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 등록일2018-12-24
  • 조회수545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의료기기 성장세 계속될 전망 -

- 치아교정 및 임플란트가 성장동력분야 -

 

 상품명  HS Code

  ㅇ 상품명: 치과용 의료기기

   HS Code: 9018.4110, 9018.4990, 9018.4910, 9022.13

 품목별 수입관세

HS Code

상품명

관세

증치세

MFN

FTA

대미 관세

9018.4110

Dental drill engines, whether or not combined on a single base with other dental equipment

4%

0%

10%

16%

9018.4990

Other instruments and appliances, used in dental sciences (excluding dental drill engines or dentists' chairs)

4%

0.8%

5%

16%

9018.4910

Dentists’ chairs incorporating dental equipment

4%

2.4%

5%

16%

9022.13

Other apparatus based on the use of X-rays, for dental uses

1%

0.8%

10%

16%

주: 단위는 대/kg 기준

자료원: 易通?

  선정 사유

  ㅇ 소비력 확대와 구강 건강 의식의 제고에 따라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시장은 앞으로도 지속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임.

    - 중상산업연구원(中商???究院)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및 서비스 시장규모는 2020년까지 4000억 위안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

  시장규모  동향

    2017년 기준 중국의 치과 진단설비 및 기구 시장규모는 20700만 위안, 치과 치료설비 및 기구 시장규모는 848600만 위안,의치 및 각종 재료 시장규모는 731200만 위안으로 집계됨.

 중국 치과 의료기기 시장규모

자료원: 신스제산업연구센터(新思界???究中心)

 

  ㅇ 현재 중국 치과산업은 발전 초기 단계에 있으며 관련 기술력 미비로 의료기기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임. 

   - 특히 첨단 고성능 치과용 의료장비는 수입에 크게 의존함.

 

□ 주요 분야 시장동향

  ㅇ 중국 치과 의료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는 치아교정과 임플란트임. 해당 의료기기 수요도 동반 성장하는 추세임.

    - 중국산업정보망의 통계에 따르면 2011~2017년 중국 임플란트시장은 성장률이 56%에 달하며, 세계 임플란트시장에서 가장 성장세가 빠른 시장 중 하나임.

    - 임플란트 시술 비용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임플란트 fixture(인공치근)의 경우 중국 내 유통 제품의 90%가 수입에 의존함.

  ㅇ 2017년 치과용 피팅(의치, 의치고정기, 인공치근 등 포함, HS Code 9021.29) 수입액은 26500만 달러였으며, 상위 5개 수입국은 한국(6360만 달러, 24%), 스웨덴(5400만 달러, 20.4%), 스위스(5210만 달러, 19.7%), 독일(4350만 달러, 16.4%), 미국(2910만 달러, 11%) 순임.

   ㅇ 치아교정과 임플란트시장 확대에 따라 해당 치과용 영상장비시장 역시 급성장함.

    - 시술과정에 치과 영상장비가 중요한 역할을 함. 치과용 주요 영상장비는 파노라마, 세팔로(교정진단용 엑스레이), 치과용CT(CBCT) 등이 있음.

    - 그중 최소한의 방사선 노출로 최대한의 진단정보를 얻을 수 있는 CBCT는 시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임. 2012년 이전까지만 해도 중국 치과용 CT시장은 완전히 수입에 의존했음. 그러나 중국 로컬기업인 Meiya(?光)가 최초로 자체 개발한 CBCT 기계가 출시되면서 중국산 제품도 빠르게 시장을 확대함.

 

 수입동향  필요 인증

  ㅇ 중국 치과용 영상장비(HS Code 9022.1300) 수입 통계에 따르면, 주요 수입국은 한국, 핀란드, 독일 등이며, 2017년 기준 한국산 수입액은 2755만 달러로 전년대비 35.5% 증가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