10 |
영국 |
213 |
227 |
214 |
△5.7 |
자료원: Trade Map(2016.6.12.)
② 치과용 X-Ray 수입은 경제상황에 민감하게 반응
- 쿠웨이트의 치과용 X-Ray 수입은 2013년 900만 달러였지만 2014년 100만 달러로 78.6% 감소
- 수입 정체에도 불구하고 2015년 한국의 대쿠웨이트 수출은 71.8% 증가하며 시장점유율 2위 차지
- 한국의 X-Ray 장비로는 V사가 잘 알려짐.
쿠웨이트 치과용 X-Ray 수입현황(HS Code 902213)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3년 |
2014년 |
2015년 |
14/15 증감률 |
|
합계 |
9,157 |
1,961 |
2,000 |
1.99 |
1 |
핀란드 |
322 |
631 |
834 |
32.2 |
2 |
한국 |
213 |
298 |
512 |
71.8 |
3 |
독일 |
995 |
622 |
332 |
△46.6 |
4 |
미국 |
7254 |
24 |
215 |
795.3 |
5 |
이탈리아 |
12 |
168 |
68 |
△59.52 |
6 |
슬로바키아 |
15 |
0 |
17 |
1700 |
7 |
프랑스 |
253 |
25 |
6 |
△76 |
8 |
태국 |
0 |
0 |
6 |
600 |
9 |
브라질 |
3 |
0 |
5 |
500 |
10 |
체코 |
0 |
0 |
4 |
400 |
자료원: Trade Map(2016.6.12.)
③ 치과용 드릴엔진과 부품 수입은 소폭 감소
- 2015년 치과용 드릴엔진과 부품 수입은 전년대비 16.5% 감소한 100만 달러 규모임.
- 영국,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의 수입이 급증한 반면, 핀란드와 스위스의 수입은 급감함.
- 한국의 대쿠웨이트 수출은 2015년 9000달러로 전년대비 30.7% 감소함.
치과용 드릴엔진 및 부품 수입현황(HS Code 901841)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명 |
2013년 |
2014년 |
2015년 |
14/15 증감률 |
|
합계 |
936 |
1,865 |
1,557 |
△16.5 |
1 |
이탈리아 |
60 |
401 |
665 |
65.8 |
2 |
슬로바키아 |
0 |
0 |
350 |
3500 |
3 |
독일 |
689 |
204 |
200 |
△1.9 |
4 |
핀란드 |
29 |
416 |
101 |
△75.7 |
5 |
미국 |
29 |
96 |
83 |
△13.5 |
6 |
영국 |
0 |
1 |
52 |
5100 |
7 |
오스트리아 |
21 |
0 |
47 |
4700 |
8 |
스위스 |
43 |
339 |
19 |
△94.4 |
9 |
바레인 |
0 |
14 |
10 |
△28.6 |
10 |
한국 |
28 |
13 |
9 |
△30.7 |
자료원: Trade Map(2016.6.12.)
□ 진출방안 및 시사점
○ 치과용 X-Ray 수출 시 미국 FDA 또는 CE 인증 필수
- FDA 인증 또는 CE 인증 없을 시 쿠웨이트로 수출이 불가함.
- 민간 치과병원 및 에이전트가 X-Ray를 수입할 경우, 쿠웨이트 보건부(Administration of Radiation Protection Department)의 인증이 필요함.
○ 공공부문 의료지출 지속적으로 증가
- WHO가 2014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쿠웨이트 정부의 의료분야 공공지출은 558억 달러이며, 1인당 의료비 지출은 952달러에 달함.
- 2014년 의료분야 재정지출은 전년대비 8.9% 증가
- 저유가로 인한 재정적자에도 쿠웨이트 정부는 의료분야 공공지출 및 투자를 더욱 확대할 것으로 전망됨.
- 또한, 9개 국립병원 증축 및 신설병원 건설 프로젝트에 따른 치과용 의료기기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가격과 보증기간으로 승부
- 한국의 치과용 의료기기는 미국, 유럽의 글로벌 브랜드 대비 낮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고, 중국 제품에 비해서는 가격경쟁력이 떨어짐.
- 때문에 쿠웨이트인들이 중시하는 품질과 보증기간을 앞세워 마케팅을 전개해야 함.
- 민간 치과병원에서 크라운, 임플란트를 시술받을 경우 쿠웨이트인들은 품질과 보증기간에 따라 시술 여부를 결정
○ 현지 유통망을 보유한 에이전트 발굴이 중요
- 매년 초 두바이에서 개최되는 세계 3대 치과기자재 전시회(AEEDC Dubai)에 쿠웨이트 바이어 상당수가 참관
- 이 전시회 및 현지 비즈니스 상담회 참가를 통해 제품 인지도를 높이고 쿠웨이트 바이어와의 접촉 기회를 늘리는 것이 쿠웨이트 진출의 첫걸음임.
자료원: Trade Map, BMI(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쿠웨이트 보건부(MOH),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바이어 인터뷰 종합 및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