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16-12-05
- 조회수587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6-11-03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헬스케어산업
- 첨부파일
출처 : 산업연구원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저자 : 최윤희, 황원식
요약 내용
○ 바이오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의료, 화학 및 에너지,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바야흐로 바이오경제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
- OECD(2009)는 바이오경제의 의미를 “바이오기술에 의한 새로운 발견들이 관련 제품의 보급이나 서비스의 향상을 통하여 인류에 편익을 가져다주는 다양한 경제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
- 최윤희 외(2013)는 바이오경제(Bioeconomy, Bio-based-economy, biotechonomy)를‘바이오기술이 활용되는 바이오산업에서 생산되는 모든 사회경제적 편익과 효용’으로 정의
- 바이오산업은 보건의료 분야의 Red바이오산업, 에너지·환경 분야의 White바이오산업, 식품 및 자원 분야의 Green바이오산업으로 분류됨.
○ 바이오경제시대에서 파괴적 혁신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는 보건의료 분야의 Red바이오산업이며, 이중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과의 융합이 두드러지는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은 바이오경제시대의 가장 중요한 성장동력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바이오기술과 디지털기술(ICT)을 융합적으로 활용하는 ‘스마트’한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를 통해,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크게 증가하고 있는 의료비 절감효과와 경제 성장 효과를 함께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중요성이 큼.
- 세계경제포럼(2016)은 4차 산업혁명에서 ICT, 인공지능기술과 함께 바이오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보건의료 분야에서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
○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발전 전망과 중요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이해당사자 갈등과 정책 충돌 등으로 스마트헬스케어산업 생태계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 논리 확보가 시급
[목 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론
제2장 글로벌 스마트헬스케어산업 현황과 발전 전망
1.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주요국의 스마트헬스케어 관련 정책
2. 글로벌 시장 현황과 전망
제3장 한국 스마트헬스케어산업 현황과 문제점
1. 국내 스마트헬스케어산업 주요 이슈 및 문제점
2. 국내 스마트헬스케어산업 생태계 현황
제4장 한국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발전 시나리오와 사회경제적 효과
1. 인과지도 및 모형의 구성
2. 시나리오 구성
3. 시뮬레이션 결과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5년 주요수술통계연보
-
다음글
- 호주 체외진단기기(IVD) 시장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