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스마트헬스케어 유망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 등록일2019-10-17
- 조회수867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10-10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헬스케어#글로벌시장#스마트헰스케어 해외진출전략
- 첨부파일
스마트헬스케어 유망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 목 차 >
요 약 / 1
I. 글로벌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개요 / 3
1 스마트헬스케어 정의 및 세부분야
2 세계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동향
3 세계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전망 및 한국 진출 유망지역
Ⅱ. 국내 스마트헬스케어 산업현황 / 16
1 스마트헬스케어시장 동향
2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현황 ? 세부분야별
3 스마트헬스케어 해외진출 현황 및 사례
4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전망 및 과제
Ⅲ. 해외 스마트헬스케어 시장 동향 / 47
1-1 미국 의료 시장 현황
1-2 스마트헬스케어 사업 환경
1-3 스마트헬스케어 세부분야별 현황
1-4 스마트헬스케어 관련 정책 및 클러스터 현황
1-5 스마트헬스케어 현지 진출 방안 제언
2-1 중국 의료 시장 현황
2-2 스마트헬스케어 사업 환경
2-3 스마트헬스케어 세부분야별 현황
2-4 스마트헬스케어 관련 정책 및 클러스터 현황
2-5 스마트헬스케어 현지 진출 방안 제언
3-1 인도네시아 의료 시장 현황
3-2 스마트헬스케어 사업 환경
3-3 스마트헬스케어 세부분야별 현황
3-4 스마트헬스케어 관련 정책 및 클러스터 현황
3-5 스마트헬스케어 현지 진출 방안 제언
4-1 아랍에미리트(UAE) 의료 시장 현황
4-2 스마트헬스케어 사업 환경
4-3 스마트헬스케어 세부분야별 현황
4-4 스마트헬스케어 관련 정책 및 클러스터 현황
4-5 스마트헬스케어 현지 진출 방안 제언
5-1 브라질 의료 시장 현황
5-2 스마트헬스케어 사업 환경
5-3 스마트헬스케어 세부분야별 현황
5-4 스마트헬스케어 관련 정책 및 클러스터 현황
5-5 스마트헬스케어 현지 진출 방안 제언
Ⅳ. 스마트헬스케어 해외진출전략 / 185
-----------------------------------------------------------------------------
Ⅰ 글로벌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개요
1 스마트헬스케어 정의 및 세부분야
□ 스마트헬스케어 정의
? 헬스케어 분야는 전통적인 병원 중심의 의료산업 영역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의료분야에 결합하여 다양한 수요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건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로 발전됨
?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다양한 분야에서 대응전략을 펼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각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헬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함
<‘스마트헬스케어’의 다양한 정의>

□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은 의료와 ICT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이용자)의 개인별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모니터링 및 관리함으로써 건강정보 및 질병 상태 등을 분석, 최적화된 맞춤형 의료서비스가 가능한 산업임
? 경제 수준 증가로 소득의 증가,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삶의 질 향상에 따라 건강에 대한 접근방식과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음
? 의료기관 치료중심의 전통적 의료서비스에서 IT, BT, NT 기술의 접목으로 환자의 진단뿐 아니라 질병의 예방 및 관리의 목적으로 4P(Personalized: 개인화, Predictive: 예측, Preventive: 예방, Participatory: 참여) 주도형 헬스케어 서비스로 진화
? 2016년 스위스 다보스의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에서 ‘Industry 4.0에서 디지털 기술과 바이오기술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기술혁명을 통해 건강에 대한 접근방식과 삶에 대한 방식이 변할 것이며 이는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함
<헬스케어 서비스와 ICT 융합의 발전 과정>

* 자료원 : 한국보건산업진흥원(’15.10), 산업연구원(’15.8), 산업통상자원부(’15.
□ 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의 생태계
? 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은 소프트웨어 기업, 하드웨어 제조업, 서비스 기업 및 정부부처(제도 규제, 제정)가 유기적으로 연결됨
<스마트헬스케어산업 생태계>
* 자료원 : 스마트헬스케어 활성화 국내규제(2015), 산업통상자원부
<스마트헬스케어 산업별 역할>

? 4차산업혁명시대의 ICT 기술기반 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은 의료와 ICT 융합으로 의료 데이터의 접근 및 확보 방식이 변화되고 의료 IT 기기, 서비스, App를 사용하는 환자 및 일반인 개개인의 질환, 건강, 식습관 관리 등의 서비스로 발전
? 이를 기반으로 생애전주기를 관리할 수 있는 정밀의료, 원격의료, 모니터링 서비스 등 개인별 맞춤형 치료 서비스와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2 세계 스마트헬스케어 산업 동향
□ 스마트헬스케어 시장현황 및 전망
? Frost & Sulivan(2016)에 의하면 2016년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의료서비스 제외)은 1조 6,84억 달러 규모로, 2014년 이후 연평균 6.82%로 확대되고 있음
- 헬스케어산업 중 제약·바이오를 제외한 분야를 광의의 스마트헬스케어 산업(의료서비스 제외)으로 정의하면 2016년 시장규모가 4,94억 달러
? Alied Market Research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세계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시장규모는 ’16년 960억 달러(약 107조 원) 규모로 추정되며, 이후 연평균 21.1% 성장률을 보이며 ‘20년에는 2,060억 달러(약 203조 원)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 Grail Research (2015)는 협의의 디지털헬스(Health Care Information Technology, HCIT) 시장이 2014년 2억 9,00만 달
러에서 2016년 36억 9,00만 달러로 확대되면서 연평균 성장률 27%를 시연할 것으로 전망함
* 스마트헬스케어 시장에 대한 정의와 범위는 통계 분석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음
- 세부 분야에서는 체외진단 분야와 디지털헬스(HCIT) 시장 성장률이 8%를 상회하면서 산업 성장률을 견인하고 있음
?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혁신적인 헬스케어 서비스로는 차세대 현장치료(Point of Care; POC) 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개념의 진단 및 건강관리를 들 수 있음
- 미국에서 무료 또는 저렴한 원격의료 및 대면 예방 서비스가 광범위 하게 확대되면 미국민 90% 이상이 무료 예방케어서비스 이용 가능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규모>
(단위 : 십억 달러)
* 자료원 : Frost & Sulivan(2015), Frost & Sulivan(2016) 산업연구원 재구성
? 세계시장에서 헬스케어 관련 디바이스의 수요는 2015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해 2019년에는 가장 많아질 것으로 전망됨
<헬스케어 디바이스 세계시장 발전 전망>
* 자료원 : ABI Research, ’Digital Health Submit’, 201
? 전체 보건의료 시장(의료서비스 제외) 중 30% 정도를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으로 볼 수 있으며 빠르게 성장
- 의료기기 분야, 체외진단(In Vitro Diagnostics, IVD) 분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등 포함
- 병원은 내부적으로 자체(In-House)앱 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추세이며, 자체앱 개발 증가로 지역 공급업체들이 IT벤더 및 개발자로 전환
? 스마트헬스케어를 위해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orting System, CDS)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시장도 급성장하는 추세
- IBM 왓슨, 구글 닥터 등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은 인공 지능이 활용되는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이 확대되는 추세
* CDSS : 의사 및 기타 의료 전문가에게 임상 의사 결정 지원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시스템
? 글로벌 대기업들의 신사업 격전지로 부상, 벤처창업 활성화
- 국내외 ICT, 非ICT 기업들의 스마트헬스케어 시장 진출이 증가
? 유관기업과 합작회사 설립, M&A 등 합종연횡 움직임 활발
- 미국 등 벤처 강국에서 스마트헬스케어 분야 창업 크게 확대
<스마트헬스케어 가치사슬>
* 자료원 : KDB산업은행, 스마트헬스케어의 부상에서 찾아야 할 기회 요인, 2016
? 미래 유망 투자분야로 지목, 국내외 벤처투자 규모 크게 증가
- 미국의 스마트헬스케어 분야 벤처투자 자금은 ‘15년 45억 달러를 기록해 ’1년에 비해 4배 이상 규모로 급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