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사우디아라비아 의료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18-06-20
- 조회수603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6-13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기#사우디아라비아
- 첨부파일
사우디아라비아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명
ㅇ 상품명: 의료기기(HS Code 9018, 9019, 9020, 9021, 9022)
HS Code |
상세 내용 |
9018 |
내과용, 외과용, 치과용, 수의과용 기기 |
9019 |
기계요법용 기기, 마사지용 기기, 오존 흡입기, 그 밖의 치료용 호흡기기 등 |
9020 |
그 밖의 호흡용 기기, 가스마스크 |
9021 |
정형외과용 기기, 골절 치료용 부목, 인조 인체 부분, 보청기 등 |
9022 |
엑스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을 사용하는 기기 |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는 사우디 의료기기시장
- 사우디제조업미비와과거의료산업육성부재로수입의료기기에크게의존
- 2012~ 2016년 수입 의료기기는 사우디 의료기기시장에서 90%에 가까운 높은 비율 차지
사우디아라비아 의료기기 원산지별 시장점유율
(단위: %)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수입산 |
85.8 |
87.0 |
87.6 |
87.7 |
86.3 |
사우디산 |
14.2 |
13.0 |
12.4 |
12.3 |
13.7 |
자료원: Euromonitor
ㅇ 외국 기업이 주도하는 사우디 의료기기시장
- GE, Simens, Phillips, Toshiba 4대 의료기기 기업의 사우디 의료기기시장 주도 및 전담 유통채널 소유
- 2017년 7월 기준 54개의 사우디 의료기기 기업이 존재하나, 상위 5개사*가 사우디산 의료기기시장의 약 40% 차지
* Jamjoom Hospital Supplies, Saudi Pharmaceutical Industries & Medical Appliances Corp, Arabian Medical Marketing Co Ltd, Al Shifa Medical Syringes Mfg Co Ltd, Arabian Health Care Supply Co
ㅇ 진단 장비, 소모품 비중이 높은 의료기기시장
- 자동 심박동 기록기, 초음파 진단 장치, 안과 장비 등의 진단 장비 비중이 높은 편
- 2015년 기준 진단 장비는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 국가 전체의 50% 이상, 미국 30% 이상 수입하는 등 수입 제품이 대부분
- 진단 장비에 이어 의료용 소모품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
-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로 인한 의료용 드레싱, 흡수성 봉합사 등의 소모품 수요 확대
사우디아라비아산 의료기기 품목별 매출동향
(단위: US$ 백만)
구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X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장비 |
18.9 |
20.3 |
19.2 |
19.2 |
21.1 |
전기 진단, 자외선 및 적외선 기구** |
76 |
84 |
77.6 |
77.6 |
85.6 |
주사, 기타 주사 장비 |
35.5 |
38.4 |
36.8 |
36.8 |
41.9 |
정형외과 기기, 보조기구 |
13.2 |
14.7 |
14.2 |
14.3 |
15.6 |
기타 의료, 수술 장비*** |
21.3 |
23.0 |
21.5 |
21.5 |
23.5 |
합계 |
164.8 |
180.5 |
169.3 |
169.6 |
187.5 |
주: 1) 2017년 수치는 예상치, 2) **는 자동 심박동 기록기, 초음파 진단 장치, 신틸레이션 스캐너, 치과 드릴 엔진, 안과 장비 등,
3) ***는 의료용, 수술용, 치과용 가구, 기계 요법 기기, 인공 호흡 장비, 가스 마스크, 내시경 장비 등
자료원:
Euromonitor
□ 수입동향
ㅇ 최근 3년 사우디의 국가별 수입규모
사우디아라비아 의료기기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9018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
국가명 |
2014 |
2015 |
2016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 |
전체 |
986,994 |
100 |
938,248 |
100 |
641,645 |
100 |
1 |
미국 |
375,923 |
38.1 |
399,347 |
42.6 |
284,165 |
44.3 |
2 |
독일 |
192,019 |
19.5 |
149,096 |
15.9 |
85,108 |
13.3 |
3 |
멕시코 |
62,025 |
6.3 |
66,858 |
7.1 |
62,193 |
9.7 |
4 |
중국 |
64,670 |
6.6 |
57,518 |
6.1 |
35,236 |
5.5 |
5 |
일본 |
54,147 |
5.5 |
47,815 |
5.1 |
28,528 |
4.4 |
6 |
기타 국가 |
28,207 |
2.9 |
28,340 |
3.0 |
24,883 |
3.9 |
7 |
프랑스 |
28,613 |
2.9 |
35,727 |
3.8 |
21,282 |
3.3 |
8 |
스위스 |
42,206 |
4.3 |
45,358 |
4.8 |
20,622 |
3.2 |
9 |
아일랜드 |
29,222 |
3.0 |
27,452 |
2.9 |
20,431 |
3.2 |
10 |
영국 |
36,507 |
3.7 |
28,586 |
3.0 |
18,906 |
2.9 |
11 |
이탈리아 |
44,647 |
4.5 |
20,056 |
2.1 |
17,565 |
2.7 |
12 |
대한민국 |
16,119 |
1.6 |
19,563 |
2.1 |
14,442 |
2.3 |
13 |
싱가포르 |
12,691 |
1.3 |
12,532 |
1.3 |
8,283 |
1.3 |
주: 1) 순위는 2016년 기준, 2) HS Code 9018는 내과용, 외과용, 치과용, 수의과용 기기
자료원:사우디 통계청(Saudi General Authority for Statistics)
- HS Code 9018 기준, 40% 내외의 큰 비율로 미국으로부터 수입
- 최근 3년간 HS Code 9018 기준 미국, 독일, 멕시코 순으로 수입이 많이 이뤄졌음. 2016년 수입 상위 3개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약 67%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HS Code 9018, 9019, 9020, 9021, 9022 기준한국의 대사우디 수출액은 2015년 약 3000만 달러임. 이후 2016년 약 2100만 달러, 2017년 약 3000만 달러를 기록
-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기 수출액의 1% 내외 수준
사우디아라비아 의료기기 대한국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US$ 천)
구분 |
2015 |
2016 |
2017 |
9018(내과용, 외과용, 치과용, 수의과용 기기) |
21,495 |
15,239 |
17,069 |
9019(기계요법용 기기, 마사지용 기기 등) |
654 |
681 |
860 |
9020(호흡용 기기, 가스마스크 등) |
20 |
28 |
106 |
9021(정형외과용 기기) |
806 |
1,182 |
1,209 |
9022(엑스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사용 기기) |
7,106 |
4,080 |
10,294 |
자료원:한국무역협회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GE, Simens, Phillips, Toshiba 4개 외국 기업의 사우디 의료기기시장 주도
ㅇ 50여 개의 사우디 의료기기 기업 중 Jamjoom Hospital Supplies, Saudi Pharmaceutical Industries & Medical Appliances Corp 등 5개사의 생산 점유율 비중 약 40% 차지
2016년 사우디 의료기기 기업별 생산점유율
기업명 |
점유율(%) |
Jamjoom Hospital Supplies |
10.2 |
Saudi Pharmaceutical Industries & Medical Appliances Corp |
9.5 |
Arabian Medical Marketing Co Ltd |
3.6 |
Al Shifa Medical Syringes Mfg Co Ltd |
3.5 |
Arabian Health Care Supply Co |
2.5 |
기타 |
70.7 |
자료원: Euromonitor
주요 사우디 5개사 주요 취급 품목
기업명 |
주요 품목 |
Jamjoom Hospital Supplies |
일회용 의료 용품 |
Saudi Pharmaceutical Industries & Medical Appliances Corp |
X선 필름 |
Arabian Medical Marketing Co Ltd |
의료용 가구, 신장(콩팥) 관련 기기, 감염 방지 제품, 신경 관련 기기, 환자 감시 장치 |
Al Shifa Medical Syringes Mfg Co Ltd |
일회용 주사기 및 주삿바늘 |
Arabian Health Care Supply Co |
신장(콩팥) 관련 기기, 신체 보조기구, 관상동맥 집중 치료 관련 용품 |
자료원: Euromonitor
□ 유통구조
ㅇ 사우디 의료기기 유통은 현지 수입 유통상 및 에이전트를 통해 가능
ㅇ 공공부문 의료기기 유통은 걸프협력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 GCC)의 공동구매 프로그램(Group Purchasing Program, GPP), 공기업 NUPCO, 보건부 주도 현지 업체 입찰 3개 방식으로 가능
- (GPP) 걸프 지역 아랍 국가 물품 가격 통일성 제고 위해 GPP 운영 및 사우디 정부는 매년 입찰 통해 의료기기 조달
- (NUPCO) 2007년부터 공공 의료기관 대상 의료기기 국가조달, 유통 등 공급을 위해 NUPCO(National Unified Procurement Company for Medical Supplies) 운영 및 보건부, 국방부 등 산하 병원 의료기기 조달
- (보건부 입찰) 사우디 보건부의 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posal, RFP) 및 현지 업체 온라인 입찰 통한 의료기기 조달
□ 관세율 및 인증
ㅇ 관세율
- HS Code 9018, 9019, 9020, 9021, 9022 기준 5%의 관세율 부과
ㅇ 인증
- 국가등록(Medical Device National Registry, MDNR) 후 의료기기 설립 허가(Medical Device Establishment License, MDEL), 시판 허가(Medical Devices Marketing Authorization, MDMA) 취득 필요
- 국가등록은 시장 개요와 관련 업체 정보 수집 및 관련 규정에 근거해 의료기기 유통 가능성 여부 측정 절차
- 의료기기 설립 허가는 의료기기 생산, 수입, 유통 위한 사우디 규정 부합 여부 확인 절차로생산기업, 수출기업, 유통기업 등 등록
- 의료기기 설립 허가와 시판 허가는 온라인 통해 신청 및 현지 대리인*을 통해서만 서류 및 샘플 등 제출 가능
* 현지 대리인: 지정 대리인은 의료기기 시판에 따른 부작용 및 제품 결함에 따른 법적 책임 부담
□ 시사점
ㅇ 증가하는 의료 수요에 따른 의료기기시장 성장 전망
- 연평균 2%*의 인구증가율로 인한 향후 의료 수요 충분
* 2017년 사우디 인구 2016년 대비 2.52% 증가
- 2017년 대비 2035년 40~59세 인구 150% 증가 및 60세 이상 인구 300% 이상 증가*
* 현재 30세 미만 청년층이 사우디 인구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중장년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음.
- 고온 건조한 기후, 모래 바람 등 야외 활동에 제한이 되는 환경으로 인한 운동 부족 및 식습관의 영향으로 사우디인 약 70%가 비만
- 10대 청소년 30%가 비만, 95%가 비타민 D 부족, 16%가 정기 흡연자임. 6세 아동 충치율 96%, 12세 청소년 충치율 93.7%로 나타나 의료 수요 증가 전망
ㅇ 정부 주도 의료 수요 대응에 따른 의료기기시장 성장 전망
- 사우디, 2020년까지 6억 달러 투자 및 기초 보건 서비스 개선 추진 예정
- 사우디 보건부, 사우디 내 치과 의원 향후 2~3년 내 5000개 이상 확충 계획
- 담맘, 메카, 아브하 내 의료도시(Medical City) 건설 중이며, 대규모 의료 서비스 공급 전망
사우디아라비아 의료기기 품목별 시장규모 전망
(단위: US$ 백만)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0 |
X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장비 |
22.1 |
22.8 |
23.9 |
25.2 |
26.7 |
전기 진단, 자외선 및 적외선 기구 |
89.3 |
92.3 |
96.8 |
101.9 |
107.5 |
주사, 기타 주사 장비 |
43.7 |
45.3 |
47.7 |
50.1 |
53.1 |
정형외과 기기, 보조기구 |
16.3 |
16.9 |
17.7 |
18.7 |
19.7 |
기타 의료, 수술 장비 |
24.5 |
25.4 |
26.7 |
28 |
29.6 |
합계 |
196 |
202.7 |
212.5 |
224 |
236.8 |
주: 사우디산 의료기기 매출액 기준
자료원: Euromonitor
ㅇ 비관세 장벽으로 인한 진출 애로사항 존재
- 한국 의료기기 업체 S사에 따르면, 의료기기 등록절차와 같은 비관세 장벽은 사우디 의료기기 시장진출에 애로사항으로 작용
- 등록절차 내 담당자 재량 및 임의적 결정이 존재하거나 규정에 명시된 법정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빈번
ㅇ 다국적 기업의 시장 선점으로 한국 후발기업 진출 어려움 존재
- 고가 정밀 의료기기, 대부분 선진국에서 수입
- GE, Simens, Phillips, Toshiba 등 의료기기 기업이 사우디 의료기기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
- 미국, 독일 제품의 브랜드 경쟁력 우위 상당
ㅇ 한-사우디 보건의료 협력*에 따른 우리 기업 진출 기대
- 대사우디 의료기기 수출액 비중은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기 수출액의 1% 내외 수준이었으나, 양국간 보건의료 협력을 기초로 한국 의료기기의 진출 확대 기대
* 2016년 1월 24일 거점공관사업 의료 워크숍 개최 및 병원정보시스템 구축, 건강보험제도 구축, 간호사 연수 등 6개 분야 협력 합의
- 2018년 2월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우디 식약청과 의료기기분야 협력회의서 국내에서 허가된 의료기기가 사우디에서 별도 등록 없이 유통 및 판매될 수 있도록 하는 간소화 방안을 논의하기도 함.
- 사우디 의료기기 기업 J사의 관계자 M에 따르면, 최근 증가하는 의료 수요에 맞춰 사우디 의료기기 기업들은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한국 제품에 관심을 갖고 있음.
자료원: 사우디 통계청, Arab News, Saudi Gazette, Euromonitor, 사우디 관세청, 사우디 식약청,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무역협회, 뉴시스,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