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키워드로 보는 中 헬스·스포츠 산업
- 등록일2019-10-21
- 조회수525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10-18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 헬스 산업#중국 스포츠 산업#2019 CHINA FIT 베이징 추계 스포츠·헬스대회
키워드로 보는 中 헬스·스포츠 산업
□ 개요
ㅇ 2019 CHINA FIT 베이징 추계 스포츠·헬스대회가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2일간 베이징 국가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됨.
- CHINA FIT는 2012년 베이징에서 최초 개최된 이래 창사, 광저우, 청두, 지난, 충칭, 정저우, 시안, 쑤저우, 우한, 항저우 등 중국 대표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그중 베이징에서는 매년 봄, 가을 2회 개최됨.
ㅇ 행사는 전시, 전문 포럼, 소비자체험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
- 30여 개 기업이 전시부스에서 헬스기구, 스포츠용품과 서비스를 소개하고 현장 상담 진행
- 16개 회의실에서는 중국 헬스·스포츠 산업 및 시장동향, 헬스장 운영 전략, 재활 프로그램, 건강식품 등과 관련된 소형 전문 포럼 개최
□ 키워드로 보는 중국 헬스·스포츠 시장
ㅇ 소비수준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헬스·스포츠시장이 주요 유망 산업으로 부상
- 중국 스포츠 활동인구는 2015년 4억 명으로 추정되며, 내년엔 4억3500만 명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국가체육총국)
- 최근 젊은 층과 중산층 사이에서 자기관리 열풍이 뜨거운 가운데 이번 행사에서 다양한 소비 니즈에 맞춘 디지털,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제품과 서비스가 관객의 발길을 끌었음.
① 스마트기기
- 소비자들에게 맞춤형 운동법 처방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체력상황을 체크한 후 소비자에게 가장 적합한 운동처방을 내리는 스마트기기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이 높았음.
- 해당 기기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체형과 문제점을 정확히 인지하도록 도움을 주고 트레이너와 맞춤형 운동법을 상의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데이터 제공
- 업체 관계자는 “헬스에 관심을 보이는 젊은 층과 중산층은 트레이너로부터 운동법을 일방적으로 코치받기보다 자신의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 자신이 원하는 대로 트레이닝 받길 원한다”며 “이러한 까다로운 수요를 만족시키 위해 앞으로 보다 첨단적인 기술이 헬스산업에 활용될 것”이라고 진단
칭화퉁팡의 스마트 체력 체크 기기
자료: KOTRA 베이징 무역관
② 키즈 헬스·스포츠
- 이번 행사에서 아동과 청소년을 상대로 하는 스포츠 용품이 대거 전시됐으며, 포럼에서도 키즈 헬스장 운영에 대한 토론이 활발하게 진행됨.
- 3~6세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키즈 스포츠 센터(유아 수영 등)와 청소년 스포츠학원 등에 대한 관심 집중
키즈 스포츠 센터 관련 용품
자료: KOTRA 베이징 무역관

③ 건강식품
- 과거에는 단순히 건강증진이 목적이었다면 최근에는 미(美)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포츠 영양제, 식이섬유 보충제, 체중관리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음.
- 체중 유지, 소화 촉진 등 여성들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포도씨 종자, 콜라겐 등 제품과 함께 관절과 근육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관심 집중

자료: KOTRA 베이징 무역관
④ 재활치료를 위한 스포츠
- 스포츠재활 클리닉 등 재활치료 목적의 스포츠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 증가
- 행사 16개 포럼 중 4개가 재활치료와 스포츠를 접목시켜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는 의제로 진행
- 한 업체 관계자는 “바쁜 일상과 스트레스로 고통 받는 현대인, 특히 하루종일 컴퓨터를 사용해 목, 어깨 통증에 시달리는 직장인들, 그리고 중장년층이 스포츠재활 클리닉의 주고객”이라며 관련 산업의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고 진단

자료: CHINAFIT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의 헬스·스포츠 시장은 발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만큼 성장 잠재력이 높다는 분석
- 정부의 산업발전 장려 및 스포츠 인구 증가가 헬스장, 관련 서비스 수요 증가로 이어질 전망
·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 정부는 <전 국민 헬스와 스포츠 소비 촉진으로 스포츠산업 고품질 발전 추진에 관한 의견> 등 산업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음.
ㅇ 중국 진출 희망 기업은 지역별, 소비계층별 니즈를 면밀히 분석하고 다양한 상품군, 품질 높은 상품과 서비스로 시장을 공략해야 함.
- 전문가들은 중국의 헬스·스포츠산업이 발전 초기단계지만 트렌드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
- 시장진출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기존의 사업패턴에서 벗어나 다양한 헬스·스포츠 수요를 분석하고 새로운 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