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오픈이노베이션과 디자털헬스케어
- 등록일2019-09-10
- 조회수526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9-10
-
출처
원주의료기기테크노벨리
-
원문링크
-
키워드
#오픈이노베이션#디지털헬스케어#스마트의료#보안정책
- 첨부파일
오픈이노베이션과 디지털헬스케어
오픈이노베이션과 디지털헬스케어
독일 의료기기 대기업 지멘스는 동 파크를 일본 최초의 연구개발거점으로 삼아 AI를 활용한 새로운 영상진단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또한 지난 5월 중순, 일본 제약 대기업 타케다약품공업이 외부 기업이나 대학 등에 연구시설을 개방한 "쇼난헬스이노베이션파크"가 오픈 1주년을 맞이하였다. 최근 이러한 외보의 지식이나 기술을 도입하고 혁신적인 제품과 사업을 함께 만들어내는 "오픈이노베이션"이 산업전반에 화제가 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한 대략적 정의와 함께 디지털헬스케어에서의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한 설명과 전략을 설명하고자 한다.
디지털헬스케어 시대 진입에 따른 스마트 의료 보안사고 및 원인
4차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각종 분야에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역사가 말해주듯 혁명은 우리 시대의 큰 이점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그만큼 부작용을 수반한다. 의료 분야도 다르지 않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 진입에 따른 의료 분야의 변화는 환자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지원하며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한편, 의료 보안 이슈를 미처 고려하지 못해 심각한 문제점을 낳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의료분야 관련 보안사고 사례들과, 그에 대한 원인 및 전문기관의 조사 결과들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의료기기 기업을 위한 2018년 의료기기 수출입 통계 간락보기
식약처에서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6조 5,111억원으로 '17년(5조8,232억원) 대비 11.8%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해마다 평균 9.0%로 성장하고 있다고 지난 4월 29일 밝혔다. '18년 의료기기 수출은 3조 9,723억원으로 '17년 3조 5,782억원 대비 11.0% 늘어났으며, 수입은 4조 2,791억원으로 전년 3조 9,529억원 대비 8.3% 증가해 무역적자는 3,067억원으로 '17년 3,747억원에 비해 18.1% 감소했다.
4차산업발전에 따른 웨어러블 의료기기 적용 및 개발 사례
현재 세계의 산업은 정보, 의료, 교육, 서비스 등의 지식 집약형 산업인 4차산업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인류의 고령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변화에 맞추어 개인의 신체 상태 및 건강상태를 반드시 병원에 가서 확인하는 것이 아닌 수시로 확인하고 때로는 진단을 할 수 있는 웨어러블 의료기기 또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들의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아워홈은 프리미엄 식재 브랜드이지만, 4차산업혁명 시대와 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성공적인 시니어 비즈니스를 이뤄내기 위해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연령을 중 · 고령으로 개현하고 액티브 시니어(활동적인 고령자)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방안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향후 시니어 비즈니스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웨어러블 의료기기에 대한 기본 정의 및 최근 상용화 되거나 상용화 단계에 있는 웨어러블 의료기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