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유망]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18-01-03
- 조회수727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12-04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선영 베트남 하노이무역관 #자료원: BMI#자료원: 유로모니터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유망]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동향
신선영 / 베트남 하노이무역관
▷ 보건의료 수요 증가, 인구, 정부 정책, 높은 수입 의존율 등 기회 요인 다수
▷ 성장 잠재력 부각되면서 해외기업 시장 선점경쟁 가열화 예상
▷ 시장규모 크지 않아 장기적 진출 전략 수립 필요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의료기기(HS Code 9018~9022)
□ 선정 사유
ㅇ 빠른 성장세를 구가 중인 베트남 의료기기시장
- 경제 성장과 함께 현지 보건의료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BMI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1~2016년) 베트남 내 입원 환자 및 외래 환자 수, 외과 수술 건수 모두 연평균 2.3%의 속도로 증가했음.
2011~2016년 베트남의 보건의료 활동 현황
구분 |
2011 |
2016 |
2011~2016 CAGR(%) |
입원 환자 수(천 명) |
4,780.9 |
5,345.0 |
2.3 |
인구 천 명당 입원 환자 수(명) |
53.5 |
56.6 |
1.1 |
평균 입원 기간(일) |
4.6 |
4.5 |
- 0.5 |
외과 수술(건) |
1,593.6 |
1,781.7 |
2.3 |
외래 환자 수(천 명) |
133,866.1 |
149,659.8 |
2.3 |
인구 천 명당 외래 환자 수(명) |
1,498.7 |
1,584.6 |
1.1 |
순위 |
국가명 |
총매출(백만 달러) |
1인당 매출(달러) |
비중(%) |
2011~2015 CAGR(%) |
1 |
일본 |
25,226.37 |
199.7 |
37.2 |
-1.6 |
2 |
중국 |
19,611.41 |
14.0 |
28.9 |
10.6 |
3 |
한국 |
5,356.50 |
106.1 |
7.9 |
3.6 |
4 |
호주 |
4,765.32 |
196.0 |
7.0 |
0.9 |
5 |
인도 |
3,784.29 |
2.9 |
5.6 |
6.2 |
6 |
대만 |
1,907.14 |
81.5 |
2.8 |
3.5 |
7 |
태국 |
1,266.20 |
18.4 |
1.9 |
6.1 |
8 |
말레이시아 |
1,233.10 |
40.1 |
1.8 |
2.5 |
9 |
베트남 |
981.37 |
10.4 |
1.4 |
8.4 |
10 |
인도네시아 |
850.28 |
3.3 |
1.3 |
9.9 |
아시아-태평양 |
67,817.16 |
17.4 |
100.0 |
6.1 |
자료원: BMI
- 정부 주도하에 강력하게 추진되고 있는 시장 지향적 경제 개혁 및 글로벌시장 참여 확대. 이를 통해 조성되고 있는 우호적 통상환경과 외국인투자 확대 등이 베트남의 중단기적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른 국민 소득 증대 및 생활 수준 향상이 현지 보건의료 수요를 지속 확대할 것으로 예상됨.
5년간 베트남 경제 성장 전망

ㅇ 의료 산업 성장에 우호적인 인구학적 요인 - (대규모 인구) CIA(미국 중앙정보국) 통계 기준, 베트남은 약 9616만 명의 세계 15위 인구 보유 국가임. ASEAN 회원국 가운데서는 인도네시아(2억658만여 명, 세계 4위), 필리핀(약 1억425만여 명, 세계 13위) 다음으로 가장 많은 인구 - (높은 출산율)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15년 베트남의 출산율(가임기 여성 1인당 출산아 수)은 같은 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평균 출산율(2.2명)보다는 낮으나 한국의 출산율(1.2명)보다는 0.8명 높은 2.0명으로 나타남. 유로모니터는 베트남의 출산율이 2019년 1.9명으로 소폭 감소할 것이나 동일 수치가 2030년까지 유지될 전망
베트남 및 아시아 주요 국가의 출산율 추이 전망

- (기대수명 상승) 유로모니터의 2015년 인구 통계상에서 베트남의 기대수명은 아시아-태평양 평균(72.3세)보다 높은 75.9세를 기록했으며, 2030년 전망치(78.2세)도 역내 전망치(74.7세)보다 다소 높게 나타남. 이렇듯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노년 인구도 베트남의 의료 수요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됨.
2030년까지 베트남의 기대수명 추이 전망

ㅇ 베트남 의료기기시장의 높은 수입 의존율
- 의료기기를 제조하는 50여 개의 현지 제조사 대부분이 베트남 보건부(MoH) 산하 기업임. 이들 기업 대부분은 의료기기 수입과 유통, 정비 서비스를 겸하면서 소모성 의료용품, 병원 가구, 수술 도구 등 단순 의료 소품에 한정된 품목만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음.
- 이러한 현지 실정으로 인해 베트남 의료기기시장은 수입 의존적 시장 구조를 유지 중임. 현지 의료기기 유통시장에서 수입 의료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90%를 웃도는 것으로 추산됨.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전체 시장규모
- BMI가 추산한 2016년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규모(총매출)는 2015년 대비 8.4% 증가한 약 9억8000만 달러로, 베트남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 가운데 아홉 번째로 큰 의료기기 시장임.
연도별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규모 추이

ㅇ 세부 품목별 시장규모
- 2016년 추정치 기준, 품목별로는 '영상진단기기'가 전체 시장 매출의 30.3%에 상당하는 약 2억9730만 달러의 판매액을 기록. 베트남 의료기기시장에서 가장 큰 시장규모를 보유하고 있음.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e |
2011~2016 CAGR | |
소모성 품목 |
매출액 |
113.2 |
128.4 |
125.9 |
137.8 |
138.2 |
149.0 |
5.6 |
증가율 |
18.5 |
13.4 |
-1.9 |
9.5 |
0.3 |
7.8 | ||
영상진단기기 |
매출액 |
205.3 |
241.2 |
218.9 |
232.3 |
270.7 |
297.3 |
7.7 |
증가율 |
-0.2 |
17.5 |
-9.2 |
6.1 |
16.5 |
9.8 | ||
치과용품 |
매출액 |
21.1 |
24.2 |
27.8 |
29.8 |
35.0 |
38.5 |
12.8 |
증가율 |
2.9 |
14.7 |
14.9 |
7.2 |
17.4 |
10.0 | ||
정형외과· 보철학 기기 |
매출액 |
46.4 |
48.8 |
57.3 |
64.8 |
80.7 |
87.1 |
13.4 |
증가율 |
34.1 |
5.2 |
17.4 |
13.1 |
24.5 |
7.9 | ||
환자보조기기 |
매출액 |
89.8 |
101.5 |
116.2 |
126.3 |
128.8 |
138.9 |
9.1 |
증가율 |
21.8 |
13.0 |
14.5 |
8.7 |
2.0 |
7.8 | ||
기타 의료기기 |
매출액 |
180.3 |
206.6 |
226.6 |
223.1 |
252.1 |
270.6 |
8.5 |
증가율 |
1.2 |
14.6 |
9.7 |
-1.5 |
13.0 |
7.3 | ||
총계 |
매출액 |
666.0 |
750.1 |
772.8 |
814.2 |
805.5 |
981.4 |
8.4 |
증가율 |
8 |
12.6 |
3.0 |
5.4 |
-1.1 |
21.8 |
구분 |
2011 |
2016 |
2011~2016 CAGR(%) |
병원 수(개) |
1,173 |
1,322 |
11.6 |
병상 수(개) |
201,500 |
262,358 |
5.4 |
인구 천 명당 병상 수(개) |
2.3 |
2.8 |
4.3 |
의사 수(전용의 제외, 명) |
62,800 |
75,555 |
3.8 |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명) |
0.7 |
0.8 |
2.6 |
간호사 수(전용간호사 제외, 명) |
88,100 |
111,865 |
4.9 |
인구 천 명당 간호사 수(명) |
1.0 |
1.2 |
3.7 |
치과의사 수(명) |
8,932 |
9,444 |
1.1 |
인구 천 명당 치과의사 수(명) |
0.1 |
0.1 |
0.0 |


구분 |
2014 |
2015 |
2016e |
증감률('16/'15) |
2014~2016 CAGR |
비중 |
소모성 품목 |
101,692 |
101,091 |
174,899 |
73.0 |
31.1 |
20.3 |
영상진단기기 |
222,916 |
260,526 |
217,430 |
-16.5 |
-1.2 |
25.2 |
치과용품 |
26,969 |
31,232 |
44,875 |
43.7 |
29.0 |
5.2 |
정형외과·보철학 기기 |
64,084 |
79,765 |
61,781 |
-22.5 |
-1.8 |
7.2 |
환자보조기기 |
109,673 |
110,719 |
114,620 |
3.5 |
2.2 |
13.3 |
기타 의료기기 |
212,794 |
240,290 |
249,026 |
3.6 |
8.2 |
28.9 |
총계 |
738,128 |
823,623 |
862,631 |
4.7 |
8.1 |
100.0 |
구분 |
반영 품목 HS Code |
소모성 품목 |
300510, 300590, 300610, 901831, 901832, 901839, 300620, 300650, 300691, 401511 |
영상진단기기 |
901811, 901812, 901813, 901814, 901819, 902212, 902214, 902221, 300630, 370110, 370210, 902230, 902290 |
치과용품 |
901841, 940210, 902213, 300640, 901849, 902121, 902129 |
정형외과 · 보철학 기기 |
902110, 902131, 902139 |
환자보조기기 |
902140, 902150, 902190, 901910, 901920, |
기타 의료기기 |
871310, 871390, 901850, 940290, 841920, 901820, 901890 |

품목명 |
2014 |
2015 |
2016 |
증감률('16/'15) |
2014~2016 CAGR |
비중 |
소모성 품목 |
3,777 |
4,760 |
7,056 |
48.2 |
36.7 |
9.6 |
영상진단기기 |
19,134 |
20,687 |
23,383 |
13.0 |
10.5 |
31.9 |
치과용품 |
3,314 |
4,916 |
7,181 |
46.1 |
47.2 |
9.8 |
정형외과·보철학 기기 |
594 |
864 |
958 |
10.9 |
27.0 |
1.3 |
환자보조기기 |
6,698 |
6,744 |
8,984 |
33.2 |
15.8 |
12.3 |
기타 의료기기 |
15,848 |
18,214 |
25,665 |
40.9 |
27.3 |
35.0 |
총계 |
49,365 |
56,185 |
73,227 |
30.3 |
21.8% |
100.0 |
구분 |
수입 비중(%) |
주요 공급국 |
현지 제조사(주요 제조품) |
소모성 품목 |
70 |
중국, 일본, 태국, 미국 |
Minh Tam(코 캐뉼라, 의료용 주입세트, 피딩 튜브, 흡입 카테터), Mediplast(주사기, 주입 제품), Perfect Medical( 주사기, 주입 제품) |
영상진단기기 |
90 |
일본, 미국, 중국 |
Vikomed(투시 장치, 결석파쇄장치, 방사선 영상보관 및 통신 시스템-PACS), Vina Medical·Shimadzu(일본) 합작기업(X-ray, 초음파 장비) |
치과용품 |
90 |
일본, 미국, 한국 |
- |
정형외과·보철 기기 |
100 |
미국, 스위스, 독일 |
N/A |
환자보조기기 |
80 이상 |
중국, 미국, 독일, 한국 |
Sonion(덴마크계 기업. 수출용 보청기) |
기타 의료기기 |
약 95 |
독일, 미국, 일본 |
Vina Medical(병원 침대, 검사 테이블, 카트, 의료용 주사기, 침대용 캐비닛) |
구분 |
기업명 |
주요 정보 |
국내 기업 |
Minh Tam |
- 베트남 최초의 일회용 플라스틱재 의료용품 제조사 - 본사 소재지 호찌민시, 공장 소재지 호찌민시Hoc Mon |
Vikomed |
- 2007년 설립, 베트남 레이저 기술 센터와 의료 장비 제조업체 GEMSS Medical Systems사(한국)의 합작기업 - 하노이, 호찌민시, 껀터, 다낭, 옌바이 등에 사무실 보유 - 공장 소재지: 하노이 화락(Hoa Lac) 하이테크파크(동남아 최대 규모의 의료기기 생산시설) - 주요 생산품목: 형광 투시 장치, 결석파쇄장치, 방사선 영상보관 및 통신 시스템(PACS), 병원 정보 시스템(HIS) - 현지 생산품의 약 80%를 해외 시장에 수출 - Vikomed는 Bach Mai, Viet Duc, Hanoi Medical University 및 Hanoi Friendship Hospital 등 주요 병원에 PACS 및 HIS 제품 납품 | |
Vina Medical (Vinamed) |
- 1971년 설립, 2004년 주식회사로 변경 - 2016년 5 월 실시된 IPO(주식공개상장) 통해 정부 지분율이 100%에서 20%로 감소됐으며, 현 최대주주는 Son Ha사(철강기업)임. - 주요 생산품목: 다기능 응급 침대, 분만 침대, 검사 테이블, 의료 주사 트롤리, 침대용 캐비닛 등 병원용 침대 - Shimadzu(일본)와의 합작기업인 Shimadzu Vietnam Medical Hi-Tech 통해 내수 및 해외 수출용 Xray 및 초음파 기기 생산 중 - ISO 9001 인증 획득 - Omron(일본), RZ Medizintechnik(독일), Weinmann(스위스), AMICO(러시아) 등 다수 해외 제조사의 의료 제품을 현지 유통 중 | |
다국적 기업 |
B.Braun |
- 독일계 기업 - 1992년 호찌민시에 대표 사무소 설립. 1997년 내수 및 인근국(캄보디아, 라오스) 수출용 정맥 주입 기기, 정맥주사 캐뉼라, 봉합 및 수술 도구 제조를 위한 합작기업을 설립(본사 하노이) - 하노이 지역에 정맥주사세트, 일반 주사액 제조 2개 생산시설 보유 - 주요 생산품목: 정맥 수액, 주사기 펌프, 정맥요법·집중치료·마취 관련 용품, 수술 도구, 봉합, 엉덩이 및 무릎 내부보철, 투석 장비, 상처 치료 용품 |
Metran |
- 일본계 기업. 2008 년 호찌민시에 의료 기기 수입·유통 사무소 설립 - 호찌민시와 빈즈엉(Binh Duong) 성에 생산시설 보유 - 2014년 ISO 9001 및 ISO 13485 인증 획득 - 주요 생산품목: 산소 호흡기, 산소 공급기 등의 호흡기 관련 의료기기 | |
Perfect Medical |
- 대만계 기업 - 2001년 호찌민시에 생산시설 설립 - 주요 생산품목: 두피 정맥 세트, 혈액 투석 튜브, 수혈 세트, 주입 세트, 동정맥루 및 주사기 등 | |
Shimadzu |
- 일본계 기업. 1997년 4월, 진단용 X-ray 기기 생산을 위한 합작 기업을 베트남에 설립 - Shimadzu Vietnam Medical Hi-Tech는 Shimadzu사와 Vinamed(베트남), Schmidt Asia Ltd(독일) 간 합작 기업 ? 주요 생산품목: 진단용 X-ray 장비 조립 | |
Sonion |
- 덴마크계 기업 - 2006년 11월부터 보청기용 소형 부품 제조 현지 공장 가동(호찌민시 사이공 하이테크파크 소재. 직원 수 약 2500명). 2011년 호찌민시 공장 공급용 플라스틱 사출센터(붕따우) 설립 - 주요 생산품목: 보청기용 및 고급 음향 산업용 변환기 및 전기 기계 부품 | |
Terumo |
- 일본계 기업. 2008년 베트남 진출 - 주요 생산품목: 확장 튜브, 중재 시스템, 혈관이식 장비, 자동 채혈 기구용 혈액 주머니 및 일회용품 | |
United Healthcare (예정) |
- 2013년 9월, 호찌민시 내 하이테크 파크에 제조공장 건설 계획 발표(투자 규모 1000만 달러), 2015년 10월 완공돼 2016년 말 스텐트 생산 시작 - 주요 생산품목: 스텐트 및 비약물 방출 풍선 |
구분 |
HS Code |
MFN |
AKFTA |
VKFTA |
소모성 품목 |
3005.10.10 |
8 |
5 |
5 |
3005.10.90 |
8 |
0 |
0 | |
3005.90.10/20/90 |
8 |
0 |
0 | |
3006.10.10/90 |
0 |
0 |
0 | |
9018.31.10/90 |
0 |
0 |
0 | |
901832 |
0 |
0 |
0 | |
9018.39.10/90 |
0 |
0 |
0 | |
3006.20/50 |
0 |
0 |
0 | |
3006.91 |
5 |
0 |
0 | |
4015.11 |
20 |
0 |
0 | |
영상진단기기 |
9018.11/12/13/14/19 |
0 |
0 |
0 |
9022.12/14/21 |
0 |
0 |
0 | |
3006.30.10 |
7 |
0 |
0 | |
3006.30.20/30/90 |
0 |
0 |
0 | |
3701.10 |
0 |
0 |
0 | |
3702.10 |
0 |
0 |
0 | |
9022.30 |
0 |
0 |
0 | |
9022.90.10/90 |
0 |
0 |
0 | |
치과용품 |
9018.41 |
0 |
0 |
0 |
9402.10.10/30/90 |
0 |
0 |
0 | |
9022.13 |
0 |
0 |
0 | |
3006.40.10/20 |
0 |
0 |
0 | |
9018.49 |
0 |
0 |
0 | |
9021.21/29 |
0 |
0 |
0 | |
정형외과·보철 기기 |
9021.10/31/39 |
0 |
0 |
0 |
환자보조기기 |
9021.40/50/90 |
0 |
0 |
0 |
9019.10.10/90 |
0 |
0 |
0 | |
901920 |
0 |
0 |
0 | |
기타 의료기기 |
8713.10/90 |
0 |
0 |
0 |
901850 |
0 |
0 |
0 | |
9402.90.10/90 |
0 |
0 |
0 | |
8419.20 |
0 |
0 |
0 | |
9018.20 |
0 |
0 |
0 | |
9018.90.20/30/90 |
0 |
0 |
0 |
그룹 |
등급 |
기준 |
I |
A |
저 위험도 |
II |
B |
저-중 위험도 |
C |
중-고 위험도 | |
D |
고 위험도 |

전시회명 |
주요 정보 |
Pharmed and Healthcare Vietnam (Pharmedi) |
- 2006년부터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 - 베트남 보건부와 ADPEX, 중앙건강교육통신센터, 베트남 의약기업협회(VNPCA), 베트남 보건수출입주식회사(VIMEDIMEX VN) 등 4개 기업·기관 협업 하에 개최되는 보건의료 부문 전시 행사 - 2017년 약 450개사 참가(현지 기업 약 250개사, 해외 기업 약 200개사) - 2018년 행사 개최 계획(잠정): 9월 19~22일, 사이공 전시 컨벤션 센터(호찌민시) - 웹사이트: www.pharmed.vn |
Vietnam Medi-Pharm Expo |
- 베트남 보건부와 산업무역부 공동 주관 - 매년 하노이와 호찌민시에서 각 1회씩 총 2회 개최 - 2017년 호찌민시 행사에는 20개 국가에서 온 3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400개 부스), 하노이 행사에는 18개 국가 150개사 참가(200개 부스) - 2018년 행사 개최 계획(잠정): · (하노이) 12월 7~9일, 하노이 국제전시장(I.C.E) · (호찌민시) 8월 2~4일, 사이공 전시 컨벤션 센터 - 웹사이트: www.hn.medipharmexpo.com (하노이) /www.hcm.medipharmexpo.com (호찌민시) |
구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CAGR |
소모성 품목 |
164.1 |
181.5 |
200.2 |
221.3 |
243.9 |
10.4 |
영상진단기기 |
304.3 |
347.0 |
369.3 |
406.2 |
446.4 |
10.1 |
치과용품 |
40.0 |
42.8 |
48.6 |
55.3 |
62.8 |
11.9 |
정형외과·보철기기 |
95.7 |
106.0 |
117.8 |
131.1 |
145.4 |
11.0 |
환자보조기기 |
153.2 |
169.9 |
187.9 |
208.2 |
230.1 |
10.7 |
기타 의료기기 |
282.5 |
301.5 |
338.5 |
377.6 |
406.1 |
9.5 |
총계 |
1,039.8 |
1,148.7 |
1,262.3 |
1,399.7 |
1,534.7 |
10.2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