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경기도 건강보조기구산업 육성 방안 및 제도 연구

  • 등록일2019-12-30
  • 조회수424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12-13
  • 출처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경기도#건강보조기구#육성방안
  • 첨부파일
    • pdf (GBSA)경기도 건강보조기구산업 육성 방안 및 제도 연구_요약본.... (다운로드 10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경기도 건강보조기구산업 육성 방안 및 제도 연구



요   약


제1장 연구의 개요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기대수명은 2030년 세계에서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측

- 영국 Imperial College London과 세계보건기구(WHO) 연구진이 세계 35 개 나라를 대상으로 2030년까지의 기대수명을 분석한 결과, 한국 여성은 90.8세, 남성은 84.1세까지 생존할 것으로 전망(Kontis et. al., 2017) 

우리나라는 2019년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76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4.9%를 차지하며 2025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어 이에 대 한 대응체계 마련이 시급한 상황(오세진, 2019) 

201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료비 지출은 158만원이었으며 노 인인구가 많을수록 의료비 지출이 증가(국민건강보험공단, 2018) 

선진국을 중심으로 오래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건강하게’ 사는 것이 더 중 요하다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으며 국내 소비자들도 건강(36.6%)에 대한 관 심이 가장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그 관심도가 증가(한국표준협회, 2019) 

 (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건강보조기구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보고 도내 소비자 및 산업체 대상 정책 수요조사를 통해 경기도 건강보조기구산업 육 성 정책 방안과 제도(안)을 제안하는 것


▲연구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 전역, 시간적 범위는 2020~ 2024년(5년) 까지로 정하고 아래의 네 가지 내용적 범위를 설정

① 건강보조기구산업에 대한 정의 및 범위 설정

② 경기도 건강보조기구 업체 DB구축, 소비자 인식조사, 기업체 정책수요조사

③ 경기도 건강보조기구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 수립 및 중점추진과제 제시

④ 경기도 건강보조기구산업 지원을 위한 제도(안) 제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