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글로벌 화장품 수출경쟁력 분석 및 K-Beauty 시사점
- 등록일2019-04-24
- 조회수532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4-11
-
출처
KHISS보건산업통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화장품#수출경쟁력#K-Beauty
- 첨부파일
글로벌 화장품 수출경쟁력 분석 및 K-Beauty 시사점
[목차]
I. 배경 및 목적
II. 분석자료 및 방법
III. 분석결과
Ⅳ. 요약 및 시사점
Ⅴ. 참고문헌
[내용]
Ⅰ 배경 및 목적
⊙ K-Beauty(이하 K뷰티)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존재감이 크게 높아지면서 세계 트렌드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음
- 최근 우리나라 화장품은 기존 중국 및 아세안 시장 수출 확대와 더불어 미국, 유럽 등 선진시장으로의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K뷰티의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
⊙ 2018년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은 전년대비 26.5% 증가한 63억 달러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함
- 이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30%이상 고성장세를 지속한데다, 2014년 무역수지 흑자전환 이후 수출규모가 더욱 확대된 결과임
* 화장품산업 흑자규모(억 달러): (‘14) 5 → (’15) 15 → (‘16) 27 → (’17) 34 → (‘18) 46
⊙ 이러한 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2020년까지 화장품 수출은 91억 달러(한화 약 10조원)를 무난히 돌파할 것으로 전망
전 세계 화장품산업의 국제 비교 분석 결과 한국의 화장품산업은 교역량과 수출점유율에서 상위 10위권 이내로 매년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화장품 유형에 따라 수출경쟁력의 양극화가 나타남. K뷰티의 지속적인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차별화된 제품 개발과 동시에 정부차원에서는 선제적인 투자로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됨
⊙ 본 고는 대세계 화장품 무역경쟁력 분석을 통해 세계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위상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해보고 K뷰티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Ⅱ 분석자료 및 방법
⊙ 분석자료
- 자 료 원 : UN Comtrade 무역데이터
- 분석기간 : 최근 5개년(2013~2017년) 연간 수출입 데이터
- 분석국가 : 2017년 세계 화장품 교역액 기준 상위 10개국(한국, 중국/홍콩, 일본,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 싱가포르, 스페인, 이탈리아)
- 품목분류 : HS Code 6단위 기준 16개 해당 화장품 품목(한국보건산업진흥원 분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