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실리콘밸리 스타트업들은 어떻게 인재를 채용하고 있을까
- 등록일2019-12-11
- 조회수609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9-11-29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실리콘밸리#스타트업#AI#자율주행#생명공학
실리콘밸리 스타트업들은 어떻게 인재를 채용하고 있을까
- 미 실리콘밸리는 미국 창업자의 25%가 집중한 스타트업의 성지
- AI, 자율주행, 생명공학 분야를 미래를 주도할 산업으로 보며, 외국인재에 대한 수요가 높음
□ 미국 스타트업 현황
ㅇ 스타트업(Startup)이란?
- 스타트업은 설립한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 벤처기업으로, 통상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신생회사들을 일컫고 있음
- 미국 중소기업청(Small Business Administration)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 약 3천만개의 중소기업이 있으며, 이들 중소기업이 새로이 만들어내는 일자리가 전체 신규 일자리수의 66%에 이른다고 발표
ㅇ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현황
- 미국 투자전문 조사사이트인 크런치베이스(Crunchbase)에 따르면, ‘실리콘밸리’라고 알려진 San Francisco Bay Area의 등록 스타트업수가 37천개사이며, 창업자수도 38,903명으로, 미국 전체 창업자수의 25%를 차지하여, 실리콘밸리는 미국에서도 가장 창업 열기가 높은 지역임
< Crunchbase에 등록된 미국 스타트업 현황 >
구분 |
미국 전체 |
SF Bay지역 |
캘리포니아 |
뉴욕 |
스타트업수 |
- |
37,070 |
67,967 |
20,859 |
창업자수 |
156,024 |
38,903 |
57,394 |
17,517 |
평균 창업시기 |
2008년 10월 |
2011년 4월 |
2010년 9월 |
2011년 6월 |
자료 : crunchbase.com
- Silicon Valley Bank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스타트업들의 50%이상이 자금투자 선호처로 Venture Captial을 꼽아, 미국 창업생태계에서 VC의 역할은 매우 큼
< 스타트업의 선호 투자처 설문조사 >

자료 : Silicon Valley Bank “US Startup Outlook 2019”
□ 스타트업은 어느 단계부터 채용을 고려하게 될까?
ㅇ 스타트업의 투자유치와 초기전략
- 스타트업은 통상 투자유치단계 (Funding Round)를 거치면서 성장과 함께 가치가 높아지는데, Seed단계에서부터 Series A에서 Series F 등의 투자단계 이후, M&A (회사인수) 또는 IPO (기업공개)로 일반적인 기업이 됨
- 스타트업의 생존율은 낮은데, 일반적으로 투자유치단계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짐
< 미국 스타트업의 투자유치단계별 생존율 >

자료 : angel.co
- 스타트업의 초기단계인 Seed단계에서, 창업자들은 MVP (Minimum Viable Product)를 개발하여, 소수의 실제 고객으로 제품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투자자는 기업활동을 빠르게 돕도록 투자와 함께 창업자들이 적절한 팀을 구성하도록 요구받게 됨
- 따라서 초기단계의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필요에 기반한 즉각적 채용 (ad hoc & as need basis)”을 하게 되고, 주변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관련 전문가 또는 경력자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임
ㅇ 스타트업 초창기의 직원채용 방식
- 일부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제품 마케팅을 위해, 유명학교 출신자 또는 특정 전공자를 전략적으로 채용하였다가, 성과를 내지 못하고 투자금만 소진하여 해당 팀을 해체시키는 사례도 있는 등, 스타트업의 채용은 전통적 인사관리 측면에서 안정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임
- 그러나 ZipRecruiter.com은 스타트업의 리쿠르팅은 기성회사의 채용과 전혀 달라야 한다고 말하고,
① 급여나 복지, 그리고 회사 인지도 면에서 스타트업은 절대적으로 불리하기에, 해피아워 (간식시간) 또는 비디오게임기가 있다는 식의 설명보다는 구직자에게 회사의 미션과 성취할 비젼을 명확히 제시해야하며,
② 창업자의 신조를 맹목적으로 믿게 하기 보다는 직원이 회사의 미션과 비젼을 현실로 실현하는 것에 집중할 수 있음을 보여야 하며,
③ 전문역량도 중요하나 한 직원이 맡을 업무가 다양하므로, 다른 직원과의 조화로운 사회적 태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면접이 되어야 하며,
④ 채용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특정 프로젝트를 주어 시범적으로 일을 해보는 기간을 두는 것도 좋다고 권함. 다만 이 경우에도 일한 만큼에 대한 대가는 보상을 해줘야, 일반 채용알선 웹사이트에 회사에 대한 불만을 쓰지 않게 된다는 조언도 언급
ㅇ 스타트업이 주로 채용하는 직무분야
- 스타트업 초기 단계에 고용하는 인재는 프로덕트 매니져(Product Manager), 기술 엔지니어 (VP of Engineering), 마케팅 매니져 (CMO 또는 Community Manager), 세일즈 매니져 (Sales Manager), 재무 관리자 (CFO) 등으로 알려져 있음
- 반면 회계사무원, 일반사무직원, 법무직원, 콘텐츠 라이터 (작가), 인사직원, 웹디벨로퍼 등은 당장 스타트업 운영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직원채용 보다는 외주 (Outsourcing)로 필요에 따라 사용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