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과거 사례의 경우
- 등록일2020-04-02
- 조회수473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3-23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감염병#경제#산업
- 첨부파일
유행성 감염병이 경제와 산업에 미치는 영향: 과거 사례의 경우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 예측을 위한 참고 사례로서 사스(SARS) 당시의 주요 발병국(홍콩, 대만, 싱가포르)과 메르스(MERS)하에서의 한국 사례를 대상으로 경제와 산업에 미친 영향을 검토
● 사스 홍콩 사례의 경우 인구당 발병률에서 한국 코로나19의 약 2배, 인구당 사망률은 약 40배에 달하여 홍콩 경제에 큰 충격을 미쳤음.
이들 사례의 공통적 특징으로 첫째, 사례별 충격의 크기 차이에도 불구하고 경제 영향은 단기에 그치고 이후 급반등하면서 장기 영향은 미미
● 사스 3국 사례의 경우 발병 기간에 전기비 분기 GDP 성장률을 1.2%포인트(싱가포르)~2.4%포인트(홍콩) 낮춘 것으로 추정되나 장기 영향은 미미
둘째, 전체 경제에 비교적 큰 충격을 미친 경우에도 업종별로는 충격의 강도에 큰 편차가 존재하고 대체로 일부 업종에 피해가 집중
● 사스 3국 사례의 경우 최대 피해업종에는 분기 성장률을 약 20%포인트 낮추는 충격을 미친 반면, 상당수 업종은 가시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음.
셋째, 주요 피해업종의 내용은 4개 사례에서 상당한 공통성
● 사스 3국 사례의 경우 업종별 피해 정도는 공통적으로 음식숙박, 운수, 유통 순이었고, 메르스 한국의 경우도 음식숙박업이 주요 피해업종
이 같은 특징 중 일부는 사스나 메르스가 세계적 확산이 아닌 국지적 발병에 그쳤고 지속기간이 비교적 짧았다는 특성에 기인
업종별, 부문별로 영향에 큰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정책 대응은 보편적 지원보다는 주요 피해 부문 및 계층에 지원을 집중하는 방식이 바람직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2024-10-24
- BioINwatch 일본, 바이오경제 전략 보고서 발표 2024-10-10
- BioINwatch 미국, 바이오경제 성장을 위한 데이터 이니셔티브 수립 2024-03-19
- BioINpro [New GPT 시대의 바이오기술] 경제안보 관점에서의 바이오 분야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분석 및 시사점 2023-10-12
- BioINglobal 독일의 바이오경제 : 바이오 기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회 2023-06-12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