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인삼류/인삼류제품 시장)
- 등록일2017-05-16
- 조회수736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17-05-15
-
출처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
- 원문링크
-
키워드
#가공식품 세분시장#인삼류#인삼류제품 시장#가공식품#세분시장
- 첨부파일
출처 :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
2016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 인삼/인삼제품류 시장
[목 차]
인삼 및 인삼제품류 시장 요약
제 1 장 인삼 및 인삼제품류 시장 조사 개요
제 2 장 인삼 인삼제품류 시장 개요
제 3 장 생산 및 수출입 현황
제 4 장 유통 및 판매 현황
제 5 장 소비특성
제 6 장 해외 시장 동향 - 전세계, 중국, 일본
부록. 소비자 조사 결과
인삼/인삼제품류 시장 요약
1. 인삼 및 인삼제품류 시장 개요
o 「인삼산업법」제2조(정의)에 따르면‘인삼제품류’란「식품위생법」제14조에 따른 식품등의 공전(公典) 또는「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제19조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공전에 수록된 식품 중 인삼류를 원료로 하여 제조?가공된 식품을 말함. 또한 일부 제품류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품목이 포함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음
? 「인삼산업법 시행령」제3조에서 언급된 인삼제품류의 종류는 농축인삼류, 인삼 분말류, 농축홍삼류, 홍삼분말류, 당침인삼, 가용성(可溶性) 인삼성분(인삼 사포닌이 그램당 80밀리그램 이상 포함된 것)이 80% 이상인 백삼제품, 가용성 홍삼성분(홍삼 사포닌이 그램당 70밀리그램 이상 포함된 것)이 80% 이상인 홍삼제품임
o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언급하는 인삼 및 인삼제품류는「인삼산업법」에서 말하는 인삼류와 식품공전 및 건강기능식품공전,「인삼산업법」의 인삼제품류를 포함하며, 해당 정의를 바탕으로 시장을 살펴보도록 함
2. 생산 및 수출입 현황
1) 원물 생산 현황
o (2012년 이후 원물 생산 감소세) 20년간의 인삼 원물 재배 현황(총 경작면적,생산량, 생산액)을 살펴보면, 2011년까지 꾸준히 성장세를 보였으나 2012년 이후 경작면적과 생산량, 생산액 모두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특히 2015년에는 인삼 생산량이 21,043톤으로 2011년 26,737톤 대비 21.3% 감소하였고 같은 기간 생산액 또한 1조 670억 원에서 8,164억 원으로 23.5% 감소함
? 과거에는 다른 건강식품 사이에 가장 높은 인기를 얻으며 생산량·생산액·재배 면적 등이 꾸준히 증가함. 그러나 경기 침체로 인한 내수 소비 위축, 연작장해로 인한 신규 경작지 감소, 다양한 건강식품의 등장, 한반도의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로 인한 인삼 재배가능 면적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2011년 이후 재배 현황이 감소됨
2) 인삼제품류 출하 현황
o (면역력에 대한 관심 증가로 2015년 출하액 상승)인삼 및 홍삼 본삼을 가공한 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 인삼제품류의 2015년 출하액은 1조 2,570억 원으로, 2011년 1조 452억 원에서 20.3% 증가함. 인삼제품류에서 홍삼제품의 비중이 2015년 출하액 기준 약 97%로,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2014년의 출하 감소는 홍삼 가공업 후발업체들의 사업 규모 축소 및 철수가 주요 요인으로 보임. 반면 2015년의 출하 증가는‘메르스(중동 호흡기 증후군, MERS)’의 여파로 면역력 증가에 대한 관심 증가가 직접적인 요인으로 보임
3) 수출 현황
o (수출량은 증가세나 원물 수출 감소로 수출단가 낮아져) 인삼 및 인삼제품류는 수출이 압도적인 시장으로, 2015년 인삼 및 인삼제품류 수출액은 1억 5,367만 달러로 2011년 1억 8,931만 달러 대비 18.8% 감소함. 반면 같은 기간 수출량은 3,695톤에서 4,987톤으로 35% 증가함
? 2011년 대비 2015년에 원물 대비 인삼 및 인삼제품류의 수출액 비중이 점차 증가 하는 추세를 보임. 2011년 원물과 인삼제품류의 시장 비중은 수출액 기준, 각각 62.1% 대 37.9%로 큰 차이를 보였던 반면, 2015년 원물과 인삼제품류 수출액 비중은 각각 50.1% 대 49.9%로 비슷한 규모를 보임
? 최근의 원물 수출액 감소와 인삼제품류 수출액 증가는 홍콩, 중국 등에서의 수출부진과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인해 높은 가격대에 판매되는 인삼 및 홍삼류 원물에 대한 소비가 비교적 저렴한 인삼제품류로 이동했기 때문으로 판단됨. 참고로 국내 인삼 및 홍삼류 원물과 인삼제품류는 홍콩과 중국으로 가장 많이 수출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