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17년 3D프린팅 산업실태조사
- 등록일2018-07-04
- 조회수614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6-05
-
출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3D프린팅
- 첨부파일
2017년 3D프린팅 산업실태조사
제1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3D 프린팅 산업 태동
3D 프린팅 산업 정의 및 산업 범위
‘3D 프린터’의 기본 개념은 여러가지 소재를 활용하여 적층 방식으로 쌓아 입체적인 구조물을 만들어내는 프린터를 말한다. 이와 같은 3D프린터의 개념은 1892년 J.E. Blanther가 제안한 입체 모형 지도(한 층씩 쌓아서 지도를 제작하는 방식)에서 최초로 고안되었으며 이후 꾸준한 발전을 거듭해, 현재는 3D프린터를 이용한 건축, 사람의 장기와 뼈의 이식, 자동차 및 비행기 등의 생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업분류를 표준화하고 관리하는 곳은 통계청이다, 통계청에서 운영관리하고 있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는 생산단위(사업체단위, 기업체단위 등)가 주로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그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 한 것이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1963년 3월 경제활동 중에서 우선, 광업과 제조업 부문에 대한 산업분류를 제정하였고, 1964년 비 제조업부문에 대한 산업분류를 추가로 제정하였으며, 이는 유엔 통계청(UNSD)의 국제표준산업분류(1차 개정 : 1958년)에 기초하여 작성 하였으며, 현재 10차의 걸쳐 개정작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통계청이 한국표준산업분류는 국내 산업구조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8 스마트 헬스케어 수출상담회 참관기
-
다음글
- 태국 의약품 시장동향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