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글로벌ICT이슈] 헬스케어 산업 동향
- 등록일2019-11-07
- 조회수1320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10-24
-
출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글로벌ICT포털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EMR#국내 의료기술
- 첨부파일
[글로벌ICT이슈] 헬스케어 산업 동향
□ 국내 시장 현황
○ 뛰어난 의료기술력은 물론 를 상회하는 의료기관 전자의무기록(EMR) 보급률, 세계 위 스마트폰 보급률 등 높은 수준의 의료 및 디지털 인프라 갖춤
○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13년 2.6조원, 2013년 3조원 등으로 매년 10%넘게 성장해 오는 2020년에는 14조원 규모의 시장 전망
○ 국내 헬스케어제품들은 원격의료 금지 규제,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의뢰하는 DTC유전자 검사항목 제한등의 규제들로 의료목적으로 사용 난항
□ 해외 시장 현황
○ 해외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15년 790억 달,러 2016년 960억 달러등으로 2020년에는 2060억 달러 전망

○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17년 헬스케어 개별기기를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기업을 규제하는 것으로, 적절한 자격요건을 갖춘 기업에 '자격(Pre-Cert)'를 부여받은 기업의 제품을 규제 당국이 인허가 과정을 간소화하여 심사받는 내용등을 포함한 DHIAP발표
* DHIAP (Digital Health Innovation Action Plan)
○ 일본은 2015년부터 원격의료를 허용해 2016년부터 IT기업 (PORT 메디컬, OPTIM, MRT 등)의 원격의료 서비스 본격화 제공
○ 제 12차 국제의료기기 규제당국자포럼(IMDRF)에서는 미국의 DHIAP를 바탕으로 의 가이드라인 활용 권고
* IMDRF (International Medical Device regulator Forum)
□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투자의 폭발적인 증가 추세
○ 2014년 이후 설립된 스타트업 상위 100개 기업에 국내 업체는 단 한 개도 포함되지 않았으며,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상위 100개 기업중 63개의 스타트업(누적 투자액 기준 75%)이 한국 진출은 규제로 인한 사업제한

□ 시사점
○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의 매해 꾸준한 성장률 고려 및 연간 최대 1900억 달러(215조)의 비용절감등 경제적 효과를 위한 국내의 주요 규제의 개선 정책 변화 필요
○ 혁신 서비스 도입에 소극적인 의료기관 및 성장이 제한된 시장을 위해 혁신 기술 도입 인센티브 지급, 의료 시스템 및 규제 수출 등의 국가 차원의 지원 요구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