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러시아 제약산업 외국인 투자 동향

  • 등록일2020-04-06
  • 조회수503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러시아 제약산업 외국인 투자동향

 

2020-03-27 최진형 러시아 모스크바무역관

 

 

- 러시아의 제약산업 수입대체화 정책, 오히려 제약 기계설비 수입 확대 전망 -

- 러시아 수입대체화정책 장기화, 새로운 시장진출 전략 필요해 -


 


□ 러시아 제약기업 및 외국인 투자 동향

 

  ㅇ 러시아 제약 분야로 등록돼 활동 중인 제조사는 2700개사이며, 이 중 민간 제조사가 2300개사이고 외국인 합작 기업 대부분이 민간 제조사에 포함돼 있음.

    - 국영기업과 민관 합작기업은 각각 100개사 정도이며, 2017년 한해 동안 150개사가 제약 제조사로 등록

    - 기업 수로는 전체 산업의 0.1% 비중에 불과하나 생산 가치 기준으로 러시아 전체 산업의 1.2%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기업당 생산 부가가치는 높은 편임.

      · 기업 수 집계는 2016년 이후로 부재하며, 기업 생산 가치 지수는 2018년에만 해당

 

러시아 전체 제조사 대비 제약사 비중

20200406_1017331.png

자료: 러시아 연방 통계청


  ㅇ 2019년 기준 러시아 의약품 제조사들의 재무 안정성은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 중

    - 2019년 11월 기준 러시아 의약품 제조사들의 연체지불 계정 규모는 러시아 전체 제조사의 0.5% 비중이며, 회사 수로는 2018년 11월 대비 변동이 없음.

    - 2019년 상반기 기준 러시아 제약사들의 자기자본비율, 자본 대비 총 부채비율, 자산보상비율은 매우 양호한 편이며 절대유동성 비율과 유동부채 대비 자산비율은 기준 대비 소폭 낮으나 양호한 편임.


러시아 제조사 대비 제약사의 연체지불계정 현황(2018년 11월, 2019년 11월 기준)

20200406_1019042.png

자료: 러시아 연방 통계청


러시아 제약사의 재무 안정성 비율(2019년 H1 기준)

(단위: %)

20200406_1020103.png

자료: Remedium.ru


  ㅇ Ernst&Young에 따르면 2006~2016년이 러시아 제약산업의 외국인 투자 진출이 가장 활발한 시기였으며, 수입대체화 정책 대상에 제약산업도 포함되면서 외국인 현지 진출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됨. 

    - 다국적 기업들이 최초로 러시아 제약산업에 진출한 시기는 1994년으로 현지에 ‘국제제약사협회(AIPM: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manufacturerers)’가 설립됨.

    - 2006~2016년 사이 다국적 제약사들의 대러시아 직접투자 금액은 52억8000만 달러였으며, 21개 투자 프로젝트로 20개 M&A가 성사됐고 규모는 13억5000만 달러였음.

    - 해당 기간 외국계 기업들의 러시아 제약산업 기술개발 투자 규모는 12억1000만 달러였고 R&D 투자 규모는 9억4000만 달러였음.

 

  ㅇ 2019년 9월 러시아 산업통상부 제1차관에 따르면 다국적 제약사들의 러시아 투자 및 기술협력으로 80개 제약사의 제품들이 현지화 되었고 의약품 수로는 360개에 이른다고 함.

    - Novartis, Pfizer, Teva, AstraZeneca, Novo Nordisk, Sanofi 등이 러시아 제약산업단지에 진출하면서 다국적 기업으로서 러시아 현지화에 큰 기여를 했음.

    - AstraZeneca와 Sanofi는 2017년 러시아 연방정부와 특별투자계약(SPIC)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 Roche, Merck&Co, Janssen(Johnson&Johnson’s 제약 분야 계열사), SmithKline Beecham-Biomed(GlaxoSmithKline의 생약분야 계열사), Takeda, AbbVie 등도 최근 러시아 투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임.

    - 2019년 9월 Roche사는 Gilead사와 기술협력을 통해 러시아 현지에서 7가지 혁신 약품을 개발했다고 발표


다국적 기업들의 러시아 제약산업 진출 사례(선택적 데이터)

20200406_1021484.png

자료: BMI, Vedomosti

 

□ 러시아 의약품 제조설비 및 외국인 투자진출 동향

 

  ㅇ 러시아 제약 분야로 다국적 제약사들이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있고 러시아 수입대체화 정책으로 의약품 생산설비 및 기계 수요가 크게 증가 중

    - 의약품 생산설비 및 기계로 대표적인 품목은 조제약 정량 및 혼합기, 균질기, 연삭기, 분해기, 코팅기, 디지인 및 포장기, 건조기 등임.

 

일반적인 의약품 제조설비 및 기계

20200406_1022495.png

자료: http://medbuy.ru/farmacevticheskoe-oborudovanie

 

  ㅇ 러시아 연방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 기준 러시아 제약산업의 고정자산투자 중 제조설비 투자규모는 83억7350만 루블(약 1억3726만 달러)로 전년대비 57.4% 증가

    - 러시아 수입대체화 정책 및 기술혁신 프로그램으로 제조산업은 대체적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게 통계청 의견임.

    - 러시아 의약품 제조 설비의 37.5%가 교체 시기에 도달했고 10.8%의 장비는 작동이 불가한 상황이나 2017년 말 기준 사용이 불가한 장비 비중은 11%였음.

 

  ㅇ 한편, 러시아 수입대체화 정책으로 인한 수요 증가 대비 현지 조달이 어려워져 오히려 설비 및 기계 수입을 조장하고 있다는 게 러시아 전문가들의 의견임.

    - Rossiyskaya Gazeta에 따르면 러시아 의약품 제조설비는 수입에 절대 의존 중이고, 특히 유럽산 설비 및 기계 시장점유율이 매우 높음.

    - 러시아는 ‘제약 전략 2020(2020 Pharma Strategy)’ 추진 예산 중 제약 기술 장비 투자로 1억8800만 루블(약 308만 달러)을 책정했으나 제약 설비 및 기계 현지화에는 크게 부족한 수준임.

 

러시아 제약 설비 및 기계 현지화 수행된 프로젝트(2019년기준, 선별적 데이터)

20200406_1024246.png

주: 환율 2019년 12월 기준, 63루블/1달러

자료: Kommersant, Fishki.net, GMPnews.ru


러시아 제약 설비 및 기계 생산 기업 현황

20200406_1025327.png

자료: www.medbuy.ru, 각 기업 홈페이지 참조


  ㅇ 러시아 제약 설비 및 기계의 외국계 공급사는 대부분 유럽과 미국 기업이며, 중국 기업도 최근 시장 진출이 활발한 편

    - (독일) GEA Pharma Systems, Notter GmbH, kg-pharma GmbH & Co. KG, Thermo Electron (Karlsruhe) GMBH, Fette Compacting GMBH, Diosna Dierks & Sohne GMBH , Uhlmann Pack-Systeme GMBH & CO, Romaco Kilian GMBH, ROTA Verpackungstechnik GmbH & Co.KG

    - (이탈리아)  Fedegari Group, Optrel, Polaris, TECNinox Srl, GF, Cos.Mec s.r.l., B&D Italia srl, Cariba, FPS, Marchesini Group S. P. A. , Zanchetta S. R. T., Famar Tec s기

    - (미국) Delta (part of the Polaris Group), Microfluidics International Corporation, Thomas Engineering

    - (벨기에)  Pharma Technology S.A., ProCepT, Xede

    - (영국) Extract Technology, Chargepoint Technology Limited

    - (덴마크) Ellab

    - (스페인) Dara Pharmaceutical Packaging

    - (스위스) Frewitt

    - (중국) Summit Smartcon Limited, China National Huachen Energy Group CO. LTD, Sinopham Co. , Limited; Shanghai TOFFLON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외국계 기업 공급사 현황 (선별적 데이터)

20200406_1028128.png

자료: https://solidpharma.ru/


□ 현지 기업 반응

 

  ㅇ Dara사에 따르면 러시아 제약산업 기계설비 시장은 현재까지 단순한 구조로 상위5% 제약사만이 유럽 및 미국산 설비를 공급받고 있고, 나머지 95%는 저렴한 중국산 설비를 선호하고 있다고 함.

    - Dara사는 독일 3대 제약 기계설비 제조사 외에는 러시아 시장에서 경쟁력이 독보적이라고 자부하고 있으며 중국, 스페인, 이탈리아 기계설비보다는 질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

 

  ㅇ Reatorg사에 따르면 러시아는 아직까지 제약 기계설비 현지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외국계 기업에는 매우 매력적인 시장임.

    - Reatorg사는 러시아 생산설비 현지화는 장기화될 것이고 이미 오랜기간 러시아 시장에 포지셔닝을 해왔기 때문에 최적의 가격과 품질로 시장 진출이 확고한 상황이라고 첨언

      · Reatorg 사는 의약품 생산설비(라인)뿐만 아니라 실험실 설계 및 장비 공급에도 특화된 기업

 

□ 유용정보: 유망 전시회

 


20200406_1029159.png

 

□ 시사점

 

  ㅇ 러시아 제약 기계설비 시장에 한국 진출이 활발해진 시점은 2015년부터이며, 장기간 러시아 시장을 점유 중인 유럽 기업과의 경쟁력이 될만한 품목은 캡슐 제조 및 충전기, 믹서, 코팅, 포장기 등임.

    - 러시아 현지 언론기사에 따르면 한국 제약기계설비 기업들은 대부분 러시아 제약 전시회 참가를 통해 현지 진출을 도모 중

 

제약 기계설비로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 품목 예시

20200406_10301610.png

자료: 각종 현지 뉴스 종합


  ㅇ 러시아 제약산업 수입대체화는 장기화될 전망으로 단기적인 수출 성과보다는 현지 기업과의 기술협력, 기술공동개발, M&A, 합작투자 등으로 시장 접근 필요

    - 러시아 제약산업 수입대체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가운데 의약품 현지화는 단기 내 목표 달성이 이뤄질 것이나 의약품 현지화 계약 목표 달성을 위한 생산 인프라(기계설비) 부족으로, 오히려 관련 품목 수입이 확대되는 추세

    - 러시아 제약산업 기계설비는 단기 내로 현지화가 어려운 품목으로 알려져 있고 실질적으로 유럽 및 미국, 중국의 기업들은 동 상황을 적절히 파악해 시장 포지셔닝 중

    - 경쟁력있는 한국 제약 기계설비는 가격과 품질 면에서 중국보다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유럽 및 미국 제품과 중국 제품 사이의 틈새시장을 노려볼 만함.  

 


자료: 러시아 제약산업 및 외국인 투자 관련 언론(https://www.kommersant.ru/doc/4234998, https://gmpnews.ru/2019/06/na-territorii-yaroslavskogo-farmklastera-otkryt-zavod-kompanii-bezen-xelskea/, https://www.vedomosti.ru/partner/articles/2019/10/30/814947-lokalizuite-eto , http://remedium.ru/industry/pharmindustry/analysis/Investitsionnaya_aktivnost_i, https://fishki.net/3194678-15-farmacevticheskih-proizvodstv-otkryto-v-rf-v-2019-godu.html), 한국 기업 진출 관련 현지 뉴스( http://www.toolsmart.ru/company/info/643.htm, https://vademec.ru/news/2016/07/06/farmkontrakt-stal-distribyutorom-sejong-pharmatech-v-rossi-/, https://gmpnews.ru/2017/04/kompaniya-sejong-pharmatech-otkryvaet-demo-ofis/, http://www.tlogistik.ru), Spark Interfax(기업정보 유료서비스), 러시아 연방 통계청(http://static.government.ru),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