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303] 코로나19 진단기기 산업현황 및 수출전망

  • 등록일2020-05-20
  • 조회수524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5-13
  • 출처
    KHISS보건산업통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진단기기
  • 첨부파일

  

[보건산업브리프 Vol.303] 코로나19 진단기기 산업현황 및 수출전망

이진수 (의료기기산업종합지원센터)

[목  차]

 

I. 서론
II. 코로나19 개요 및 진단방법
III. 코로나19 진단기기 제품 현황
IV. 국내 코로나19 진단기기 수출현황 및 전망
V. 결론 및 시사점


■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이하 코로나19)이 최초 보고된 이후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 중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5월 6일 기준 3,595,662명, 사망자 수는 247,652명으로 집계
  - 코로나19 확산이 지속됨에 따라, WH O는 코로나19에 대해 감염병 경보단계 중 최고 위험단계인 팬데믹(Pandemic)*을 선언
  * 팬데믹(Pandemic): WHO는 감염병 위험 수준에 따라 1∼6단계의 경보단계를 설정, 이중 가장 높은 단계를
팬데믹으로 설정(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상태)


■ 한국은 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확진자 최초 보고 이후 지역사회로 급격히 확산, 2월 23일 코로나19 위기 경보를 최고단계인 “심각” 으로 상향*하였으며 4월 이후 확산세가 진정국면에 접어들고 있음

◎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5월 6일 기준 10,806명, 사망자는 255명으로 집계
  * 한국의 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은 총 4단계로 구분, “심각”은 최고 수준의 경보단계로 신종 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 또는
전국적 확산단계를 의미


■ 전 세계적 코로나19 대유행 속에 한국의 선제적 검사와 격리, 확진자 추적 등의 방식은 코로나19 대응의 우수사례로 평가받고 있음
◎ 특히 코로나19 확진자를 신속하게 진단해 조기 격리하는 것이 방역에 도움이 됐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한국의 우수한 진단검사방법이 주목받고 있음
 
 
< ‘민주성+선진의료+투명한 정부’ 외신 한국 코로나19 대응 평가(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3) >
한국의 진단검사 능력은 세계 최고수준으로,
우수한 진단 능력과 대규모 진단검사 상황을 투명성에 입각해 공개, 코로나19에 대한 한국 사회의 대응을 높이 평가
 
 
■ 본 브리프에서는 코로나19 검사에 활용하는 진단기기들을 살펴보고, 한국의 수출 현황 및 전망을 파악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