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인삼 강국 한국 VS 제약 강국 스위스(3부)
- 등록일2016-09-21
- 조회수614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6-09-05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인삼#제약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인삼 강국 한국 VS 제약 강국 스위스(3부)
- 스위스 제약, 소비재 기업의 진세노사이드 API 수요 회복세 -
- 한국 인삼 수출길을 열기 위해 함량 분석법 숙지 필요 -
□ 스위스, 다양한 산업의 진세노사이드 수요 증가
○ 인삼의 주 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효과가 세계적으로 알려지면서 스위스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진세노사이드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음.
-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건강보조제, 식료품(초콜릿), (기능성) 샴푸, (기능성) 로션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한국 인삼 및 그의 진세노사이드의 효능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어 이미 한국 인삼에서 추출한 진세노사이드를 주 원자재로 사용하는 회사도 있음(예: Curaden AG사의 Vital Body & Mund 로션, 사진 오른쪽 끝에서 2번째 품목).
스위스에서 판매 중인 인삼 또는 진세노사이드 함량 제품




기업명 |
품목명 |
완제품 형태 |
Rausch |
- Ginseng COFFEIN SHAMPOO - Ginseng COFFEIN-SPULUNG |
샴푸, 린스 |
Curaden AG |
- Vital Body &Mund - Aralia - Vital curade +49 |
로션, 초콜릿, 건강 보조제 |
Hoyer |
- Bio Ginseng Kapseln - Ginseng loyale |
건강 보조제 |
Laboratoires SUPER DIET |
Super Diet Bio Ginseng |
건강 보조제 |
Demeter |
Ginseng Cream / lotion |
크림/로션 |
○ Swiss Made를 선호하는 스위스 시장의 성격에 따라, 많은 스위스 기업들은 완제품이 아닌 인삼을 원자재로 수입해 스위스에서 완제품을 만드는 형식으로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한 품목들을 생산하고 있음.
○ 하지만, 진세노사이드의 유럽기준 분석법은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진세노사이드 분석법과는 달라 국내기업의 빠른 대응이 어려운 실정임.
- 스위스는 유럽기준 분석법과 동일함.
□ 진세노사이드 수입 동향
○ 스위스 기업들은 인삼 뿌리 및 건조 인삼 분말 형태로 수입해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는 형태를 취하므로, 관련 HS Code의 수출통계를 참고해 추세를 추정할 수 있음.
- 후자의 비중이 훨씬 높은 편인 것으로 알려짐. 인삼 제품의 총 수입은 2015년 기준 전년대비 43% 증가해 뚜렷한 회복세를 보임.
○ 스위스가 매년 수입하는 인삼분말에서 한국 인삼분말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 기준 0.02%에 불과하며, 중국이 약 92%를 점유하고 있음. 안타깝게도 스위스에서 2015년 기준 한국 인삼분말을 수입한 비율은 전년대비 약 81%가 감소함.
- 인삼 종주국인 한국의 인삼은 스위스에서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에 따라 의약품 또는 식료품으로 분류되고, 수입절차가 까다로우며 판매처도 다양하지 않아 타국 제품에 비해 가격이 높음(자세한 내용은 1, 2부 인삼 관련 동향 보고서 참조).
○ 스위스는 인근 유럽국가인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에서도 인삼분말을 수입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증가하는 추세. 이중 직접 재배한 비중과 중계무역 형태로 들어오는 물량의 비중은 확인이 불가함.
Switzerland Import Statistics(HS Code 121120 기준)
(단위: 달러, %)
국가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3 |
2014 |
2015 |
2013 |
2014 |
2015 |
15/14 | |
World |
1,616,401 |
985,034 |
1,407,259 |
100.00 |
100.00 |
100.00 |
42.86 |
China |
1,356,642 |
919,377 |
1,290,837 |
83.93 |
93.33 |
91.73 |
40.40 |
Germany |
74,699 |
40,877 |
73,883 |
4.62 |
4.15 |
5.25 |
80.75 |
Taiwan |
0 |
22,412 |
22,237 |
0.00 |
2.28 |
1.58 |
-0.78 |
Italy |
1,083 |
0 |
11,877 |
0.07 |
0.00 |
0.84 |
0.00 |
France |
2,045 |
0 |
6,272 |
0.13 |
0.00 |
0.45 |
0.00 |
Netherlands |
0 |
598 |
1,157 |
0.00 |
0.06 |
0.08 |
93.53 |
Spain |
0 |
0 |
391 |
0.00 |
0.00 |
0.03 |
0.00 |
Peru |
0 |
0 |
311 |
0.00 |
0.00 |
0.02 |
0.00 |
Korea South |
181,774 |
1,396 |
268 |
11.25 |
0.14 |
0.02 |
-80.79 |
주: HS Code 121120: Ginseng Roots, Fresh Or Dried, Whether Or Not Cut, Crushed Or Powdered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스위스 시장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분석 및 계산법
○ 스위스와 한국의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계산법
|
한국 |
스위스 |
진세노사이드 분석방법 |
TLC, HPLC, MS |
TLC, HPLC, MS |
진세노사이드 |
Rg1, Rb1 |
Rb1, Rb2, Rc, Rd, Re, Rf, Rg1, Rg2 |
○ 한국과 스위스 두 국가 모두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첫째 Extraction을 한 후, HPLC, MS의 분석기기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함량 계산을 함.
○ 한국에서의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단순히 Rg1과 Rb1의 합으로 계산이 됨. 하지만 스위스에서 진세노사이드는 Rb1, Rb2, Rc, Rd, Re, Rf, Rg1, Rg2의 총합으로 계산됨.
○ 스위스에서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볼 때 중요시하는 다른 포인트는 DEV(약물 추출물 비율)임.
- DEV는 Droge-Extrakt-Verhaltnis의 약자로 영문은 DER, Drug Extract Ratio임.
- DEV를 쉽게 말하자면 1g의 인삼 추출물을 만드는데 투입되는 인삼 비중으로, DEV의 계산법은 아래와 같음.
X:Y X = Weight of dry plant material Y = Weight of volume of extract (Extract can be a solid/dry extract, or a liquid extract) 예를 들어, 3ℓ의 진세노사이드를(Y) 추출하기위해 1㎏의 인삼이 사용됐다면, DEV는 1:3임. (http://ianbreakspear.com.au/2014/09/14/dosage-calculations-extract-equivalency-in-herbal-medicine/) * 유럽기준 진세노사이드 분석법은 첨부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음. |
□ 스위스 바이어들의 공급업체 선정 기준
○ 가격
- 한 예로, 최종 인삼 추출물 1㎏당 가격이 10만~12만 원대로 수출이 가능한 기업
○ 첨가물 함량
- 한 예로, maltodextrin 등 인삼 추출물을 생산 시 투입된 첨가물 함량이 낮은 것을 선호
○ DEV
- DEV가 높을수록 인삼의 함량이 높은 것을 의미하므로, DEV의 숫자는 가격에 비례함. 따라서 스위스 바이어들은 DEV가 높으면서 가격이 저렴한 것을 선호함.
○ 진세노사이드 함량
- 한 예로, 제약 API 분야에서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최소 4% 이상인 것을 선호함.
□ 시사점
○ 한국 인삼이 스위스로 더 많이 수출이 되기 위해서는 한국과는 다소 다른 유럽 진세노사이드 분석기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나아가 유럽 분석법에 준수해 진세노사이드를 분석하고, 필요한 검사표 및 DEV를 제출할 수 있어야 함.
○ 한국 기업 중 위와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기업은 KOTRA 취리히 무역관으로 바로 연락바람.
자료원: 스위스 기업 인터뷰, Ginseng Dry Extract Ph. Eur. Monographie(첨부파일) 및 KOTRA 취리히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