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인공지능 헬스케어 산업의 실용화 동향

  • 등록일2020-07-08
  • 조회수538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6-17
  • 출처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헬스케어#AI
  • 첨부파일

 

인공지능 헬스케어 산업의 실용화 동향
 

 
박찬홍(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연구원)
이장우(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기술사업화팀장)
 
 
I. 서론
스마트 헬스케어로 통용되는 의료 산업은 의료기기 분야와 의료 서비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등장은 개인의 생체정보를 기록하고 모니터링하는데 상당한 진보를 가져왔다. 가트너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2019년 410억 달러보다 27% 증가한 총 520억 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스마트 헬스케어의 성장은 의료·건강관리 콘텐츠 등 수집되는 생체 데이터의 양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켰다. 세계 각국의 병원·제약사 및 ICT 업체들은 수집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투자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수집되는 의료 데이터양이 증가하면서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관련 기술의 특허출원 수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특허전략개발원에서 분석한 [그림 1]의 의료관련 인공지능 글로벌 특허출원 추세를 살펴보면 출원이 시작된 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2000년대 초중반에 급격히 감소한 후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다시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1].
 
 
 
세계 각국의 정부는 스마트 헬스케어 성장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정부의 American AI Initiation 정책을 필두로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구글, IBM, 애플 등 민간기업의 막강한 기술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중국은 ‘차세대인공지능발전계획’을 통해 빠르고 정밀한 인공지능 의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스마트 병원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8년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헬스케어 특별위원회를 출범하였으며, 2020년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통해 바이오의료 산업 전반의 AI 활용 전면화(AI 신약개발 플랫폼, AI의료기기 검증·심사 등)를 추진하고 있다.
 

의료관련 인공지능 글로벌 특허출원 추세선 분석 그래프.PNG

본 고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헬스케어 분야별 최신 기술 및 사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인공지능이 활용되는 분야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분류기준이 전문가 별로 상이할 수는 있지만 여기서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것이다. 또한, 각 분야별 주요 기술을 간략히 소개하고, 관련 분야 유망 기업의 서비스도 몇 가지 살펴볼 예정이다. 마지막으로는 분석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