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17-09-18
  • 조회수644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중국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 건강인식의 제고에 따라 가정용 의료기기 수요도 증대 -
- 고급제품 시장 비중이 작아 보다 큰 발전공간 기대 -

 

상품명 및 HS code             

제품구분

기본 정보

가정용 의료기기

- HS Code 9018(대분류)

- Other medical,surgical or veterinary instruments & appliances

 

□ 선정 사유
   
  ㅇ 인구고령화 및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의료서비스 수요의 증가
  
    - 도시인구의 증가와 생활리듬의 가속화에 따라 건강을 잘 챙기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생활수준 향상으로 의료서비스 수요가 자연스럽게 증가함.
  
    - 또한 인구고령화라는 요인까지 더해 가정용 의료기기의 발전이 가속화됐으며, 미래 5~10년 사이 중국 보건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종합병원과 전문병원이 주류로, 가정의료·회복시설·예방 등이 보조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보건과 조리, 만성병 치료를 주요 기능으로 하는 가정용 의료기기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의료기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시장규모는 2001년 179억 위안에서 2015년 3080억 위안까지 15년 만에 약 17배 확장함.
  
    - 중국의약물자협회(中???物???) 의료기기분회에서 조사한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전국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620억 위안 증가한 약 3700억 위안으로 20.13%의 성장률을 기록함.

 

의료기기 시장규모

                                                                                                    (단위: 위안)


9-1.png

자료원: 중국 의약물자협회 

 

ㅇ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의료기기 시장규모 3700억 위안 중 의료용기기는 2690억 위안으로 72.7%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정용 의료기기는 처음으로 1000억 위안을 돌파한 1010억 위안을 기록, 27.3%의 비중을 차지함.
  
    -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에서도 전통 도소매시장의 비중이 63.86%(645억 위안)이며, 전자상거래를 통한 판매비중이 36.14%(365억 위안)에 달함.
   

 ㅇ 온라인에서 의약품 및 의료기기 거래도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
  
    - 2016년 의약 전자상거래 B2C 기준 285억 위안의 매출로 전년 대비 97.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의료기기 판매액은 약 108억 위안으로 38%의 비중을 차지함
  
    - 티몰 의약품관의 2016년 매출(처방약 제외)은 115억2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71.2% 증가했으며, 가정용 의료기기는 30억7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33.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티몰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의료기기는 혈압기(20%), 혈당용품(16.65%), 휠체어(8.46%), 분사기(7.27%), 물리치료기기(5.61%) 순임.

 

2016 의료기기시장 비중

                                                                             (단위: 위안, %)


9-2.png

자료원: 중국 의약물자협회

 

ㅇ 수입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한국 수입도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음.
  
    - 2016년 전체 의료기기 수출입은 389억10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며, 의료기기 제품의 수입은 의약보건제품 수입 중 38.37%의 비중을 차지하며 꾸준히 확대되고 있음.
  
    - 2016년 기준, 현지에 등록된 의료기기의 수량이 미국, 독일, 일본, 영국, 한국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총 등록된 수입기기의 73%를 차지함.

 

2016 의약보건품 수출입 통계

                                                                                                                                    (단위: 달러, %)

구분

수출입 합계

수출

수입

금액

증가율

비중

금액

증가율

비중

금액

증가율

비중

1,033.82

0.73

100.00

554.14

-1.82

100.00

479.67

3.83

100.00

중의약류

46.00

-4.08

4.45

34.26

-9.13

6.18

11.74

14.50

2.45

양약류

598.72

0.87

57.91

314.83

-0.05

56.81

283.88

1.92

59.18

의료기기

389.11

1.10

37.64

205.05

-3.14

37.00

184.05

6.28

38.37

자료원: 중국 의약물자협회

 

2016 수입 의료기기 등록 수량


9-3.png

자료원: CFDA

 

 - 한국으로부터 수입은 1994만2000달러로 전년 대비 28.4% 증가했으나, 2017년 상반기는 1002만9000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했음.
  
    - 대한국 수입은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으나 미국, 독일, 일본 등 전통 강국들과의 격차가 여전히 매우 큼. 치료와 연관이 있는 만큼 중국 바이어들이 쉽게 타국 제품으로 바꾸려 하지 않는다는 점이 장벽으로 작용함.

 

의료기기 수입 국가 순위(HS Code 9018.9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순위

국가

2014

2015

2016

2017년 1~6월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1

미국

662

13.7

650

-1.7

690

6.0

330

-2.3

2

독일

477

16.9

476

-0.3

551

15.7

248

2.4

3

일본

370

24.0

364

-1.4

374

2.7

195

16.1

4

멕시코

115

215.9

238

106.7

281

17.9

150

16.3

5

이스라엘

50

21.0

68

37.3

72

6.2

44

41.4

6

베트남

11

22.7

12

13.0

46

275.1

30

79.8

7

코스타리카

17

8.1

33

95.4

32

-4.6

26

128.4

8

스위스

26

23.4

29

11.6

29

-0.4

14

-14.2

9

프랑스

20

67.3

19

-2.8

21

9.0

13

48.3

10

아일랜드

11

22.9

30

170.1

49

65.6

12

-33.1

13

한국

15

51.7

16

5.8

20

28.4

10

-6.6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한국 수입규모

                                                                                                    (단위: 백만 달러, %)


9-4.png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경쟁동향 및 주요 업체

 

  ㅇ 중국의 의료기기 시장은 아직 중저가 제품 위주로 구성됨.

    - 고급 제품군은 25%, 중저가 제품군은 75%의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는 국제시장 평균인 55:45의 비율 대비 많이 낮은 수준임.

    - 따라서 고급제품시장은 더 성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됨.

 

2016 중국 의료기기 기업 영업수익 순위

연번

회사명

주요품목

영업이익(만 위안)

홈페이지

1

신화의료


9-5.png

의료기계 장비, 제약장비, 의료서비스

836,400

www.shinva.net

2

Wego 그룹


9-6.png

의약품, 혈액정화, 생물과기, 심장내과 소모품, 의료비즈니스

683,800

www.weigaoholding.com

3

Aier 안과


9-7.png

라식수술, 백내장, 녹내장, 안저병, 소아안과

400,000

www.aierchina.com

4

Dian Diagnostics


9-8.png

독립의학실험실, 진단제품 판매, 기술 R&D

382,400

www.dazd.cn

5

Lepu Medical


9-9.png

의료기계 부품 생산판매, R&D, 제품 기술자문, 수출입

346,800

www.lepumedical.com

6

MicroPort


9-10.png

심혈관·대동맥 관련제품, 골과의료기계, 당뇨병 내분비 의료기계, 외과수술기계

273,700

www.microport.com.cn

7

Yuyue Medical


9-11.png

의료기계, 보건용품 생산판매

263,300

www.yuyue.com.cn

8

Runda Medical


9-12.png

체외진단제품 기술지원 종합서비스

216,000

www.rundamedical.com

9

Shandong

Pharmaceutical Glass


9-13.png

각종 약재, 식품, 일용품포장 재료

205,700

www.pharmglass.com

10

Glory Medical


9-14.png

병원건설, 의료기계·의료소모품 생산판매, 병원 투자관리, 스마트 의료서비스 개발

194,600

www.glory-medical.com.cn

  자료원: Medcaptain


  관세율

 

  관세율

HS Code

품목명

기본세율(%)

FTA 세율(%)

양허유형

9018.90.10

Stethoscopes

4

0

0

9018.90.20

Sphygmomanometers

4

0

0

9018.90.30

Endoscopes

4

0

0

9018.90.40

Artificial kidney(dialysis)apparatus

4

0

0

9018.90.50

Diathermy apparatus

4

0

0

9018.90.60

Blood transfusion apparatus

4

0

0

9018.90.70

Anaesthetic apparatus and instruments

4

1.6

5

9018.90.80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4

0

0

9018.90.90

Other

4

1.6

5

  : 협정세율은 2017 기준 세율

자료원: 관세청


관세율 양허유형

양허 유형

내용

5

협정 발효일을 시작으로 5단계에 걸쳐 매년 균등 철폐(이행 5년차 1 1 무관세)

 

□ 수입규제 및 인증절차 

  

  ㅇ 수입 의료기기는 종류에 따라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에 자료를 제출해 행정 조치를 취해야 함.


    - 제1류는 자료제출 및 비안처리, 제2류와 제3류 의료기기는 심사 및 비준을 받은 후 등록증을 발급받아야 함. 

 

 

의료기기 분류표

구분

상세 내용

1

리스크가 낮고, 일상관리로 안전 유효성을 입증할 있는 기기

2

일정 리스크가 있고, 안전성과 유효성을 엄격하게 통제관리해야 하는 기기

3

리스크가 높고, 특별조치를 통해 엄격하게 통제관리해야 하는 기기

  자료원: CFDA 

 

 

ㅇ 비안 혹은 심사 진행절차는 아래와 같음.


    - 신청시 제출해야 할 자료는 ① 제품리스크분석자료, ② 제품기술요구, ③ 제품검험보고서, ④ 임상평가자료, ⑤ 제품설명서 및 라벨견본, ⑥ 제품 연구개발 및 생산과 유관한 품질관리 문서, ⑦ 제품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는 기타 자료  

    - 신청을 받은 후 식품약품감독관리 관련 부서는 3일 이내에 관련자료를 기술심사평가기구에 전달하고, 평가기구는 심사 후 식품약품감독관리 관련 부서에 평가의견을 전달함.
    - 식품약품감독관리 관련 부서는 평가의견 수리 후 20일 내에 합격·불합격 판정을 함. 합격 시 의료기기 등록증 교부와 함께 등록을 진행하고, 불합격 판정 시 서면으로 사유를 전달함.
    - 등록증 유효기간은 5년이며, 연장 필요 시 만료 6개월 전 관련 부서에 연장신청서를 제출해야 함.



□ 전망
   
 
  ㅇ 가정용 의료기기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 빠르게 발전할 것
  
    - 모바일 및 통신기술이 위생보건 영역과 접점을 많이 이룸에 따라, 스마트기기와 무선네트워크 기능과 연계가능한 제품이 많이 각광받고 있음.
  
    -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원격의료관리의 보급화는 가정용 의료기기 발전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사용범주가 보다 더 광범위해질 것으로 기대함.
  
    - 특히 의료기기 소비가 점차 예방과 회복 영역으로 확장해 감에 따라 가정용 의료기기 시장의 전망이 매우 밝은 것으로 평가되며, 실제 가장 많이 찾는 제품은 혈당기, 혈압기 등 가정에서 쉽게 쓸 수 있는 제품임.
   
 
  ㅇ 고급제품군보다 시장 기회가 많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
  
    - 중국 기업들이 대부분 비교적 작고 분산해 있고, 아직은 중저가 제품군의 시장이 더 크게 형성돼 있어 고급제품군 시장은 수입에 보다 의존하고 있음.
  
    - 경쟁력 향상을 위해 산학 기술합작과 혁신을 장려하고, 산업의 구조적 조정이 주요 쟁점이 되며 새로운 기회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함.
  
 

 

  
자료원: 중국 의약물자협회, CFDA, 시나재경, Sohu, 중상정보망, OFweek, 한국무역협회,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