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4차산업혁명 초연결 기반을 만드는기술,스마트나노센서 산업동향

  • 등록일2018-05-23
  • 조회수5190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8-05-23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나노센서
  • 첨부파일

 

4차산업혁명 초연결 기반을 만드는기술,스마트나노센서 산업동향

 

 

SUMMARY



목적
4차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자동차, 철강, 조선 등 전통제조업 전반에 걸쳐 스마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센서 시장이 급속히 커지고 있다. 현재 국내 센서 제품의 시장규모는 세계시장의 1.6%, 기술수준은 선진국의 64%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혁신제품개발에 한계가 있어 새로운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기술동향 보고서에서는 기존 센서기술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나노센서의 정의, 기술, 산업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현황
세계적으로 인더스트리 4.0 등을 통해 모바일, 자동차, 바이오 산업은 웨어러블, 스마트카, 스마트헬스케어 등으로 주력산업이 재편되고 있으며, 최근 정부에서도 범부처 차원에서 지능정보사회 전략을 발표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센서산업을 포함한 소재부품분야의 기술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기는 2020년 500억개 이상, 세계시장규모는 1조 3천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의 강점기술인 IT, NT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나노센서 시장은 2014년 1,310만 달러에서 2019년에 4.85억 달러로 성장이 예측된다.(NanoMarkets) 이러한 스마트나노센서 수요의 증가는 산업적 수요뿐만 아니라, 고령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통상마찰에 따른 국가 안보 측면에서도 급속히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사점  및  정책제안
센서산업은 기술과 시장의 다변화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만으로도 창업이 가능한 전형적인 중소기업형 산업으로서, 국내의 우수한 IT, NT기술이 결합된 스마트 나노센서는 국가 주도적으로 육성이 필요한 신산업분야이다.
국내의 기존 산업과 연계하여 차세대 웨어러블, 자율주행자동차, 스마트헬스케어산업에 필요한 스마트나노센서를 개발하여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을 통해 급성장하고 있는 IoT시장에 대한 대응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