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러시아(Russia)·우크라이나(Ukraine) 제약시장 진출정보

  • 등록일2019-04-08
  • 조회수488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3-21
  • 출처
    KHISS보건산업통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러시아#우크라이나#제약시장
  • 첨부파일

 

 러시아(Russia)·우크라이나(Ukraine) 제약시장 진출정보

 

 

[목차]

 

I. 최근동향

II. 제약시장 분석
III. 무역환경

Ⅳ. 제약시장 진출현황 및 전략

Ⅴ. 참고문헌

 

[내용]

 

Ⅰ 최근동향


□ 러시아 제약시장 규모는 2018년 약 201억불 규모로, 세계에서 10위권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음. 향후 연평균 5.0% 이상 꾸준히 성장하여 2023년 약 256억불 규모를 형성하면서 중·동유럽 최대의 제약시장의 지위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전망
? 2017년 러시아의 의약품 비용 지출은 전체 보건의료 지출의 20.3% 및 GDP의 1.34%를 차지하였음
? 1인당 의약품 지출액은 2017년 약 139.6달러에서 2022년에는 약 179.08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2017년 전문의약품의 매출은 총매출의 61.3%, 이 가운데 오리지널의약품은 20.3%, 제네릭의약품은 41.0% 및 OTC의약품은 38.7%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가격이 저렴한 제네릭 및 OTC의약품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잘 보여주고 있음
? 2014년, 2015년 및 2016년까지 루블화 기준으로는 시장이 크게 성장하였으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상쇄되었음. 달러 대비 루블화 평가절하로 인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중동유럽(CEE)지역의 가장 큰 제약시장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
- 최근 경기회복을 토대로 러시아는 주요 신흥국의 지위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기 진출한 다국적 제약기업들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2017년 하반기 경기의 하락으로 인한 다국적 제약기업의 저조한 매출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제약시장은 향후 중동유럽 지역의 주요 시장으로서의 위치를 계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

 

□ 큰 인구규모·고령화에 따른 질병부담 가중, 만성 비전염성 질환 증가에 따른 의약품 수요 증가, 보건의료접근성 개선, 정부의 의약품 생산 역량 강화를 통한 수출활성화 정책 등은 러시아 제약시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
? 2018년 기준 약 1억4천만명(세계9위)에 달하는 거대 내수시장을 토대로 큰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
- 2017년 1인당 의약품 소비액이 140달러로 낮은 수준임을 감안하면, 러시아 제약시장은 향후 의약품 매출성장 가능성이 농후하며, 이는 보건의료접근성 개선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중동유럽 32개국의 1인당 의약품 소비액 평균은 184달러이며, 그 중 러시아는 17위를 차지하고 있음
? 러시아 제약시장의 성장은 주로 제네릭 및 OTC시장의 성장에 기인하고 있으며, 특히 제네릭은 향후 10년간 오리지널 시장을 잠식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러시아 정부는 ‘Pharma 2020 정책’을 통한 의약품 생산 자국화 및 수출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제약기업 진출에 상당한 기회 또는 도전을 제공 할 것으로 전망
- 러시아의 의약품 생산 역량에 대한 외국인 투자의 증가는 제약 시장 성장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
- 장기적으로, ‘Pharma 2020 정책’의 지속적 추진에 따른 러시아內 증가하는 의약품 생산 현지화로 인해, 혁신의약품 제조기업들은 비즈니스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
? 정부 통제 증가, 의약품 지출 비용억제 정책, 제네릭 처방 장려, 취약한 규제환경 및 기술전문성 결핍 등은 향후 제약시장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의약품 등록·입찰시장에 대한 정부 간섭·통제 증가 및 취약한 지재권 보호는 다국적 제약기업의 혁신적인 의약품에 대한 러시아內 시장진입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 계속되는 정부의 비용억제 정책으로, 오리지널 대신 제네릭의약품 부문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빈번한 규제 환경의 변화는 절차적 투명성 및 신뢰도 감소를 초래하여, 제약부문 투자를 위축시킬 것으로 전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